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POD] 인간의 삶과 스포츠

[POD] 인간의 삶과 스포츠

(스포츠와 함께하는 인간의 삶을 찾아서)

김용수 (지은이)
부크크(bookk)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0원
3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POD] 인간의 삶과 스포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POD] 인간의 삶과 스포츠 (스포츠와 함께하는 인간의 삶을 찾아서)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스포츠/레저 기타 > 기타
· ISBN : 9791127226299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17-11-13

목차

1. 스포츠에서 인생을 본다 13
2. 당근은 제때 줘야 16
3. 한국사회의 제 문제 해결을 위한 스포츠 기여 가능성 23
가. 독일의 생활스포츠와 스포츠클럽 24
나. 독일 스포츠클럽의 사회통합 기능 25
다. 지원 스포츠클럽 운영 사례 26
라. 독일 스포츠클럽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시사점 27
4. 미래 지향적 스포츠 28
가. 해양 레저 산업,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30
나. 스포츠와 도덕적 덕(德)의 본성으로 31
다. 스포츠 선진국으로 나아가는 갈을 찾아서 33
라. 스포츠 변방도시 34
5. 군사적·문화적으로 봉건사회의 기사와 현대 무술 36
가. 진화론과 무예올림픽 38
나. 요가 수련 39
6. 도전 .....좌절....환희... 태극전사와 함께 한 대한민국 41
가. 한국 월드컵 도전사 10장면 41
나. 한국 월드컵 기록 48
다. 착각에 빠져 있는 한국축구 52
7. 체육인 병역 특례 55
가. 체육인 병역특혜 폐지가 정답이다 56
나. 정의론적 관점에서 본 체육요원 병역 특례 58
다. 체육요원 병역 특례 찬반 논란에 대한 해법은 59
8. 장충체육관 61
가. 장충체육관의 재탄생 62
나. 돌아온 장충체육관 65
9. 새해 목표 운동, 당근과 채찍이라는 동기 66
10. 차르 푸틴과 소치올림픽 68
가. 올림픽엔 이런 일들도 70
나. 올림픽의 엽기 사건 71
11. 야구, 축구 등 프로스포츠 단체, 스포츠토토 레저세, 부가 반대 공동 성명 73
12. 조혜정 전 배구 감독 나는 남자 감독들에게 공공의 적이었다 75
가. 한국 스포츠를 빛낸 여성의 힘 75
나. 멀기만 한 지도자와 전문 체육인의 꿈 76
다. 여자의 적은 여자 77
라. 성적이 아니라 여성이란 이유로 문책 78
13. 체육 교과목으로 진로 찾아보기 79
14. 배고픈 선수 81
15. 족구 84
16. 내리막길 보스톤 마라톤 또 깜짝 기록 낼까 86
17. 학생선수 운동만 잘하면 되던 시대는 지났다 89
가. 학교 체육정책 환경 진단 89
나. 이명박 정부 학교체육의 성과 90
다. 미래 학교체육의 방향 91
라. 학습활동과 운동수행을 병행하고 있다는 진실과 거짓 속으로 92
18. 체육 즐기는 아이, 공부 잘 하는 아이보다 성인돼 더 행복감 94
가. 행복한 성인 10명 중 7명, 학창시절 운동 잘해 95
