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28800610
· 쪽수 : 126쪽
· 출판일 : 2018-05-29
책 소개
목차
01 드론의 구성 요소와 기능
02 드론의 비행 원리
03 드론 비행을 위한 항공법규
04 드론 비행을 위한 항공기상
05 드론의 운용과 안전
06 드론과 영상 미학
07 드론 항공촬영 기법
08 드론 저널리즘
09 드론 비즈니스
10 드론 교육
책속에서
무게가 10g 남짓한 초소형부터 10t이 넘는 초대형까지, 수없이 많은 종류의 드론이 존재한다. 센서 기술이 발달하고 비행 통제 장치를 다양한 크기로 설계할 수 있게 되면서 드론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용도 또한 무한하게 확장된 것이다. 특히 이 책에서 드론이라 지칭하는 무인 멀티콥터는 매우 안정적인 정지 비행이 가능하다. 임무 수행 중 일정한 고도와 위치에서 대기할 수 있기 때문에 조종이 용이하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소통에 의한, 소통을 위한 드론 활용” 중에서
드론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여객기나 전투기에 비해 그 크기가 현저히 작지만 엄연히 ?항공법?의 적용을 받는 비행 장치로 분류된다. 따라서 항공법?에서 규정한 저촉 행위를 할 경우 드론도 처벌 대상이 된다. 우리나라의 ?항공법?은 1961년에 최초로 제정되었고, 예하에 항공법 시행령(대통령령), 항공법 시행규칙(국토교통부령), 고시, 훈령, 예규, 지침 등의 하위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항공법?은 다시 ?항공안전법?, ?항공사업법?, ?공항시설법?으로 나누어지고, 특히 ?항공안전법?의 제10장은 초경량 비행 장치와 관련된 열 개 조항으로 구성된다.
- “드론 비행을 위한 항공법규” 중에서
드론으로 정지 영상을 촬영할 때는 드론의 호버링(hovering, 정지 비행) 기능만 이용하면 되므로 특별한 패턴 구분이 필요 없다. 동영상은 촬영 패턴이 매우 다양할 수 있지만 미학적 관점에서 볼 때 드론 항공촬영도 전통적 카메라 무브먼트 패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 무브먼트에 대한 미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목적에 따라 어떤 패턴을 이용해 숏을 구성할지 고민하면 되는 것이다.
- “드론 항공촬영 기법”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