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화의상 디자인

영화의상 디자인

(2017년 개정판)

김유선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4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8,000원 -0% 0원
1,440원
46,5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8,400원 -10% 1920원 32,640원 >

책 이미지

영화의상 디자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영화의상 디자인 (2017년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91128804847
· 쪽수 : 374쪽
· 출판일 : 2017-03-27

책 소개

영화의상에 대한 국내 최초의 전문서다. 2009년 초판이 나온 이후 영화의상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꾸준한 호평을 받은 교과서일 뿐 아니라 영화 현장의 실무 디자이너들에게도 현장을 이해하는 안내서로도 역할했다.

목차

개정판 머리말
머리말
감사의 글

01 영화의상에 대하여영화의상은 무엇을 드러내는가 영화의상의 다양한 측면

02 영화의상 디자인 프로세스영화의상 디자인의 개념영화제작 시스템과 의상 디자인 프로세스 영화제작 시스템의상 디자인의 세부 과정

03 의상 디자인을 위한 작품 분석시나리오 분석등장인물 분석

04 콘셉트 구상콘셉트의 의미와 중요성 의상 콘셉트를 위한 요소 콘셉트 방향어떻게 콘셉트를 세울 것인가장르별 의상 콘셉트 콘셉트 표현

05 프로덕션 디자인과 의상 콘셉트의상과 프로덕션 디자인의 관계의상과 프로덕션 디자인이 공유해야 할 것 공간과 의상
06 디자인 계획세부 디자인 계획 의상 예산 계획문서 작업

07 세부 디자인색 디자인 스타일 디자인개별 의상의 세부 디자인 요소 디자인의 표현

08 디자인의 구현제작-만들기선택-고르기

09 캐릭터 스타일링조합-맞춰 보기 피팅-입어 보기

10 프로덕션에서의 의상 디자인촬영 준비촬영 현장에서의 의상 연출촬영 현장 가이드

11 의상 디자인 마무리정산 의상 정리자료 정리완성된 영화를 보면서

12 성공적인 디자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프레젠테이션 커뮤니케이션

부록
의상 디자이너가 참고할 만한 영화 목록
영화의상 디자이너와 작품 목록
의상 콘셉트 PPT 실례

저자소개

김유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9년 5월 서울 출생. 30년간 60여 편의 한국 상업영화에서 캐릭터 스타일을 창조해온 영화의상 디자이너. 영화 마니아로서 작품을 대하는 진정성과 영화의상에 대한 남다른 철학, 특유의 감각으로 독자적인 스타일을 구축해 왔다. 영화의상은 캐릭터를 완성하는 시각 예술이자 독립적인 영상언어이며 의상 디자이너는 인간을 이해하고 그 삶을 의상에 고스란히 담아내야 한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디테일 하나하나에 의미를 담아 진정성 있는 캐릭터를 창조해왔다. 디자이너의 책임의식을 가지고 2019년 지속 가능한 패션 브랜드 YOU*SUNNY를 론칭, 친환경 의류 ‘옷 위에 입는 옷’ 유써니커버를 개발했다. 나아가 옷, 음식, 사랑 등 삶의 중요한 것들에 관한 이야기로 소통하고자 한다. 영화의상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멘토링 코스를 운영 중이며,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한국영화아카데미(KAFA), 영화영상 프로덕션 디자인 캠퍼스 파파(PaPA)에서 영화연출자 및 프로덕션디자이너 지망생을 대상으로 의상디자인 강의를 하고 있다. 2024년 영화의상 30주년을 기념해 ‘한국영상자료원’ 시네마테크 전시실에서 <<김유선 의상감독 영화의상 디자인작업 전시>>를 했다. ⦁ 주요작품으로 <살인의 추억>(2002, 봉준호 감독), <카트>(2014, 부지영 감독), <정직한 후보1, 2>(2020, 2022, 장유정 감독), <오마주>(2022, 신수원 감독), <문경>(2024, 신동일 감독) 등이 있으며, 30년간 60여 편의 한국 상업영화 의상감독으로 참여했다. . ⦁ 저서로 한국 최초의 영화의상디자인 전문서 『영화의상 디자인』(2009), 『영화의상』(2012), 『영화의상 디자인 개정판』(2017)이 있다. ⦁ 수상: 2022 대한민국 세계여성발명왕 엑스포 은상·동상, 2022 대중문화예술 제작스태프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
펼치기