나. 미술·음악보다 체육이 행복 증진 효과 더 높아 95
다. 스포츠, 국민이 행복해 지는 방법 97
19. 토요일엔 스포츠.......모든 학교에 전담 강사 배치 97
가. 운동만 잘 하는 선수 양성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 97
나. 축구 스포츠클럽이 말하는 모성(母聲) 99
다. 토요스포츠데이 돌봄의 사회적 가치와 놀이 문화 체계의 변화로 인식 101
20. 미쳐야 미친다 102
가. 유일하게 생존한 여자배구, 박정아·이재영, 미쳐야 산다 104
나. 성남 박경훈의 쓴소리 심제혁, 축구에 미쳐야 산다 106
다. 미쳐야 사는 남자 크레익, 재계약 걸린 PO 활약미 110
21. 대한민국 64년의 성취와 더 밝은 미래 보여 준 런던올림픽 111
22. 레슬링과 올림픽 112
가. 고대올림픽 대표종목 올림픽-2020년부터 정식종목 제외 113
나. 전통의 레슬링 퇴출당했다 113
다. 한국에 올림픽 첫 金 안겨줘 114
23. 스페셜올림픽과 스페셜웨더 115
가. 스페셜올림픽과 장애 복지의 실현 117
나. Together We Can!그날의 감동 잊지 말자 118
다. 스페셜 올림픽과 자원봉사자 120
24. 여자 컬링 4강 신화, 또 하나의 우생순 124
가. 우리에게 필요한 건 훈련시간 뿐 125
나. 4강, 메달을 딴 것도 아니잖아 127
다. 컬링, 그 걸레질 하는 거 128
라. 다시 모인 빙상의 우생순 129
마. 평창 동계올림픽 금메달 향해 130
25. 지구촌 하나 되는 올림픽엔 평화가 깃들어있어요 132
26. 다시 생각해 보는 태권도, 올림픽 잔류·퇴출 갈림길 134
가. 올림픽 영구종목 향해...태권도 마지막 발차기 135
나. 런던의 성공을 잔류의 원동력으로 137
다. 유럽세를 극복하라 138
라. IOC 집행위원 60%가 유럽인, 감싸고 돌 수도 140
마. 근대 5종 올림픽 퇴출 1순위 141
27. 스토리 갖춘 K리그, 이제는 인프라 구축할 때 144
28. 거꾸로 돌아가는 K리그 흥행 사례 146
가. 인기구단 수원의 흥행부진 146
나. 관중은 분명 줄었다 148
다. 희망을 품는다 149
29. 스포츠와 군중심리(群衆心理) 150
30. 몽글몽글 스포츠선수와 글쓰기 교육 154
가. 체육의 참된 글쓰기 157
나. 생각하며 쓰는 스포츠 글쓰기 157
31. 태릉선수촌 160
가. 태릉선수촌 철거 논란 161
나. 진천 자리 내준 태릉선수촌의 운명은 163
다. 태릉선수촌은 철거될 운명 164
라. 태릉선수촌이 사라진다고 167
마. 아듀 태릉선수촌 168
바. 상기하자 태릉선수촌 169
32. 프로스포츠 경기와 국가 연주 170
33. 여자 축구에 관심을 173
가. 흥 돋우던 여자축구연맹 어디 갔나 174
나. U-16 여자축구 대표팀 준우승 4강팀 중 최약체 평가 딛고 거든 성과 176
34. 이제 스포츠 관광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다 177
가. 스포츠관광이란 177
나. 지역경제 살리기 스포츠 178
다. 역발상의 기회 179
35.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유치는 시작이다 180
36. 표절논란 도쿄 올림픽 엠블럼 사용중지 방침 확정 182
37. 감독의 권한, 그리고 제한 184
38. 스포츠와 이데올로기 188
가. 스포츠 이데올로기에 관하여 190
