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동안거사집](/img_thumb2/9791128854675.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91128854675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20-07-15
책 소개
목차
동안거사이공문집서
동안거사 잡저 1부
촌거자계문
보광정기
간장사기
승제 윤보에게 올리는 계
진양목백 상서 이산에게 보내는 편지
진양서기 정소에게 보내는 편지
단모부
공이 보내 준 답서
전 중봉대부 도원수 추충정난정원공 광정대부 삼중대광첨의중찬…
불호혜화상에게 보내는 편지
몽산화상이 법어를 내려 준 데 대해 사례해 올림
화상이 보낸 법어
두타산 간장암 중창기
원나라 구양 승지의 제
동안거사 행록 권 제1
강릉 전 사또가 가지고 있는, 명황이 늦게 일어나는 그림
전 사또 갱화시
무릉도 가는 길을 바라보다
전 사또 갱화시
병과시
구관시
경원 이 시중
시령 유 평장
또 읊다
최 판추에게
한 추밀원사에게
유 내상
최 직강
원 소경
허 소경
한림 박항에게 주다
태부 최수황, 사관 김승무·홍저에게 주다
안집사 김 중서가 죽헌에 쓴 제액에 차운하다
11월 3일에 동지·팔관·원정과 폐하께서 황제 처소에…
수다사에서 머물러 짓다
서울에 들어와 다시 행자 운을 쓰다
눈 속에 봉암상국께서 좋은 음식을 내린 것에 사례한다
최 직강이 눈을 읊은 시 30운에 차운하다
전별에 사례하는 시
동안거사 행록 권 제2
관사로 돌아와 다시 앞 시의 운을 써서…
황려북루의 판상시에 차운하다
안집사인 병부 진 시랑을 모시고 진주부 서루에 올라 판상시에…
6월 안집사 진 시랑을 모시고 정선현을 구경 갔는데…
등명사 판상에 차운하다
8월 상순에 대산 절정에 올라, 재미로 한 수 짓다
후죽 붓대를 관한의 제공에게 부쳐 주며
서기 관아의 정원에 잣나무를 심고, 한 수를 쓰다
11월 초하루 동지와 팔관의 두 표문을 받들고…
황·이 두 영공이 주고받은 시에 차운하다
12월 상순에 다스리는 곳으로 돌아가려 하면서…
다시 전운을 사용해 동년 국자박사 최수황과…
한림 안유가 보내 준 이별시에 차운해 답하다
병인 정월 큰 눈이 열흘 넘게 왔다. 안집사…
(1266년) 2월 3일에 부에서 출발해…
국박 최수황의 희우시에 차운하다
경원 이 시중이 어가를 모시고 삼랑성을 구경하며…
유 내상의 장미연시에 차운하다
사업 허공이 사물에 부쳐 육예시를 지었는데…
우물
거문고
바둑
글씨
그림
활쏘기
말 몰기
이·유 두 영공이 주고받은 시에 차운하다
유 내상에게 바치는 시
백 중서가 지공거가 된 김 좨주를 축하한 시에…
앞 시의 운을 빌려 써서 기사 박항에게 주다
동안거사 행록 권 제3
단양 홍 승제의 석상가에 차운하다
직강 정과 시랑 박이 승선에 임명되어…
사관 이인정이 임 태사를 애도한 시에 차운하다
상국 김이 중서성의 채 피지 않은 작약꽃을 두고…
김 시어를 애도하다
시어 김승무를 다시 애도하다
박 승제에게 올리다
다시 정 직강의 축하시 운자를 써서 박 승제에게 올리다
다시 전운을 써서 죽당의 세 학사에게 올리다
이 시랑
김 대제
정 직강
우제
김 상국의 퇴조시에 차운하다
퇴조시의 운자를 다시 써서 박 승제에게 올리다
박 승제의 시에 화답하다
상서 김정이 박 승제에게 올린 시에 차운하다
국학박사 이필이 상서 김정의 시에 차운해…
관장 최곡이 방문을 와서 써 준 시에 차운하다
동안거사 행록 권 제4
빈왕록
(1273년) 이달(6월) 11일 패강 도중 바로 읊다
(1273년 6월) 12일 금암으로 가는 길에…
길은 분수령으로 지나기에 한 수 남겨 두다
