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서하집

서하집

임춘 (지은이), 진성규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5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5,100원 -5% 0원
2,900원
52,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8,400원 -10% 1920원 32,640원 >

책 이미지

서하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서하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91130415970
· 쪽수 : 864쪽
· 출판일 : 2015-01-30

책 소개

지식을 만드는 지식 문집. 죽림고회의 한 사람으로 무신정권 아래 벼슬 한 자리 하지 못한 채 평생 불우하게 살다 간 서하 임춘. 그러나 그의 문장은 배우는 사람들이 입으로 시를 읊으면서 마음으로 흠모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고려 중기 문학을 대표하는 그의 문집을 모두 옮겼다.

목차

서(序)
임서하문집서(林西河文集序) ············3
서(序) ······················9
서하집중간서(西河集重刊序) ···········16
서하선생집서(西河先生集序) ···········21

제1권 고율시
1. 낭중(郎中) 이유의의 찻집에서 낮잠을 자다 2수 ··29
2. 붓·먹을 보내 준 이에게 감사의 뜻을 표함 ····30
3. 천원에 있는 유광식 집의 유자나무를 두고 ·····32
4. 칠석(七夕) 3수 ·················35
5. 반송가(盤松歌) ················37
6. 찾아온 이에게 감사의 뜻을 표하면서 ······43
7. 8월 15일 밤에 ·················44
8. 앞의 운(韻)을 이용해 연지에게 주다 ·······45
9. 꿈속의 일이 기억나서 ··············46
10. 미수에게 주다 ················48
11. 익원 상인에게 부치다 ·············49
12. 친구에게 부치다 ···············51
13. 산인 익원(益源)에게 부치다 ··········52
14. 조역락이 성남에 은거하려 할 적에 운을 나누어 귀(歸) 자를 얻음 ················57
15. 상서(尙書) 이윤수가 임금이 내린 약에 감사하며 잔치를 베풀다 ·················59
16. 담지에게 글을 보내어 먹을 빌림 ········60
17. 함자진이 사는 곳을 찾아서 ···········62
18. 누(樓) 위에서 술을 마시며 ···········64
19. 장난삼아 시를 지어 줌 2수 ···········65
20. 미수의 아우인 승려 찬지(纘之)에게 주다 2수 ···66
21. 한양에서 현량(賢良) 오세재가 찾아오자, 시를 지어 감사의 뜻을 표함 ··············68
22. 꿈을 읊다 ··················70
23. 어부 ·····················71
24. 함녕후가 손수 사계화를 족암(足菴)에 심었으므로 천(闡) 공을 대신해 시를 지어 감사의 뜻을 표함 ·72
25. 정 시랑의 서시(叙詩)에 차운함 ·········75
26. 은자(隱者)에게 주다 ··············86
27. 오강도를 두고 ················87
28. 사원 외벽(外壁)에 쓰다 ············88
29. 낭중(郎中) 이유의의 집에 모이다 ········88
30. 미수를 그리면서 4수 ··············90
31. 감악으로 돌아가 글을 읽으면서 박동준에게 부치다 94
32. 겨울날 길 가운데서 3수 ············98
33. 최문윤이 단주에 살 곳을 정하려 하다 ······100
34. 황보약수에게 주다 ··············102
35. 김군수에게 주다 ···············104
36. 송풍정의 운(韻)에 차운하다 3수 ········105
37. 조역락에게 육계(肉戒)를 깨어 버리라고 글을 보내다 ····················108
38. 법주사에 놀면서 존고 상인에게 주다 ······114
39. 이담지의 집 벽에 쓰다 ············116
40. 옛사람의 필적(筆跡)을 보고서 ·········119
41. 8월 15일 밤에 운자(韻字)를 찾다가 기(起) 자 운(韻)을 얻다 ··················120
42. 밤에 조역락의 집에서 묵다가 빗속에서 지음 ···122
43. 양국준의 집 울타리에 핀 붉은 목단을 보고 ···123
44. 황보(皇甫) 형제에게 주다 ···········125
45. 길 가다가 폭우를 만남 ············129
46. 느낌이 있어서 ················130
47. 담지·왕가훈 집에 있는 춘경산수도(春景山水圖)를 보고 ··················131
48. 연지에게 주다 ················133
49. 운을 따라 시를 지어 황보약수에게 주다. ····134
50. 갑오년 여름에 강남(江南)으로 피신하니 유랑의 탄식이 있어 장단가를 짓고서 <장검행(杖劒行)>이라 했다 ·135
제2권 고율시
51. 차운해 이각천 스님에게 줌 ··········145
52. 상국 이지명이 준 장구 2수를 차운함 ······147
53. 회포를 쓰다 ·················175
54. 북원의 계림선생에게 부침 ···········176
55. 김온규가 쓴 관음원(觀音院) 시의 운자를 빌려서 177
56. 월사에게 주다 ················178
57. 연화원 벽에 씀 ················181
58. 역락이 근래 시를 짓지 못한 것을 희롱함 ····185
59. 장단을 지나면서 ···············185
60. 장단호 위에 초당이 완성되자 시를 지어 이사(頤師)에게 보임 ··················186
61. 정 학사를 추도하며 ··············188
62. 9월 5일 벗과 함께 용흥사 해운방에서 놀 때 확사(確師)가 시를 요구하므로 운자를 나누다가 각(閣) 자(字)를 얻었음 ·······················189
63. 황보약수에게 주다 ··············192
64. 이미수가 언제나 언어를 조심했으므로 시를 지어 희롱함 ···················193
65. 다향(茶餉)을 겸 상인에게 부침 ········197
66. 겸 상인(謙上人) 방장(方丈)에게 희롱해 씀 ···198
67. 민원발의 방문을 받고 기뻐함 ·········200
68. 6월 15일 밤비가 개므로 달을 보고 감회가 생겨 6수 201
69. 김선을 유별하며 ···············209
70. 약수에게 희롱하며 줌 ·············211
71. 다시 앞 운을 사용해 계림(鷄林) 박인석 선생에게 부침 ····················212
72. 담지에게 주다 절구 2수 ············213
73. 급제한 황보항을 축하함 2수 ··········215
74. 자복사의 유제를 차운함 ············223
75. 9일에 홀로 앉아 제공(諸公)의 모임을 듣고 시를 지어 부침 ··················224
76. 종형 정옥(庭玉)이 상주(尙州)에 왔다는 말을 듣고 시를 지어 희롱함 ··············225
77. 밀주(密州)에서 놀며 일어난 일을 씀 ······227
78. 영남사를 시제(詩題)로 ············231
79. 영남사의 죽루(竹樓)에서 ···········234
80. 학사(學士) 정지원의 유제를 차운함 ······235
81. 향교의 학도들이 회음(會飮)에 초대하므로 시를 지어 사례함 ··················236
82. 지륵사에서 놀며 ···············238
83. 밀주 원에게 희증함 ··············239
84. 술 갖고 방문한 사람에게 감사하며 ·······241
85. 잉어 선물을 사례함 ··············242
86. 2월 15일 밤 달을 대해 ············243
87. 벗의 매화를 차운함 ··············245
88. 밀주태수에게 보냄 ··············246
89. 미수(이인로)가 개령에 있는 나를 방문해 아리지주를 마시게 했음 ················248
90. 상주 정 서기에게 보냄 ············252
91. 법주사에서 놀며 존고 상인에게 줌 ·······254
92. 정 서기가 보낸 시의 운(韻)을 따라 ·······256
93. 미수(이인로)를 보내며 ············258
94. 정 서기의 운을 빌려 장난삼아 짓다 3수 ·····258
95. 담지의 급제 소식을 듣고 시를 지어 축하함 ···260
96. 죽림사에서 쓰다 ···············261
97. 필률 소리를 듣고 ···············262
98. 이 상국 광진 만사 ··············263

