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학교현장 중심의 아동·청소년 이상심리학

학교현장 중심의 아동·청소년 이상심리학

Terry Diamanduros, P. Dawn Tysinger, Jeffrey A. Tysinger, Pamela A. Fenning (지은이), 이동형, 김문재, 이창우, 김주영, 강수현 (옮긴이)
학지사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960원
31,040원 >
32,000원 -0% 0원
0원
32,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학교현장 중심의 아동·청소년 이상심리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학교현장 중심의 아동·청소년 이상심리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88999734601
· 쪽수 : 728쪽
· 출판일 : 2025-07-31

책 소개

학교현장 및 학교심리학의 관점에서 아동·청소년의 다양한 정신병리를 다루고 있는 독특한 책으로, DSM-5의 진단기준과 특수교육 수혜자격 결정에 사용되는 미국의 「장애인교육법(IDEA)」의 진단기준을 비교하면서 아동·청소년기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 책은 학교현장 및 학교심리학의 관점에서 아동·청소년의 다양한 정신병리를 다루고 있는 독특한 책으로, DSM-5의 진단기준과 특수교육 수혜자격 결정에 사용되는 미국의 「장애인교육법(IDEA)」의 진단기준을 비교하면서 아동·청소년기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또한 다양한 심리적 장애가 학교와 가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학교환경에서 실행가능하고 경험적으로 검증된 교육적 지원 및 학교기반의 정신건강 개입 방안은 무엇인지 잘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원래 미국에서 학교심리사를 양성하는 대학원 과정에서 사용할 교재로 집필되었으나, 우리나라 학교현장에서 미국의 학교심리사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상담교사, 심리사, 상담사뿐 아니라 다양한 요구를 지닌 학생들을 일선에서 상담하고 지도하는 일반교사 및 특수교사에게도 매우 유용한 내용을 깊이 있게 담고 있다. 또한 각 장애에 대해 평가, 교육적 중재와 상담지원, 자문, 권익옹호 관련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장애별 사례연구는 학생의 분류와 지원 관련 문제를 깊이 있게 성찰하도록 돕는다.

이 책의 핵심 특징
1. 학교와 가정에서 접하는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를 망라하여 학교심리학적 관점에서 서술하고 있다.
2. DSM-5의 진단과 「장애인교육법」의 교육적 진단 분류 및 기타 법률적 보호 조항 등을 비교하여 통합적으로 다룬다.
3. 다양한 장애가 교실에서 학생의 학습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4. 장애별로 실제적이며 증거에 기반한 교육적 중재 방법과 학교기반의 정신건강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5. 학생의 진단 및 분류 문제를 다루고 실제적인 지원 관련 쟁점을 보여 주는 사례연구를 포함하고 있다.

목차

역자 서문
서문

제1부 학교현장과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

제1장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도입
학교에서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 다루기: 학교심리사의 역할
학교에서 정신건강 문제의 확인: DSM 및 IDEA
결론적 논평

제2부 신경발달장애

제2장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3장 지적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IDEA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4장 자폐스펙트럼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3부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제5장 품행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6장 적대적 반항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7장 간헐적 폭발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4부 불안장애

제8장 범불안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9장 분리불안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10장 사회불안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11장 선택적 함구증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5부 우울장애

제12장 주요우울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13장 파괴적 기분조절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14 장 지속성 우울장애
부전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6부 강박 및 관련 장애

제15장 강박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및 사회정서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16장 저장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7부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제17장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PTSD 및 발달외상장애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 및 사회·정서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18장 반응성 애착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 및 사회·정서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찾아보기

저자소개

Terry Diamanduros (지은이)    정보 더보기
New York University에서 학교심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수년간 뉴욕시의 학교 및 임상 장면에서 아동·청소년들과 일한 경험이 있다. 2004년부터 현재까지 Georgia Southern University의 학교심리학 프로그램의 교수로 근무하고 있으며, 아동기 트라우마, 사이버괴롭힘, 테크놀로지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Pamela A. Fenning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카고 소재 Loyola University의 학교심리학 프로그램 교수이며, 공동디렉터이다. 일리노이주의 임상 및 학교심리사 면허를 소지하고 있으며, 학교심리학 분야의 이사회 인증을 받았다.
펼치기
P. Dawn Tysinger (지은이)    정보 더보기
테네시주 멤피스 소재 University of Memphis에서 학교심리학을 주전공하고, 상담과 중재를 심화전공하여 심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NASP에서 인증하는 전국인증학교심리사(Nationally Certified School Psychologist: NCSP)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며, Georgia Southern University의 학교심리학 프로그램의 정교수이자 프로그램 디렉터이다.
펼치기
Jeffrey A. Tysinger (지은이)    정보 더보기
University of Memphis에서 상담과 중재를 심화전공으로 하여 학교심리학 분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Georgia Southern University의 교수이다. 2003년부터 2007년까지 Emporia State University에서 학교심리학 프로그램의 교수로 근무하였으며, 알래스카주의 앵커리지와 루이지애나주의 라푸쉐 패리시(Lafourche Parish)에서 학교심리사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펼치기
김문재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상담심리 박사과정 수료 현 부산광역시교육청 소속 초등교사
펼치기
이창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상담심리 박사과정 수료 현 경상남도교육청 소속 초등교사
펼치기
김주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상담심리 박사과정 수료 현 부산광역시교육청 소속 중등교사
펼치기
강수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상담심리 박사과정 수료 현 부산광역시교육청 소속 초등교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