나. 스포츠 이데올로기의 형성과 문제 190
39. 한국, 국제스포츠계, 게임 체인지 돼야 192
40. 이젠 무상 급식 아닌 무상스포츠 필요 193
가. 모두를 위한 스포츠 194
나. 다른 분야 통합으로 이루어지길 194
다. 엘리트스포츠 강조는 중용(中庸)과 평등의 입장에서 벗어날 수 있다 195
라. 통합체육의 明과 暗 197
41. 그들도 실수를 한다 198
42. 응원할 팀이 없다 200
43. 스포츠 외교 201
가. 스포츠 외교의 의미와 가치란 205
나. 우리나라 스포츠 외교의 현주소는 206
다. 우리나라 스포츠 외교의 부재 원인은 208
라. 스포츠 외교 강화를 위한 바람직한 방향은 208
44. 계산보다는 모험이 빚어낸 월드컵 첫 우승 210
45. 스포츠, 돈 먹는 하마 212
46. 복싱의 몰락 215
47. 운동선수들의 인권과 가혹한 징계 221
48. 도 넘은 MLB 상술(商術) 225
49. 스포츠 사대주의 226
50. 자.기.육.체 스포츠 기자의 고민과 사명스포츠 사대주의 232
가. 기술의 발전, 그리고 스포츠의 세계화 235
나. 스포츠 상업주의에 대한 우려 240
다. 다가올 미래, 스포츠 기자의 역할 242
51. 스포츠-정부 관계와 IOC 243
52. 한국 축구 올림픽 8회 연속 개근 246
53. 여자 골프 언제까지 한국계 따질 건가 251
54. 라니에리 감독에게 배우는 리더십 252
55. 공은 둥글다 256
56. 파란 눈의 전사들, 평창올림픽 태극마크 달고 뛴다 259
가. 규화선수의 찬성과 반대 261
나. 파란 눈의 태극전사, 당신을 응원 합니다 263
57. 체 게바라와 쿠바혁명 266
58. 올림픽의 성공 267
가. 올림픽, 그 아름다운 최선의 눈물 268
나. 올림픽 난민팀이 보여준 지구촌의 희망 270
다. 올림픽 성화 271
59. IOC의 평창셈법 273
60. 스포츠 윤리교육의 필요성 274
가. 스포츠 지도자 윤리 강령 276
나. 스포츠 윤리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때이다 277
다. 스포츠 윤리교육이 더 강화되어야 할 때이다 279
61. 오심도 경기의 일부이다 281
62. 스포츠와 정치 283
가. 선거철의 스포츠 스타들 285
나. 스포츠는 로비가 아니다 286
63. 학교 체육정책 엘리트스포츠 공헌(貢獻)과 과실(過失) 287
가. 학교 체육정책이 엘리트스포츠의 기반조성에 공헌한 부분 인정해야 한다 289
나. 한국사회의 문화와 엘리트스포츠의 괴리 현상 극복 어떻게 하나 291
다. 스타만을 요구하는 학교 엘리트스포츠 바뀌지 않고 있다 293
라. 학교 엘리트스포츠 문제점을 알고 있는가 294
마. 평소엔 운동 7 공부 3, 시험 땐 공부 운동 3 296
바. 체육발전을 위한 체육재정의 효율적 지원 방안 297
64. 국가수준 체육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을 모색하면서 299
가. 교육인적자원부 인식변화 없이는 학교체육이 살 길이 없다 300
나.‘反 체육적’ 체육 교과서 301
다. 선택제 수업 프로그램을 통한 자율체육 생활화 303
라. 인성을 강조한 체육수업을 통하여 이미지를 바꾸어라 304
마. 운동부족이 10대 자녀들 성장장애·성조숙증 부른다 306
65. 일상의 스포츠로 시선을 돌려야 하는 이유 307
66. 아름다운 100세 준비, 12계명 309
참고문헌/315

