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사상사
· ISBN : 9791141939090
· 쪽수 : 976쪽
· 출판일 : 2025-04-21
목차
차 례
머 리 말 5
차 례 8
제 4 권 역동적 문화대국 조선의 국가능력과 행정
여 는 장 18
1. 연구 목적 18
2. 연구의 명제와 가설 20
(1) 《바로찾는 한국근대국가학》의 기본 명제와 가설 20
(2) 《역동적 문화대국 조선의 국가능력과 행정》의 연구 과제들 22
(3) 《역동적 문화대국 조선의 국가능력과 행정》의 연구 명제와 가설들 27
3. 연구 방법 34
(1) 통섭적?융합적 연구 방법 34
(2) 선행연구와 국가이론의 가능성과 한계 36
(3) 인공지능 시대의 역사학, 사회과학 그리고 융합학문 37
제 VI 부 역동적 문화대국 조선의 국가성격과 국가변동
제 14 장 국가위기, 세계체제, 사회계급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
1. 국가위기, 세계체제, 사회계급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 44
(1) 관련 이론과 분석틀 44
(2) 세계체제?사회계급?국가간 상호활동의 변동 45
2. 기의 단계 세계체제의 성격과 문화대국 조선의 성립 49
(1) 15~16세기 세계속의 조선 49
(2) 서양세계의 부상과 서유럽 국가군의 흥망성쇠 53
(3) 중국 세계의 위상 약화와 병자호란 54
(4) 조선과 일본의 역사적인 관계의 전개 58
(5) 동북아세계 준패권국으로 등장한 조선 66
3 승의 단계 세계체제의 성격과 문화대국 조선의 위기 극복 81
(1) 세계속의 조선의 위상: 1600년 조선과 세계 각국의 인구 비교 81
(2) 세계의 패권이동과 해외진출 및 세계체제 태동 82
(3) 중국 명의 흥망성쇠와 청의 등장 84
(4) 일본의 부상과 임진왜란?정유재란 도발 87
(5) 임진왜란 97
(6) 인조반정과 병자호란 125
4. 전의 단계 세계체제의 성격과 문화대국 조선의 융성 145
(1) 세계속의 조선의 위상 145
(2) 서양세계의 부상과 근대국가로의 발전 146
(3) 중국 청나라의 등장과 번성 151
(4) 일본 막부정치의 문치화와 조선멸시론 154
(5) 조선 전의 단계 17~18세기의 조선의 왕조중흥 158
5 결의 단계 세계체제의 전개와 조선의 대응 175
(1) 서양 세계체제의 형성과 전개 175
(2) 서양 세계체제의 형성과 전개 179
(3) 중국 청의 쇠퇴와 서양세력의 중국진출 195
(4) 일본의 메이지 유신과 정한론의 부상 198
(5) 역동적인 조선의 대응 208
6 국가위기, 세계체제, 사회계급, 국가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 247
(1) 국가위기, 세계체제, 사회계급, 국가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 247
(2) 서유럽 국가군의 부상과 자본주의세계체제 형성 및 서세동점 249
(3) 조선의 시기별 위기, 세계체제?사회계급?국가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 254
(4) 조선의 시기별 위기, 세계체제?사회계급?국가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 260
(5) 조선의 세계체제?사회계급?국가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의 전개 요약 266
(6) 조선의 세계체제?사회계급?국가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의 전개 요약 266
(7) 조선의 위기와 국가변동의 전개 요약 272
7. [명제 14]와 [가설 14-1~10]의 내용과 검증 274
(1) [명제 14]와 [가설 14-1~10]의 내용과 검토 274
(2) ChatGPT4o+, Gemini, deepseek에 의한 검증결과표 277
(3) [명제 14]와 [가설 14-1~10]의 검증 279
제 15 장 역동적 문화대국 조선
1. 문화국가와 문화대국 286
(1) 문화국가의 특성과 유형 286
(2) 문화국가 분석틀 298
(3) 지식문명국가 조선의 성격 300
(4) 유교문화대국론 305
2. 사회계층별 문화대국 308
(1) 사대부계층의 지식기반 문화대국론 308
(2) 중인계층의 성장과 중인문화 329
(3) 서민문화론?평민문화론 334
(4) 기층문화론?무속문화론 336
3. 문화대국 조선의 특성 338
(1) 문화대국 조선의 독창성과 자주성 338
(2) 언어와 문자의 독창성과 자주성 339
(3) 군자국가, 선비국가, 문화국가, 및 문화대국 340
(4) 역대국가의 주역과 문화대국 조선의 역사적 배경 - 선비의 나라 343
(5) 조선의 선비문화와 문화대국의 성격 344
(6) 문화국가, 문화대국의 세계문화비교적 관점 370
4 세계적인 문화대국, 조선 371
(1) 세계유산 371
(2) 세계무형문화대국, 조선 372
(3) 세계기록문화대국 조선 373
5. 문화대국 조선의 세계기록문화유산 377
(1) 《훈민정음해례》 377
(2) 《조선왕조실록》 378
(3) 《승정원일기》 379
(4) 《조선왕조의궤》 380
(5) 《일성록》 381
(6) 《난중일기》 382
(7) 한국의 유교책판 383
(8) 조선 왕실의 어보와 어책 384
(9)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385
(10) 조선통신사 기록물 387
(11) 《동의보감》 388
(12) 현대 세계기록유산들 3건 등 389
6 세계문화유산 390
(1) 세계문화유산 390
(2) 조선 문화의 일본 전파 390
7 기의 단계 조선의 종교와 지배이데올로기의 전개 394
(1) 건국 초기의 유교?불교?선교?풍수지리의 융합사상 394
(2) 조선 전기 정치사상 399
(3) 기의 단계 조선의 문화 401
8. 승의 단계 16세기 성리학?불교와 조선의 지배이데올로기 403
(1) 조선에서의 신유학(성리학?정주학?주자학)의 전개 403
(2) 조선문화의 일본 전파 416
(3) 조선 중기 정치사상 423
9. 전의 단계 조선의 문화 433
(1) 17세기 초 서울 실학의 대두 433
(2) 17세기 후반~18세기 초 실학의 발전 435
(3)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주자학과 조선중화 사상 437
(4). 18세기 후반 노론 북학의 등장 438
(5). 조선의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철학?종교의 새 경향 440
(6) 조선 후기 실학의 정치사상 443
10. 결의 1단계 445
(1) 19세기 전반기의 문화와 이데올로기 445
(2) 정치사상과 문화 450
(3) 결의 단계 조선의 문화 455
11. 문화대국 조선의 시기별 문화의 비교?종합 456
(1) 세계문화유산의 계층문화별 분류 456
(2) 양반?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