책속에서

시각예술로서의 영화의상은 거창한 의상만을 의미하진 않는다. 작품에서 충실하게 제 역할을 하는 한 모든 의상은 미장센의 구성 요소로서 충족된다. 주인공의 뒤에서 지나가는 행인이 입은 의상도 장면의 요소로서 의상이 갖는 시각예술적 요소로서 의미는 충분하다. [퐁네프의 연인들](레오 카락스, 1991)에서 퐁네프다리 위의 남루한 연인의 의상은 그들의 처지를 대변한다. 빛바랜 색으로 물든 낡고 찌든 그들의 모습은 오래된 다리의 거친 질감과 채색 없이 채워진 혼탁한 화면 속으로 거침없이 빨려들어 간다. 퐁네프다리에서 서로를 의지하며 기대앉은 모습을 그린 화면의 질감은 마치 인상주의 화폭을 연상하게 한다. 시각예술로서의 영화의상은 스크린을 보다 멋진 풍경으로 물들인다.
-‘01 영화의상에 대하여’ 중에서

디자인은 생각(idea)에서 출발하여 계획·설계(plan)하고, 생산·제작(production)하여 완성품·생산품·작품(product)까지 만들어 내는 복합적인 작업 행위다. 영화의상 디자인은 이러한 디자인의 작업 공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으로, 크게 ‘옷을 만드는?준비하는 작업’과 ‘옷을 표현-연출하는 작업’으로 나뉜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 개념 안에서 여러 과정으로 세분된다. 이것은 영화의 시스템 안에서 영화의상 디자인만의 독자적인 작업으로, 분석(analysis)-작품 분석, 생각-콘셉트(concept) 구상, 계획·설계-세부 디자인(detail design), 제작·선택(selection)-디자인 구현(realization), 조합(coordination)·피팅(fitting)-캐릭터 스타일링(character styling), 연출(direction)-촬영의상 연출(costume direction)과 같은 세부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02 영화의상 디자인 프로세스’ 중에서

시나리오를 읽고 나면 즉각 연상되는 단어들이 있다. 이것들은 작품과 인물에 주요하게 연관되어 있는 단어로 콘셉트의 방향을 잡아주는 열쇠가 된다. 키워드는 이야기에서 받은 느낌에서 자연스럽게 찾을 수 있다. 연상된 키워드는 작품에 대한 디자이너의 느낌을 함축한 것이며 곧바로 디자인 발상으로 이어진다. 키워드를 시각적인 이미지로 전환시킨 이미지는 콘셉트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자료가 된다. [살인의 추억]에서 의상 콘셉트를 세우기 위한 키워드는 ‘1980년대’, ‘농촌’, ‘늦가을’, ‘촌스러움’, ‘어두움’, ‘두려움’, ‘무서움’, ‘살인’, ‘빨강’이었다. 이러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의상 콘셉트를 구상했다. ‘농촌’, ‘늦가을’, ‘촌스러움’이라는 키워드는 1980년대의 농촌 분위기를 그대로 살리는 사실주의 콘셉트, ‘어두움’, ‘두려움’, ‘무서움’이라는 키워드는 어두운 톤과 단조로운 색으로 일관된 색 콘셉트의 모티브가 되었다. 의상의 색 콘셉트는 살인 범행의 핵심 단서인 ‘빨강’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04 콘셉트 구상’ 중에서

근접한 인물 간의 균형과 불균형의 조합은 캐릭터를 설명하는 기능과 함께 시각적 측면의 기능을 유도한다. 이는 공간에 따라서도 계획되어야 한다. 인물과 인물, 인물과 공간이 조합을 통해 어우러져 만들어지는 시각 효과는 영화의상의 중요한 측면이다. (중략) [이터널 선샤인](미셸 공드리, 2004)에서는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진조엘과 클레멘타인의 모습이 불균형을 이루며 캐릭터를 표현하고 있다. 밝고 활달하고 따뜻한 성격의 클레멘타인은 대사에 나오듯이 푸른 타락, 빨간 위협, 노란 열병, 녹색 혁명 등과 같은 선명한 원색으로 그녀를 표현한다. 그녀와는 정반대의 성격인 소심하고 말수가 적은 평범한 조엘은 그러한 캐릭터를 반영하는 어두운 무채색 계열의 단조로운 의상으로 클레멘타인과는 상반되게 표현되었다. 이렇듯 두 캐릭터는 의상의불균형을 통해 캐릭터의 불균형을 표현하고 있다. 또 어떤 장면에서는 둘이 공통적인 요소를 갖고 나온다. 클레멘타인의 손뜨개 머플러, 조엘의 체크 셔츠는 보라색이라는 공통 요소를 보여 주면서 둘의 감정이 다시 동화되고 있음을 느끼게 한다.
-‘09 캐릭터 스타일링’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04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