제3권 고율시
99. 글을 대신 써서 김 수재에게 답함 ········269
100. 시를 지어 장원한 이미수를 축하함 ······270
101. 법주사의 당두가 종이와 붓을 보냈으므로 사례함 ·272
102. 미수(眉叟)와 함께 담지(湛之)의 집에 모여서 ··277
103. 밤에 담지(湛之)의 집에 모여 운(韻)을 고르다가 폐(閉) 자를 얻음 ··············278
104. 벗이 준 운(韻)을 차운함 ···········280
105. 제공(諸公)들은 중원의 서기로 임명된 황보약수를 전별했으나 나는 병을 앓고 있어서 가 보지 못했으므로 시를 지어 보냄 ····················283
106. 홍인연의 급제를 축하함 ···········287
107. 감악산 정각승사(正覺僧舍)에서 놀며 그 벽에 씀 288
108. 흥엄사 당두(堂頭)를 방문하고 겸해 김 수재에게 편지를 씀 2수 ················291
109. 종형에게 부침 ···············293
110. 초서를 구하기 위해 미수(眉叟)에게 부침 ····294
111. 최 사업을 모시고 오 선생의 별서를 방문함 2수 ··297
112. 미수가 화답하므로 다시 앞의 운을 써서 지음 3수 300
113. 가을날에 담지(湛之)를 방문하고 ·······310
114. 산인 연지의 청평산 척심정(滌心亭)이란 시에 화답함 ····················312
115. 우후가를 읽고 미수와 함께 짓다 ·······313
116. 조계벽(曹溪壁)에 씀 절구 2수 ········315
117. 원(園) 자(字)를 얻어 미수의 집에 드리운 버드나무를 읊다 ··················317
118. 오 선생의 별서를 방문하고서 ·········318
119. 담지(湛之)를 북조(北朝)에 사신으로 보내면서 ·320
120. 김열보를 애도하며 ·············322
121. 요혜수좌(了惠首座)가 식량을 베풀어 준 것에 대해 사례함 ··················324
122. 차운해 담지에게 줌 절구 3수 ·········327
123. 다시 상주에서 놀며 어느 사람에게 부침 ····329
124. 모춘에 꾀꼬리 소리를 듣고 ··········332
125. 세 학생의 방문을 받고 기뻐하며 ·······333
126. 선달 김온규와 담지(湛之)에게 편지를 보냄 ···334
127. 상주(尙州) 기생 일점홍(一點紅)을 희롱함 ···337
128. 상국(相國) 김부철의 “제사군산시(題使君山詩)”를 차운함 ··················338
129. 홍 서기의 잔치 요청을 받고 시로 사례함 ····340
130. 홍 서기에게 줌 ···············341
131. 황령사 당두 관체 스님에게 보냄 ·······342
132. 오이를 따서 홍 서기에게 보냄 절구 3수 ····343
133. 최백환이 보내 준 시에 차운함 ········346
134. 익령 가는 길에 구점함 ············347
135. 과거에 응시하는 사람을 보내면서 ·······351
136. 대서로 황보연에게 답함 2수 ·········352
137. 다시 서울에 도착해 ·············353
138. 옛날에 놀던 일을 생각하며 2수 ········355
139. 이 상국(李相國)의 봉엄사 죽루(竹樓) 제운(題韻)을 차운함 ·····················356
140. 상국 최유청의 유제를 차운함 절구 4수 ·····358
141. 병중(病中)에 느낌이 있어서 ·········360
142. 천원 홍 교서에게 받들어 부침 ········361
143. 담지(湛之)에게 줌 ·············363
144. 앞 운을 차운해 받들어 답함 2수 ········364

