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91128816642
· 쪽수 : 118쪽
· 출판일 : 2021-12-17
책 소개
목차
인공지능 시대의 창의
01 알고리즘과 예술
02 알고리즘 아트
03 개념 예술의 알고리즘적 사고
04 정보기술과 예술의 만남
05 프로그래밍과 예술
06 소프트웨어 아트
07 인간의 배움과 인공지능의 학습
08 지적 발판으로서의 인공지능
09 AI 아트
10 정보기술의 0차원과 예술의 0차원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런데 과연 ‘임의의 결과물’을 만드는 알고리즘도 알고리즘일까? 예술 작품 활동과 알고리즘의 관련성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임의성 또한 알고리즘의 주요 특성 중 하나로 간주한다. 주지하다시피, 알고리즘은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즉, 과정이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기만 하다면 알고리즘으로서의 기본 조건은 충족되었다는 뜻이다.
_ “02 알고리즘 아트” 중에서
이로써 우리가 얻은 것은 오직 ‘컴퓨터’라는 용어만으로 정보기술의 다양한 측면을 포괄적으로 아우르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결론이다. 우리는 이 용어를 듣자마자 거의 즉각적으로 어떤 기술적 장치(device)나 특정 제품(product), 즉 정보기술의 물질적(material) 측면을 먼저 떠올린다. 이는 이 용어를 보다 신중하게 사용해야 함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논의에 이 용어를 도입하는 순간 우리의 의도와 상관없이 그 논의의 중심이 정보기술의 물질적 측면으로 기울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_ “04 정보기술과 예술의 만남” 중에서
프로그래밍 언어의 표기 및 구문 체계는 인간 언어의 그것과는 전혀 다르다. 그러나 모든 인간 언어가 우열 없이 동등한 가치와 특성을 가지듯, 프로그래밍 언어 또한 각각의 고유한 장점과 영역을 갖는다. 여러 언어를 할 줄 알면 세계 어디서든 자유롭게 의사소통 할 수 있듯이,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익혀두면 상황과 맥락에 맞는 적합한 언어를 선택해 작업할 수 있다. 나아가 인간의 언어와 프로그래밍 언어를 동시에 유창하게 구사할 수만 있다면 양쪽을 자유자재로 넘나들며 알고리즘적으로 사유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_ “05 프로그래밍과 예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