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씨책] 서정범 수필선집

[큰글씨책] 서정범 수필선집

서정범 (지은이), 이성천 (엮은이)
지식을만드는지식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원 -0% 0원
1,140원
36,8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씨책] 서정범 수필선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서정범 수필선집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28839610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17-08-10

책 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한국수필선집. 서정범의 수필은 마치 할아버지의 옛날이야기처럼 쉽고도 흥미진진하다. 그러면서도 그 깊은 곳에는 언어학자이자 무속 연구가로서의 전문 지식이 자연스럽게 녹아 있다.

목차

미리내
김치
나비 이야기
놓친 열차는 아름답다
범 이야기
고추
샤머니즘
울릉도
사과만 먹는 女人
선무당
샤머니즘의 숲
두견새
따라지
아가씨
두더지
萬波息笛
나비 少女
나비 少女의 사랑
죽은 이를 만나는 사람들
무덤 속에 앉아 있는 女人
그 생명의 고향
사랑의 마술사
작두 타는 少女
神과 결혼한 처녀
十로 병을 고치는 천존
죽은 사람만 사랑하는 사람들
산신이 준 안경
삼신할머니
무당의 실태와 그 정서
점 ·
죽음의 준비
품봐, 품봐
신라의 수로 부인은 살아 있다.
신라의 향가 <처용가(處容歌)>
소월 시에 나타난 무속성
무당이 되어야 하는 이유


해설
지은이에 대해
엮은이에 대해

저자소개

서정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필가이자 국어학자이며, 동시에 무속연구가이기도 한 서정범은 1926년 충북 음성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가족들과 황해도로 이주해 성장했으며 한국전쟁 중 해주에서 홀로 월남했다. 시인 김광섭과 소설가 황순원이 재직하던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1957)와 동 대학원(1959)을 졸업한 후, 평생을 모교에서 후진 양성에 이바지했다. 서정범은 수필가로서의 명성만큼 저명한 국어학자로 학계에 잘 알려져 있다. 특수 계층인 ‘백정’의 언어를 다룬 <한국 특수어 연구>(1959)에서 시작된 그의 학문 분야 연구는 <15세기 국어의 표기법 연구>(1964), <현실음의 국어사적 연구>(1975), <음운의 국어사적 연구>(1982) 등으로 이어져 국내외 언어학계에 일찍부터 신선한 충격을 가했다. 특히 그의 후기 저작들인 ≪우리말의 뿌리≫(1989), ≪일본어의 원류≫(1989), ≪한국에서 건너간 일본의 신과 언어≫(1994), ≪국어어원사전≫(2000)은 우리말의 원형과 기원은 물론 일본과 몽골, 터키 등이 속한 알타이 언어권과의 상관성을 추적하는 데 이론적 기틀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무속연구가의 직함은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되었다. 주목받는 언어학자로서 서정범의 공적은 주로 살아 있는 모국어의 현장에서 견인된다. 그는 고대 원시언어의 계통 관계와 현재적 ‘흔적들’을 시공간의 차원을 넘나들며 입체적으로 추적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샤먼과 그들의 언어 체계에 대한 탐구 작업이다. 그가 꽤 오랜 기간 동안 전국의 무당들을 찾아다녔던 이유도, 적지 않은 그의 수필 작품들이 무속의 세계 혹은 신화적 세계관과 일정한 상관성을 지니는 것도 바로 이런 사정에서 연유한다. 서정범의 수필 문학은 1974년 첫 작품집 ≪놓친 열차는 아름답다≫를 발간한 이래, ≪겨울 무지개≫(1977), ≪무녀의 사랑 이야기≫(1979)로 이어진다. 이후 1980년대 ≪그 생명의 고향≫(1981), ≪사랑과 죽음의 마술사≫(1982), ≪영계의 사랑과 그 빛≫(1985), ≪품봐, 품봐≫(1985), ≪학원별곡≫(1985), ≪어원별곡≫(1986) 등을 거쳐, 1990년대에는 ≪무녀별곡≫(전 7권)과 ≪서로 사랑하고 정을 나누는 평범한 사람의 이야기≫(1999)로 이어졌다. 특히 ≪학원별곡≫, ≪대학별곡≫, ≪익살별곡≫ 등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까지 이어진 이른바 ‘별곡 시리즈’는 동시대의 은어나 속어, 또 유행하는 이야기를 담은 책들로, 단순한 ‘우스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암울했던 우리 삶의 이면을 블랙 유머라는 독특한 방식을 전용해 표현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를 대표하는 저서로는 ≪한국무속인열전≫(전 6권)을 꼽을 수 있다.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한국어원학회장, 한국수필가협회 부회장, 경희문인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제18회 한국문학상(1981), 제9회 펜문학상(1993), 제10회 수필문학상(2000), 제8회 동숭학술상(2004) 등을 수상했다. 2009년 7월 14일, 83세의 나이에 영면했다.
펼치기
이성천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68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부를 마치고, 동대학원에서 현대문학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2년 ≪중앙일보≫ 중앙신인문학상 평론 부문에 <알리바바의 서사, 혹은 소설의 알리바이>가 당선되어 문단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시, 말의 부도≫(2007), ≪한국 현대 소설의 숨결≫(2009), ≪위반의 시대와 글쓰기≫(2012), ≪현대시의 존재론적 해명≫(2015) 등의 저서를 출간했으며, 계간 ≪시와시학≫, ≪시에≫의 부주간 및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제10회 젊은평론가상, ≪시와시학≫ 평론상, 경희문학상을 수상했다. 현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대학생 사회에서 가장 속어가 많이 생겨나는 부분이 음식인데 그 가운데서도 술에 대한 말이 많다.
1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술을 ‘쫄쫄이’라고 했는데 이 말은 불량배들이 쓰던 말이 그대로 학생 사회에 흘러 들어온 말로서 ‘쫄쫄이’는 술을 쫄쫄 따른다는 데서 생긴 의성어다.
소주에 콜라 탄 것은 ‘소크라테스’, 막걸리에 사이다 탄 것은 ‘막사이사이’라고 하고 ‘로진 위스키는 ‘진로’를 가리키는데 ‘로진’은 ‘진로’를 거꾸로 읽은 것이다.
막걸리를 ‘고전’이라 하고 ‘맥주’를 ‘양서’라고 하며 막걸리를 양반 술이라고 하고 맥주를 쌍놈의 술이라고 하는데 막걸리는 쌀로 빚으니 양반 술이고, 맥주는 밀로 빚으니 쌍놈의 술이라는 것이다. 술 잘하는 학생들을 ‘주체세력’이라고 하는데 이는 ‘酒體勢力’이고, ‘주전멤바’라고도 하는데 ‘酒戰멤바’로 풀이한다.
술 마시러 가는 것을 ‘부흥회 간다’고 하는데 ‘主님’을 ‘酒님’으로 풀이한 것이다.
<따라지>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