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협상/설득/화술 > 화술
· ISBN : 9791128816932
· 쪽수 : 126쪽
· 출판일 : 2022-05-20
책 소개
목차
스피치 커뮤니케이션과 소통력
01 공감력
02 지식력
03 언어구사력
04 표현력
05 상황통제력
06 발표 불안증
07 스피치 구성요인 실전편(음성)
08 프레젠테이션
09 TED형 스피치
10 언택트 커뮤니케이션
저자소개
책속에서
공감력은 소통과 스피치에서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능력이다. 공감은 상대방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대와의 심리적 동등감을 전제로 한다. 좋은 공감은 나와의 소통이 잘 이루어질 때 가능하다. 일치적 소통과 심신의 면역력 확보를 통해 상대의 말을 경청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상대를 분석할 수 있다. 그런 과정을 통해 상대의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_ “01 공감력” 중에서
언어구사력은 내가 생각한 바를 막힘없이 말할 수 있는 능력이다. 스피치의 엔진 같은 것으로 언어구사력을 가지고 있을 때 효과적이며 전략적인 스피치가 가능하다. 어린 시절 어떤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자라났는지가 언어구사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생활 속 훈련을 통해 언어구사력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다.
_ “03 언어구사력” 중에서
스피치는 예상한 대로 진행되지 않는다. 결국 돌발적인 상황에 어떻게 잘 대처하고 운영하는 지가 매우 중요한데 그것은 상황통제력과 관련되어 있다. 상황통제력은 메타인지 (meta-cognition)로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능력이다. 상황통제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계적 준비, 스피치 후 피드백, 다양한 상황에서 말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_ “05 상황통제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