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정책 커뮤니케이션 전략](/img_thumb2/9791128815768.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91128815768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21-04-30
책 소개
목차
정책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극대화를 위하여
1부 정책 메시지의 이해
01 서론
02 정책 메시지로서의 광고와 PR
정책 메시지: 정부광고와 공익광고, 그리고 정책 PR
정부광고
-정부광고의 개념
-정부광고의 유형
-정부광고의 특징
-정부광고의 효율성
공익광고
-공익광고의 개념
-국내 공익광고의 특징
정책 PR
-정책 PR의 개념
-정책 PR의 특징
-정책 PR의 효율성
03 정책 메시지의 광고PR 커뮤니케이션 원칙과 이슈
정책 메시지의 커뮤니케이션 원칙
정부광고 커뮤니케이션 이슈
-정부광고법의 등장
-정부광고법의 문제점
-정부광고 효율성 논란
공익광고 커뮤니케이션 이슈
-방송법과 비상업적 공익광고
-정책 메시지로서의 비상업적 공익광고
-공익광고의 공익성 논란
정책 PR 커뮤니케이션 이슈
-정책 PR와 선전의 갈등
-효율적 정책 PR 커뮤니케이션과 선전의 유혹
04 정책 메시지와 설득의 수사학
수사학과 정책 메시지의 관계
설득적 정책 메시지와 수사학 효과
정책 메시지를 위한 수사학적 구성
-정책 메시지와 수사학
-효율적 정책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수사적 기법
2부 국내외 정책 메시지 커뮤니케이션 과정
05 국내 정책 메시지의 커뮤니케이션 과정
정책 커뮤니케이션 활동
정부광고 커뮤니케이션 과정
-정부광고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역할
-정부광고법 도입에 따른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변화 방향
공익광고 커뮤니케이션 과정
-공익광고와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의 역할
-공익광고 vs 방송사 협찬 캠페인
정책 PR 커뮤니케이션 과정
06 해외의 정책 메시지 커뮤니케이션 133
영국
-영국의 정책 메시지 커뮤니케이션
-COI 폐지 후 달라진 영국의 정책 커뮤니케이션
독일: 과거 국정홍보처와 독일의 BPA
미국, 프랑스, 일본: 분권형 정책 커뮤니케이션
미국의 공익광고
일본의 공익광고
대만의 공익광고
07 정책 메시지의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08 해외의 정책 메시지 커뮤니케이션 사례
공중의 이해를 위한 정책 메시지
공중의 지지를 위한 정책 메시지
공중의 참여를 위한 정책 메시지
3부 미디어를 활용한 정책 메시지의 효율적 광고PR 전략
09 정책 메시지의 효율적 광고와 PR를 위한 미디어 이론
적소 이론
미디어 적소이론
10 전통적 미디어를 활용한 정책 메시지의 광고PR
11 효율적 정책 메시지 광고PR를 위한 디지털 미디어 전략
디지털 미디어 광고PR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이해
-미디어 플랫폼의 개념과 커뮤니케이션 전략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타깃팅 전략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한 N스크린 전략
-MCN(Multi Channel Network)와 1인 미디어 전략
정책 메시지 광고PR를 위한 효율적 디지털 미디어 활용
-정책 메시지 광고PR 관련 이슈
-정책 메시지 광고PR를 위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정책 메시지의 효율적 광고PR를 위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12 효율적 정책 메시지 광고PR를 위한 미디어 믹스 전략
정책 메시지의 효율적 광고PR를 위한 크로스 미디어 전략
-크로스 미디어 전략의 이해
-크로스 미디어 전략의 실행
크로스 미디어 전략을 활용한 정책 커뮤니케이션
-효율적 정책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크로스 미디어 전략
-디지털 기반 크로스 미디어 전략과 효율적 정책 커뮤니케이션
13 정책 메시지 서비스 환경 개선에 따른 효율적 광고PR 전략
14 결론 및 제언
정책 메시지의 효율적 광고PR 방안
정책 메시지의 효율적 광고PR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정책 메시지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은 공공적 성격의 광고PR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지방과 중앙을 막론하고 각종 사업 시행의 결과가 국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점점 커지고 있어 정책 전반에 대한 국민의 참여와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확대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_“02 정책 메시지로서의 광고와 PR” 중에서
정부의 정책적 메시지 안에는 정책이 지향하는 의미, 표현 등은 물론이고 스피치 스타일, 디자인, 모형, 색, 텍스트, 심지어 이러한 메시지를 구성하는 기술이나 기교까지도 메시지를 통한 수사학적 가치와 연관돼 있다. 담론을 통한 설득을 기반으로 하는 수사학에서는 스피치, 문어와 구어뿐 아니라 책, 신문, 그림, 영상, 웹 사이트, 음악 등 다양한 맥락에서 상징과 의미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_“04 정책 메시지와 설득의 수사학” 중에서
정부의 정책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관련해 늘 쟁점이 되는 것은 정책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공익을 위한 것인지 정권(정부)의 정책을 선전하기 위한 것인지에 대한 구분이 모호하다는 것이다. 공익과 선전 모두 주관적이고 자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개념들이다. 공익 개념은 서로 정의가 다르고 다양하기 때문에 공익이 일반 국민으로부터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절차적인 민주주의를 준수하는 것이 전제돼야 한다.
_“05 국내 정책 메시지의 커뮤니케이션 과정”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