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인공지능/빅데이터
· ISBN : 9791112009609
· 쪽수 : 562쪽
· 출판일 : 2025-06-17
목차
제 1장 AI시대 출현과 전개 / 6
I. AI시대의 개념과 출현 6
II. 각 혁명의 경제구조, 노동시장, 정치체계, 교육, 윤리 등의 세부 영역 분석 9
III. 각 영역별 정책 대안, 국가별 대응 사례, 철학적 함의 13
IV. AI 기술의 역사적 전개 16
V. 각 단계별 주요 인물, 철학자, 정책적 함의, 역사적 사건 20
VI. 시대별 AI 산업 구조, 윤리적 이슈, 교육 정책 및 사회적 수용 변화 23
VII. 국가별 대응 비교, 노동시장, 법제도, 군사적 이용 가능성 분석 26
VIII. 국가 간 AI 외교 전략, 시민권 재정의, AI와 디지털 식민주의 29
IX. 각 항목별 정책 제안, 사례 비교, 법적 규범 검토 32
X. AI 시대의 사회·경제적 구조 변화 34
XI. AI 시대의 철학적 함의 35
XII. AI시대의 6대 핵심 영역 36
제 2장 1~5차 산업혁명과 AI혁명 / 40
I. AI혁명이란? 40
II. AI 혁명이 사회에 미친 영향 45
III. 1~5차 산업혁명과 AI혁명 48
IV. 한국사 속에서 1차~5차 산업혁명과 AI혁명 50
V. 한국과 세계역사에서의 1~5차 산업혁명과 AI혁명 53
1. 공통점 10가지: 인간, 기술, 사회의 보편적 연결 54
2. 차이점 10가지: 한국의 특수성과 시간차, 구조 차이 56
VI. 한국과 세계 5차 산업혁명의 공통점과 차이점 58
1. 공통점 10가지 ? AI 혁명이 초래한 보편적 구조 전환 58
2. 차이점 10가지 ? AI 혁명 수용과 제도화 양상의 역사적·구조적 차이 60
VII. 1~5차 산업혁명과 AI 혁명에서 한국의 위상 62
제 3장 AI혁명의 시기별 성격의 전개 / 66
I. 시기 구분의 기준 66
1. AI혁명 시기구분의 기준과 정의 67
2. AI혁명 시기별 특성 68
II. AI혁명의 단계별 성격 69
1. AI혁명 1단계 규칙기반 AI 시대(1956?1980년대)의 성격 69
2. AI혁명 2단계 기계학습 전환기(1980년대 후반?2010)의 성격 71
3. AI혁명 3단계: 딥러닝 대중화 시대 (2012?2020)의 성격 73
4. AI혁명 4단계: 생성형 AI 혁명기 (2020?현재)의 성격 75
5. AI혁명 5단계 자율·협업형 AI시대(예측: 2025~2035)의 성격 77
III. AI혁명의 3단계 시기구분 79
1. AI 혁명 전기, 발전기, 전성기의 발전 3단계의 구분 기준 79
2. 전기(前期, Inception Stage) 80
3. 발전기(發展期, Expansion Stage) 80
4. 전성기(全盛期, Maturity / Transformation Stage) 81
5. AI 혁신 매트릭스 82
6. 전환지표 그래프 82
IV. 3단계와 4단계의 비교 및 평가 83
1. AI 혁명의 3단계 구분 83
2. AI 혁명의 4단계 구분 85
3. 비교표: 3단계 vs. 4단계 구분 85
제4장 AI 시대 이전과 이후 / 86
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문명사적 변화 비교 86
I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사회철학적 변화 비교 87
II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경제적 변화 비교 92
IV.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정치적 변화 비교 94
V.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문화적 변화 비교 97
V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인간·인간성 변화 비교 99
제 5장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분야별 구조적 변화
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인식론 변화 107
I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생산방식 변화 110
II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노동구조 변화 113
IV.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경제체계 변화 115
V.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정치권력 변화 118
V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지식생산 변화 121
VI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교육체계 변화 124
VII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예술과 창의성 변화 127
IX.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윤리 관점 변화 129
X.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법적 기반 변화 132
X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문화 구조 변화 135
XI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시간·공간 감각 변화 137
XII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감시체계 변화 140
XIV.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자아 정체성 변화 142
XV.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인류 비전 변화 145
XVI.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분야별 구조적 변화 148
제 6장 AI 시대 이전과 이후의 핵심 패러다임 변화
I. 핵심패러다임 전환에서 주체의 위치변화 149
II. 핵심패러다임 전환에서 지식의 형태 변화 152
III. 핵심패러다임 전환에서 행위판단기준 변화 156
IV. 핵심패러다임 전환에서 정치권력 중심 변화 160
V. 핵심패러다임 전환에서 사회질서 기반 변화 164
VI. 핵심패러다임 전환에서 윤리구조 변화 167
VII. 핵심패러다임 전환에서 문화생산 변화 170
VIII. 핵심패러다임 전환 요약 172
제 7장 AI와 인간 / 175
I. AI와 인간 175
II.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이해 178
III.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 181
IV.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 184
V.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윤리학적 이해 188
VI.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법학적 이해 191
VII.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인지과학적 이해 194
VIII.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공학적 이해 197
IX.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행정학적 이해 201
X.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정치학적 이해 204
XI. AI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다학제적 이해 207
제 8장 AI와 사회 / 210
I. AI와 사회: 핵심 주제별 구성 210
II. AI와 사회에 대한 학문분야별 쟁점 비교 213
III. AI 사회문제 학문분야별 지식지도 220
IV. AI 사회문제 학문분야별 주요 개념과 연결망 225
V. AI 윤리와 인문학 229
VI. AI시대 디지털 사회철학 242
제 9장 AI와 AI의 관계 / 246
I. AI와 AI 246
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