(부록) 스포츠와 종교에 대한 담론

저자소개

김용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金龍洙는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와 교육대학원을 졸업하고『돈키호테, 체육선생의 삶』이라는 논문으로 강원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에서 체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관심 있는 연구 분야는 이 시대의 역사, 철학, 교육에 대한 담론(談論), 교육 분야로는 우리 교육 이대로 좋은가, 우리 교육, 이대로 둘 것인가, 우리 교육, 대안은 없는가 등이며, 스포츠 분야로는 스포츠와 사회문화, 스포츠 하는 인간과 삶, 인간의 삶과 스포츠, 스포츠 윤리와 범죄, 노인 복지, 노인 복지와 체육·스포츠, 노인 복지와 건강, 학교체육이 나아갈 길, 중국 무술사, 그리고 세상사는 이야기, 생애의 발자취, 삶의 이야기를 통한 자서전, 준비 없이는 꿈꾸는 노년은 없다, 준비하면 행복한 노년을 맞을 수 있다 등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질적연구로 구술사와 구술생애사를 통하여 새로운 역사 쓰기를 시도하고 있다. 논문은 한국교원총연합회, 강원도교원총연합회, 대한체육회 등 현장교육연구 논문 35편 입상,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사학회, 한국체육정책학회, 한국체육철학회, 한국스포츠인류학회, 강원대학교체육과학연구소, 한국구술사학회 등에 논문 43편을 등재했다. 주요 저서는 중학체육, 핵심 중학체육, 간추린 중학체육, 중학 체육평가 문제집, 고등학교 체육, 핵심 고교체육, 간추린 고교체육, 고교 체육평가 문제집, 학교 경영 비전, 성공과 축복의 2018평창동계올림픽 가는 길, 학교 체육의 공헌(貢獻)과 과실(過失), 그리고 나아갈 길, 돈키호테, 체육 선생의 삶, 그리스·로마 시대의 올림픽 세계,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올림픽 경기,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올림픽 문화, 사이클의 역사, 구술사, 중국무술(中國武術), 중국무술사, 그리스·로마 시대의 운동 경기, 생각하고 실천하는 삶과 논리, 논술의 길 찾기, 논술의 산과 길, 사유(思惟)하는 삶, 자녀 교육보감(敎育寶鑑), 전인교육(全人敎育) 길잡이, 그리스·로마 시대의 운동 경기, 스포츠 그리고 게임, 하계올림픽 경기, 올림픽 영웅들의 이야기, 건강한 삶 속으로, 태권도(跆拳道), 스포츠 윤리와 범죄, 체육·스포츠 용어의 윤리적 담론(談論), 스포츠인류학의 이론과 실제, 학교 밖 청소년의 이해와 대안, 학교폭력 대안은 없는가, 고령화 사회와 체육, 스포츠와 인간의 삶, 인간의 삶과 스포츠, 우리 교육, 이대로 좋은가, 우리 교육, 이대로 둘 것인가, 이 시대의 담론(談論), 인류 사회·문화와 삶, 삶 속의 담론(談論)과 논쟁(論爭) 1, 삶 속의 담론(談論)과 논쟁(論爭) 2, 과거의 삶을 찾아서, 미래의 삶을 만나다, 스포츠의 사회문화적 삶, 학교체육과 스포츠, 체육(體育)과 사랑방(舍廊房)스포츠 이야기, 학교체육의 새 지평을 열며, 학교체육에서 생활스포츠로 나아가는 길을 찾다, 스포츠를 빛낸 영웅들의 숨은 이야기 1, 스포츠를 빛낸 영웅들의 숨은 이야기 2, 스포츠를 빛낸 영웅들의 숨은 이야기 3, 사이클의 발자취를 찾아서, 스포츠를 빛낸 영웅들의 숨은 이야기 4, 스포츠를 빛낸 영웅들의 숨은 이야기 5, 자녀의 전인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 고령화 사회와 건강, 학교체육이 나아갈 길, 스포츠를 통한 전인적인 삶을 위해, 고령화 사회와 복지, 고령화 사회와 문화, 노인복지의 안과 밖, 갈팡질팡 세상 이야기, 종횡무진 세상 이야기, 흐르는 물처럼 살자, 생애의 발자취, 준비없이는 꿈꾸는 노년은 없다, 준비하면 행복한 노년을 맞을 수 있다, 생애의 발자취, 나의 삶과 스포츠 인류학적 이야기 등 저서 및 번역서 120편이 있다. 현재 한국스포츠사랑연구소장으로 스포츠 칼럼리스트, 국기원 태권도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중학교 교사, 고등학교 교사, 중등학교 교감, 중·고등학교 교장으로 35년 동안 학교 현장에서 근무했으며, 한국체육사학회부회장, 한국스포츠인류학회부회장, 강원체육사랑연구소장, 강원구술사학회부회장, 강원우슈협회부회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