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솔루션 저널리즘](/img_thumb2/9791128862519.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62519
· 쪽수 : 78쪽
· 출판일 : 2021-10-15
책 소개
목차
문제와 가능성을 연결하는 저널리즘
01 저널리즘 환경 변화와 솔루션 저널리즘
02 솔루션 저널리즘에 대한 이해
03 솔루션 저널리즘의 필수 구성요소
04 솔루션 저널리즘 스토리텔링
05 사회적 갈등 문제에 대한 건설적 보도
06 솔루션 저널리즘의 권력 감시와 독자 반응 사례
07 솔루션 저널리즘의 실천: 현장에 나선 기자의 입장에서
08 솔루션 저널리즘의 실천 : 데스크의 관점에서
09 솔루션 저널리즘의 실천을 위한 방안
책속에서
솔루션 저널리즘의 핵심 가정 중 하나는 사회 문제는 해당 문제에 책임이 있는 담당 집단, 책임자의 의무 방기에서 발생한다는 이해에 있다. 다만 문제 중심 저널리즘이 이를 폭로, 반복적으로 조명하는 것에 주목하고 있다면 솔루션 저널리즘은 동일한 문제가 올바른 대응을 통해 해결된 구체적 사례와 그 증거를 독자에게 제시해줌으로써 문제에 책임이 있는 집단에게 무언의 압력을 줄 수 있는 준거점을 마련해 준다는 데 그 차이점이 있다.
_ “02 솔루션 저널리즘에 대한 이해” 중에서
첫째는 일종의 ‘영웅 만들기’식 보도로, 흔히 한 인물의 성공담을 예시로 들어 특정 개인의 업적이나 자질을 필요 이상으로 상찬하거나 영웅화하는 것을 일컫는다. 가령 한 사람이 문제 해결의 성공을 거두게 된 과정과 접근법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그 인물이 사회를 위해 얼마나 많은 것을 포기하고 대담한 결정을 내렸는지 등에 대한 이야기만을 나열하는 보도를 건설적인 솔루션 저널리즘의 사례로 보기는 어렵다.
_ “03 솔루션 저널리즘의 필수 구성요소” 중에서
해당 사안의 부정적 사례들을 조명해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것도 의미 있는 보도일 수 있지만, 만일 같은 데이터를 놓고 “그렇다면 전국에서 단위 인구당 강력범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어디일까?”, “지난 20년간 강력범죄율을 가장 많이 낮춘 곳은 어디일까” 하는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답을 찾아 나가는 보도 역시 사회적 문제에 대한 개선이 어디서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를 독자들에게 알려주는 의미 있는 기획이 될 수 있다.
_ “04 솔루션 저널리즘 스토리텔링”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