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91128862977
· 쪽수 : 110쪽
· 출판일 : 2022-02-03
책 소개
목차
인쇄 언어에서 웹 언어까지
01 의미 대사와 감정 대사
02 더빙 언어의 특성
03 더빙 언어의 문법파괴
04 더빙 언어와 우리말 다듬기
05 더빙 언어와 품격 살리기
06 더빙 언어와 외래어
07 더빙 언어와 음악, 음향 효과
08 더빙 대사, 더빙 녹음 기호 표기하기
09 영상 자막 제작하기
10 더빙 성우의 조건
저자소개
책속에서
발성법에서 더빙 언어는 라디오 드라마나 TV 드라마보다도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라디오 드라마나 TV 드라마 대사는 일상 언어 형태로 쓰이고, 연기자도 발성하는 중에 외부의 어떤 제약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TV 외화는 녹음 중 연기자는 화면을 봐야 하고, 또 헤드폰을 통한 스타의 옵티컬 대사를 들어야 한다. 그러므로 더빙 언어는 강조, 억양, 악센트 등이 연기자 자신도 모르게 그 원음에 따라 적용되어 우리의 일상 언어 형태에서 벗어나기 쉽다.
_ “02 더빙 언어의 특성” 중에서
더빙 언어에서 엄격하게 시제를 지키면 오히려 어색한 대사가 된다. 우리말은 과거와 미래가 분리되어 있지 않고, 현재형은 과거와 미래가 포함되어 있다. … 대화에서는 조사가 거의 붙지 않는다. 오히려 조사를 붙이면 대사가 어색해진다. 조사가 붙어 매끄럽지 않은 대사가 될 때, 조사를 삭제해도 충분히 표현될 때 조사를 삭제한다.
_ “03 더빙 언어의 문법 파괴” 중에서
영상 음악은 극적 분위기를 묘사하고, 그 분위기를 더 고조시키거나 저하하기도 한다. 또한 영상 음악은 대사를 강조하기도 하고, 연기자의 대사 표현 한계를 보충해주고, 영상 표현의 한계를 보충한다. 즉, 연기자가 표현하지 못한 영역과 영상이 표현 못 하는 것을 표현해주는 것이다. 영상 음악은 대사와 대사 사이, 그리고 대사가 생략된 장면의 공백을 메우는 것이 아니라 그 작품의 한 요소로 작용해야 한다.
_ “07 더빙 언어와 음악, 음향효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