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91128800191
· 쪽수 : 118쪽
· 출판일 : 2017-04-06
책 소개
목차
01 영화 속 색채, 색채의 영화
02 하양, 천상의 색채, 또는 무(無)의 세상
03 검정, 죽음과 중후 사이
04 회색, 그 중도의 머뭇거림
05 노랑, 황금의 찬란함과 깊은 광기
06 파랑, 이상향적 우울
07 빨강, 열정과 경고의 아이러니
08 초록, 안정과 위협의 역설
09 주황과 보라 또는 보라와 주황
10 영화 팔레트, 장이머우의 [영웅]
저자소개
책속에서
■ 책 속으로
이 책의 목표는 영화 속에 등장한 색채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컬러 시대가 된 이후 영화에서 색채의 중요성은 여기서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색채는 등장인물의 심리 표현이며, 이를 인지하는 관객의 수용이고(거꾸로 말하면 이를 표현하는 감독의 재현 코드고), 이렇게 ‘기호’로 소통이 되니 하나의 ‘문화’가 된다. 그러므로 이 책은 색채에 관심이 있고 인류학에 관심이 있으며 무엇보다 영화에 관심이 있는 이들이 읽으면 작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색채에 대한 여러 이론과 심리, 이를 통해 영화에서 사용되는 색채의 실제 효과에 대해 이 책은 집중적으로 다루려 했다.
- “색채는 심리고 기호며 문화다” 중에서
홍상수 감독은 남성의 성적 욕망을 그 누구보다 섬세하게 그리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의 영화 가운데 <생활의 발견>(2002)을 보면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남성은 춘천에서는 무채색의 옷을 입고 있지만 경주에서는 빨간 옷을 입고 있다. 다시 말해 춘천에서는 그를 좋아하는 여성이 적극적이라 남성은 방어하는 차원이 강했다면, 경주에서는 그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 여성을 징하게도 찾아가고 따라가서 조르는 역할을 맡았다. 마치 발정난 개처럼 남자 주인공은 끊임없이 여성에게 접근한다. 빨강은 이런 색이다.
- “빨강, 열정과 경고의 아이러니” 중에서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는 미술적 시각에서 초록을 정의했다. 노랑과 파랑이 결합해서 발생하는 초록의 특성에 주목한 것인데, 그는 “종국적으로 두 개의 대립적인 운동은 서로 무화되고 완전한 부동(不動)과 정지 상태가 생겨난다. 여기에서 초록색이 생겨”난다고 했다. 노랑의 원심력과 파랑의 구심력이 하나의 색채에서 만나 완전히 정지해 버린 것. 그래서 칸딘스키에 의하면 “절대적인 초록색은 존재하는 모든 색 중에 가장 평온한 색”이다. 괴테가 더 이상 요구하지도 않고 요구할 수도 없는 색이라고 한 것과 정확히 일치한다.
- “초록, 안정과 위협의 역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