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62670
· 쪽수 : 82쪽
· 출판일 : 2021-10-15
책 소개
목차
우리는 다양성 가치를 추구하고 있는가
01 한국 언론의 다양성 추구 가치
02 한국 사회에서 다양성 가치는 왜 필요한가
03 나폴리의 미디어 다양성 모델
04 공급원 다양성
05 내용 다양성
06 노출 다양성
07 김담희의 노출 다양성 결손 모델
08 필터 버블과 에코 챔버
09 뉴스 평가 가치로서 다양성과 전문성
10 민주사회에서 다양성 가치 함양
저자소개
책속에서
방송은 시청자와 청취자에 대한 영향력이 크다고 가정해 사회적 책임이론에 근거, 공정성과 공익성을 최우선 가치로 여긴다. 따라서 방송의 취재보도와 관련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심의 규칙으로 다양성 추구 조항을 명확히 적시하고 있다. 하지만 신문의 경우에는 다른 사회 문화적 가치보다 언론의 자유를 우선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그 운영 규정에 다양성 추구 가치를 명시하지 않고 있다.
_ “01 한국 언론의 다양성 추구 가치” 중에서
한국이나 미국 신문의 내용을 분석해 보면 정보원 다양성의 실현이 그렇게 쉬운 문제가 아니다. 한국은 말할 필요도 없고 미국의 주요 경성 뉴스의 정보원은 행정부를 포함한 공적 기관의 인물이 과반수다. 특별히 미국 뉴스의 경우에는 한 기사에서 주요 정보원의 숫자가 한국과 비교할 때 최소 2∼3배부터 많게는 4∼5배 이상 많았다.
_ “04 공급원 다양성” 중에서
미디어의 내용 다양성이 수용자의 노출 다양성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의견의 공개 시장을 기반으로 하는 민주사회 모델이 잘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특별히 이념적으로 보수적이거나 진보적인 수용자가 선택적 노출을 해서 점점 더 사회가 양극화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다.
_ “06 노출 다양성”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