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04922
· 쪽수 : 717쪽
· 출판일 : 2017-07-21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1부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연구
01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개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정의
비언어 행위 유형
의사소통 과정에서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역사적 배경
일상생활과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요약
토의 문제
02 비언어 행위의 기원
비언어 행위 진화 과정
요약
토의 문제
03 비언어 신호의 송수신 능력
비언어 기술 개선 방법
비언어 행위에 대한 지식은 유용한가
비언어 단서 해독과 부호화의 정확성 측정
비언어 단서의 해독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비언어 해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
비언어 송신자의 특성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관찰자
요약
토의 문제
2부 커뮤니케이션 환경
04 환경과 커뮤니케이션
주변 환경의 지각
시간의 지각
자연환경
주변 환경의 사람들
건축물 구조와 실내 장식물
커뮤니케이션과 환경 규제
요약
토의 문제
05 커뮤니케이션 영역과 개인적 공간
영역 개념
영역의 침범과 방어
인구 과밀
대화 거리
소집단에서의 착석 행위와 공간 배치
요약
토의 문제
3부 커뮤니케이터
06 외형적 특성과 커뮤니케이션
신체적 매력
신체적 매력의 특성
신체의 특성
의상과 액세서리
요약
토의 문제
4부 커뮤니케이터 행위
07 제스처와 자세
발화독립형 제스처
발화관련형 제스처
제스처 빈도
제스처, 자세와 말의 동시성
요약
토의 문제
08 신체적 접촉과 커뮤니케이션
신체적 접촉과 성장
누가, 누구를, 어디서, 언제, 어느 정도 접촉하는가?
신체적 접촉 행위 유형
신체적 접촉의 의미와 효과
대인 간 접촉의 의미와 상황적 요인
접촉의 무의식적인 영향력
자기 신체 접촉
요약
토의 문제
09 얼굴 표정과 커뮤니케이션
얼굴 표정과 성격
얼굴 표정과 대인 관계
얼굴과 감정 표현
얼굴과 생리학
얼굴 표정의 사회적 영향력
요약
토의 문제
10 커뮤니케이션과 시선
응시와 상호 응시
응시의 기능
눈과 인간관계의 본질
응시 형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
동공 확장과 수축
요약
토의 문제
11 목소리와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상대적 중요성
준언어 측정
목소리와 화자 인식
목소리와 성격
목소리와 집단
목소리와 사회통계학적 변인
목소리와 감정
목소리와 이해·설득
목소리와 대화 차례
망설임, 쉼, 침묵, 스피치
요약
토의 문제
5부 핵심 메시지 전달 행위
12 일상적 상호작용과 비언어 행위의 사용
친밀감 소통하기
지배와 지위 소통하기
상호작용 관리
정체성 드러내기
다른 사람 속이기
의사소통을 위한 전망
요약
토의 문제
13 맥락과 비언어 메시지
광고 메시지
정치적 메시지
교사와 학생 간의 메시지
문화적 메시지
임상 치료 환경
요약
토의 문제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비언어(nonverbal)는 보통 구어(spoken) 또는 문어(written)를 초월하는 인간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기술하는 용어다. 비언어 신호와 언어 신호는 동시에 해석해야 한다. 분석 대상을 이분법적인 범주(예: 언어/비언어, 좌뇌/우뇌, 음성/비음성 등)로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두 개의 범주 중에 속하지 않는 요소를 설명할 길이 없게 될 것이다. 즉 행위는 보통 하나의 연속선상에 존재하며 두 개 이상의 연속선상들에 중첩되어 있는 행위도 있을 것이다.
-‘01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개요’ 중에서
다른 종들처럼 인간은 변화하는 외부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을 통해 진화하였다. 인간의 역사에서 뿌리가 깊은 비언어 행위들 중 유전적 요인들을 규명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오늘날 우리의 행동은 과거로부터 전해 오는 행동의 일부만 표현하는 부분적인 행위일 수 있으며, 의식 중에 행하는 관습은 본래의 기능과 전혀 무관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석 기록 조사는 비언어적 행위의 유전적 근원을 이해하는 데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종족학(phylogeny)의 내재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종족학자들은 인간의 역사적 진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의미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대칭적으로 매력적 얼굴과 허리?엉덩이 비율 등 다양한 신체 부분들은 인간의 재생산과 문화 간 유사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고 있으며 종의 진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02 비언어 행위의 기원’ 중에서
주위의 향기는 사람들의 행동양식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이다. 기분 좋게 하는 향기는 다른 동성의 사람들을 도우려는 의지를 증가시킨다고 한다(Baron, 1997). 사람들을 기분 좋게 하는 유쾌한 냄새 때문에 다른 사람들을 도울지도 모른다. 또한 상쾌한 냄새는 사람들의 기부 의지를 증가시키기도 한다(Liljenquist, Zhong, & Galinsky, 2010). 이 냄새 효과는 본질적으로 의식적이 아닐 수 있으며, 우리의 행동은 우리가 숨 쉬는 공간에서 떠다니는 냄새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04 환경과 커뮤니케이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