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88999734601
· 쪽수 : 728쪽
· 출판일 : 2025-07-31
책 소개
이 책의 핵심 특징
1. 학교와 가정에서 접하는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를 망라하여 학교심리학적 관점에서 서술하고 있다.
2. DSM-5의 진단과 「장애인교육법」의 교육적 진단 분류 및 기타 법률적 보호 조항 등을 비교하여 통합적으로 다룬다.
3. 다양한 장애가 교실에서 학생의 학습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4. 장애별로 실제적이며 증거에 기반한 교육적 중재 방법과 학교기반의 정신건강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5. 학생의 진단 및 분류 문제를 다루고 실제적인 지원 관련 쟁점을 보여 주는 사례연구를 포함하고 있다.
목차
역자 서문
서문
제1부 학교현장과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
제1장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도입
학교에서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 다루기: 학교심리사의 역할
학교에서 정신건강 문제의 확인: DSM 및 IDEA
결론적 논평
제2부 신경발달장애
제2장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3장 지적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IDEA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4장 자폐스펙트럼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3부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제5장 품행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6장 적대적 반항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7장 간헐적 폭발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4부 불안장애
제8장 범불안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9장 분리불안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10장 사회불안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11장 선택적 함구증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5부 우울장애
제12장 주요우울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13장 파괴적 기분조절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14 장 지속성 우울장애
부전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6부 강박 및 관련 장애
제15장 강박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및 사회정서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16장 저장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7부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제17장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PTSD 및 발달외상장애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 및 사회·정서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18장 반응성 애착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 및 사회·정서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