제4권 서간
학사 이지명에게 올리는 편지 ···········369
이담지를 대신해 어사 권돈례에게 보내는 편지 ···375
앞과 같이 권돈례에게 답하는 편지 ·········378
박인석에게 답하는 편지 ·············382
이부낭중 이순우에게 서해를 천거하는 편지 ·····384
황보약수에게 보내는 편지 ············390
동파의 문장을 논해 미수에게 보내는 편지 ·····394
영사에게 답하는 편지 ··············395
이 학사에게 올리는 편지 ·············398
형부의 이 시랑에게 올리는 편지 ··········400
왕약주에게 주는 편지 ··············404
황보약수에게 주는 편지 ·············407
조역락에게 주는 편지 ··············410
다시 조역락에게 주는 편지 ············413
담지에게 주는 편지 ···············415
산인(山人) 오생에게 부치는 편지 ·········417
계사에게 주는 편지 ···············421
홍 교서에게 주는 편지 ··············423

제5권 서·기·전
추석에 술 마시는 모임을 노래한 서 ········429
스님 가일 명자 서 ················431
미수 이인로를 보내는 서 ·············432
익령으로 부임하는 함순을 보내는 서 ········435
충주로 부임하는 황보항을 보내는 서 ········437
중원 광수원 법회에 가는 지겸 스님을 보내는 서 ···439
묘광사 16부처님 기 ···············441
소림사 중수기 ··················447
화안기 ·····················454
일재기 ·····················455
족암기 ·····················467
동행기 ·····················473
국순전 ·····················480
공방전 ·····················492

제6권 계·제문
시랑 김천에게 올리는 계 ·············505
김 소경에게 감사하는 계 ·············512
새로 급제한 최영유를 축하하는 계 ·········517
오 낭중에게 올리는 계 ··············520
모 관에게 올리는 계 ···············543
학사 이지명에게 올리는 계 ············557
안부 학사에게 올리는 계 ·············564
왕 사인을 축하하는 계 ··············577
상주서기 정소에게 감사하는 계 ··········581
김선주 원을 대신해 진양 임 대판에게 올리는 계 ···585
종형에게 답하는 계 ···············592
방문에 사례하는 계 ···············595
장원한 이미수를 축하하는 계 ···········597
안서대판 낭중 진광수에게 올리는 계 ········600
상시 이지명에게 올리는 계 ············607
복원사리 제문 ··················616
상서 김신윤의 제문 ···············621
녹사 이유량 제문 ················626
황보원 제문 ···················628
안사열 제문 ···················630
이 추밀 제문 ··················632