(1273년) 이달(6월) 29일에 비로소 동경에 …
(1273년) 7월 9일 사로에서 길을 떠나…
(1273년) 이달(7월) 16일 악두참에 도착해…
(1273년) 이달(7월) 29일 신산현에 이르러…
(1273년) 이달(7월) 그믐날 병풍산을 경유해…
(1273년) 8월 4일 연경에 들어가려고…
차운해 봉답하다
(1273년) 중추절 이튿날 정 시랑의 기신재에…
(1273년) 이달(8월) 21일 후저를 모시고…
(1273년) 이달(8월) 24일 황제 폐하께서…
(1273년) 이달(8월) 28일은 바로 황제의 성절이다…
(1973년) 9월 1일 중서성이 강 선사를 시켜…
(1273년) 이달(9월) 7일 중서성이…
(1273년) 그 이튿날(9월 8일) 후저께서…
행차가 소문의 동쪽 교외로 나오니…
즉석에서 차운해 답하다
이달(9월) 25일 압록강까지 돌아와서…
10월 2일 행차가 흥의역에 이르니…
편집 후에 우연히 씀
부록
하운
경진년(1280, 충렬왕 6) 간쟁으로 파직되었는데 중찬 유경이 병중에도 위로하러 옴을 사례함
원문
찾아보기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에서
태부(太傅) 최수황(崔守璜), 사관(史館) 김승무(金承戊)·홍저(洪佇)에게 주다
몇 년이나 몰락해 강산에 부쳐졌던가?
다시 서울을 밟으니, 꿈결 같아라.
옛 친구는 모두 천상의 귀한 몸 되었는데,
학철의 곤궁함 누가 구제해 주리?
서로 만나니 얼굴 모양 변했다고들 하고,
말을 하자니 먼저 입이 굳어짐이 부끄럽다.
일찍이 금란지계 맺은 인연 적지 않아,
때때로 회포 풀고 한 번씩 갓을 털기도 한다네.
幾年流落寄江山 更踏京塵似夢間
故舊皆爲天上貴 困窮誰救轍中乾
相逢盡怪形容變 欲語先羞舌?頑
曾?金蘭緣不淺 寬懷時復一彈冠
예식을 마친 뒤 (…) 모든 시신(侍臣)에게 전해 주고 군복으로 갈아입고 전상(殿上)에 올라가는데, 우리 일행에게는 갈아입지 말라고 명령했다. 정해 준 좌석 위차는 서편 제1항(行) 은 황태자, 한 위차를 건너서는 대왕 여섯, 두 위차를 건너서는 우리 영전(令殿), 그 뒤 열에는 대왕 일곱, 또 두 위차를 건너서는 우리 후저(侯邸), 그 뒤 열에는 안(安)·동 승상(董丞相)을 수석으로 한 10여 명의 관원, 여기서 두 위차를 건너서 우리 열인데, 재신(宰臣)과 재신 다음 제관(諸官)들의 뒤 열 중심에도 우리 열, 상서(尙書)와 시랑(侍郞)의 뒤 열 중심도 우리 열이었다. 참상(參上), 참외(參外)의 뒤 둘째 열은 자세히 알 수가 없었으며, 맨 뒤 열 끝에는 여러 나라의 사절 보좌들이 앉았다. 동편에는 여러 궁주(宮主), 공주(公主) 20여 명이 각기 시녀 두세 명씩을 데리고 띄엄띄엄 앉고, 좌석이 없는 자로서 선사(宣使), 봉어(奉御), 수재(秀才), 영사(令史) 무리는 앞에 벌여 섰는데 전내(殿內)는 하도 넓어서 지면이 남아돌았다. 후 학사의 말이, “이 전정(殿庭)은 만 명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데, 이번 시연(侍宴) 인원이 겨우 7000명이오” 했다. 황태자가 일어서서 헌수를 하는데 당상과 당하에서는 피리와 쇠북을 간간이 연주하고, 증산(繒山)과 수악(繡嶽)에서 기악(伎樂)들이 앞다투어 정재(呈才)를 하니, 춤과 노래가 끊이지 않고 조화를 이루어 장엄하고도 경건했으며, 앞 열에서는 여섯 대왕이 차례대로 헌수했다. 신시(申時) 초에 파했는데, 부로(父老)들의 말이 “병란 이후 이 같은 예수(禮數)는 아직 있지 않았다”고 했다. 아, 나는 지금 얻어 보았도다!
<빈왕록(賓王錄)>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