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렐 야로미르 에르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11∼1870
시인, 동화 작가, 민요 및 민화 수집가, 민속학자, 역사가, 언어학자, 번역가 등 다양한 경력의 소유자다. 1811년 체코 중북부의 소도시 밀레틴에서 태어난 그는 태어날 때부터 몸이 허약해 평생 폐혈관 장애와 이로 인한 발성 및 언어 장애에 시달렸음에도 불구하고 공부에 대한 열의와 재능을 보였다. 김나지움 시절부터 문학 지망생으로서 시를 쓰기 시작한 그는 카렐 대학교에서 철학, 법학, 문학, 문헌학 등을 공부했고 여기서 틸(J. K. Tyl)이나 마하 등 당시 체코 민족 부흥 운동과 낭만주의 운동의 대표자들을 만나 ‘시인?애국자’라는 전형적인 길을 걸었다.체코 민족 부흥 운동 제3기의 대표자 중 한 사람으로서 체코 민족 부흥 운동의 열렬한 지지자였던 에르벤은 평생 동안 체코의 민요, 동요, 동화, 설화, 전설, 신화, 속담 등의 수집과 연구에 진력함으로써 체코 민속학과 체코 민속지학의 창시자 중 한 사람이 되었고 체코 중세 문학의 연구와 출판에도 크게 공헌했다. 이처럼 학자로서 민족에 대한 봉사를 우선시함으로써 시인으로서의 창작 활동은 뒷전이었지만 중간중간 발표한 발라드들을 한데 모은 ≪민담의 꽃다발≫은 체코 문학사에 길이 빛나는 고전이 되었다.
펼치기
권재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어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대학교 슬라브어문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체코 마사리크대학교 체코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체코 카렐대학교 극동학과 교환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체코·슬로바키아어과 학과장, 동 대학 동유럽대학장, 동 대학 도서관장, 한국동유럽발칸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역서로 밀란 쿤데라의 ≪농담≫, ≪히치하이킹 게임≫, 바츨라프 하벨의 ≪접견≫, 카렐 차페크의 ≪호르두발≫, 카렐 히네크 마하의 ≪5월≫, 저서로 ≪체코어?한국어사전≫(공동), ≪기초 체코어 강독≫(공동), ≪체코어 회화≫(공동), ≪체코.슬로바키아사≫, ≪Komparativni studie o proleta?ske poezii ?eske a korejske v obdobi 1920∼1930(1920∼1930년대 체코와 한국의 프롤레타리아 시 비교 연구)≫ 외 다수가 있다. 논문으로 <카렐 차페크의 소설 ≪호르두발≫의 이미지 체계>, <하셰크의 소설 ≪착한 병사 슈베이크≫의 구조와 인물>, <밀란 쿤데라의 소설 ≪농담≫의 다성성>, <밀란 쿤데라의 초기 소설들의 우스꽝스러운 사랑들>, <밀란 쿤데라의 소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의 주제 연구>,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의 전기 문학의 특징>,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의 후기 문학의 특징>,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의 문학과 노벨 문학상>, <1920년대 체코 포에티즘(Poetism) 문학의 시인들>, <이르지 볼케르의 시와 체코 프롤레타리아 시>,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전환기의 체코 아나키즘 시>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밀라 퓌르스토바 (그림)
정보 더보기
화가 겸 그래픽 아티스트인 밀라 퓌르스토바(Mila Furstova)는 1975년 프라하 남동쪽 93킬로미터에 위치한 소도시 펠흐르지모프(Pelh?imov)에서 태어났으며 프라하 카렐대학교를 졸업하고 2001년 영국 왕립예술대학(Royal College of Art)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로 영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퓌르스토바는 영국, 체코, 미국, 프랑스 등에서 20회에 걸쳐 전시회를 가졌고 14회에 걸쳐 여러 상을 수상했다. 밀라 퓌르스토바는 2009년에 영국 브리스톨(Bristol)에 있는 왕립서부아카데미(Royal West of Academy)의 최연소 회원이 되었고 2014년 영국의 음악 그룹인 콜드플레이(Coldplay)의 앨범 <유령 이야기(Ghost Stories)>의 커버를 제작했으며 그 연장 선상에서 <매직(Magic)>, <진정한 사랑(True Love)>, <미드나이트(Midnight)> 등의 싱글 앨범의 표지 제작에도 참여했고, 2015년에는 인기 소설가 커샌드라 클레어(Cassandra Clare)의 영어판 시리즈물인 <더 모탈 인스트루먼트스(The Mortal Instruments)>의 표지 제작에도 참여했다. 밀라 퓌르스토바의 대표적인 삽화 작품으로는 2020년 에르벤의 발라드집 ≪민담의 꽃다발≫의 삽화, 2021년 보제나 넴초바(B. N?mcova)의 소설 <할머니(Babi?ka)>의 삽화가 있다. 물론 2019년 페트르 슈테판(Petr ?t?pan)이 쓴 그녀에 대한 전기 <밀라 퓌르스토바 : 내 모든 강들(Mila Furstova: V?echny me ?eky)>의 삽화도 그녀 작품이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