부록
부 이미수가 쓴 임 선생 제문 ···········639
부 서하 열전(附西河列傳) ············647
후지(後識) ···················652
고려 서하 임 공 행장(高麗西河林公行狀) ·····655
발(跋) ·····················666

원문(原文) ···················669
찾아보기 ····················780

해설 ······················823
참고 문헌 ····················842
지은이에 대해 ··················844
옮긴이에 대해 ··················847

저자소개

임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 후기로 넘어가는 의종(毅宗)·명종(明宗) 연간 인물로, 자는 기지(耆之)요 호는 서하(西河)다. 생몰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의종 연간에 태어나 40세 가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종래 30세까지 살았다는 주장도 있지만, 40세에 귀밑털이 희다고 하는(四十龍鍾兩鬢華) 자신의 기록으로 보아 분명한 사실일 것이다. 임춘은 관직(官職)에 오르지는 못했지만 현실을 직시하고 유학의 본령으로 위안을 삼으면서 현실을 감내했다. 임춘이 할 수 있는 것은 자신의 현실적 고통을 문학을 통해 표출하는 것뿐이었다. 주로 강남을 떠돌던 시절에 많은 작품을 남겼다. 현존하는 ≪서하집(西河集)≫에는 현실적 관심을 잘 보여 주는 작품이 시(詩)와 산문(散文)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불우한 문인으로 전락했지만 결코 현실을 거부할 수도 잊을 수도 없기에, 시문(詩文)은 강렬한 현실 지향적인 특징을 보여 주며, 특히 가전체 소설의 효시(嚆矢)로 알려진 <국순전(麴醇傳)>·<공방전(孔方傳)>도 타락한 현실을 비판한 강렬한 의식이 엿보인다. 죽림고회(竹林高會)의 멤버 중에 이인로를 제외하고는 모두 남아 있는 작품이 없는 점을 감안하면 ≪서하집(西河集)≫은 임춘의 불우를 보상하고도 남음이 있으며, 무신의 난을 전후한 시대 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사료로서 의미 또한 크다.
펼치기
진성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진성규는 경북 예천에서 출생했다. 은풍국민학교를 졸업한 후 서당에서 3년 동안 한학을 공부했다. 예천의 대창중·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3년 여 공무원 생활을 했다. 중앙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 대학원 국사학과 및 중앙대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박사 과정을 수료했다(문학석·박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 중앙연구원) 및 부산여대(현 신라대)를 거쳐 현재 중앙대 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현재 중앙대 명예교수로 있다.저서로는 ≪진각국사 혜심연구≫, 공저로는 ≪신라의 불교사원≫, ≪인물로 본 한국불교사상사≫, ≪한국사상사입문≫ 등이 있다. 역서로는 ≪서하집(西河集)≫, ≪원감국사집(圓鑑國師集)≫, ≪계와문집(溪窩文集)≫, ≪경기금석문대관(京畿金石文大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병중(病中)에 느낌이 있어서

해마다 과거 시험을 헛되이 보내나니,
늙어도 몸은 오히려 정정하다네.
과거는 예부터 준재를 뽑는 것.
공경이 누가 비재(非才)를 천거하랴!
큰 고래가 분격하려 하지만 파도는 말랐고,
병든 학이 날려 하지만 날개가 꺾였네.
예부터 강동에는 은거지가 있으니,
가련한 것은 백발 되어 돌아갈 내 신세.

病中有感

年年虛過試闈開 臨老猶堪矍鑠哉
科第由來收俊士 公卿誰肯薦非才
長鯨欲奮波濤竭 病鶴思飛羽翮摧
舊有江東隱居地 自憐頭白好歸來


다시 서울에 도착해

유랑(劉郞)이 이제 백두옹이 되었으니,
지난 10년간이 꿈결 같아라.
애처롭다! 현도관(玄都觀)은
토규연맥(兎葵燕麥)이 춘풍에 흔들릴 뿐.

重到京師
劉郞今是白頭翁 一十年來似夢中
惆悵玄都仙舘裏 兎葵燕麥動春風


회포를 쓰다

시인들은 예부터 시(詩) 때문에 곤궁했다지만,
나의 시는 아직 세련되지 못했는데.
무슨 일로 빈곤이 뼈에까지 사무칠까?
오랫동안 굶주린 것이 두릉옹과 같네.

書懷

詩人自古以詩窮 顧我爲詩亦未工
何事年來窮到骨 長飢却似杜陵翁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415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