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아시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28863899
· 쪽수 : 116쪽
· 출판일 : 2022-06-20
책 소개
목차
왜 화교 경제권인가?
01 중화 경제권의 부상
02 화교의 등장
03 화교 네트워크
04 인도네시아의 화교
05 싱가포르의 화교
06 말레이시아의 화교
07 필리핀의 화교
08 태국의 화교
09 미국의 화교
10 기타 국가의 화교
저자소개
책속에서
19세기 말, 즉 청나라 말기에 화교들이 해외로 이주·정착하였는데, 그때 당시 동남아시아 국가는 대부분 서양의 식민지였다. 서양인들은 뛰어난 현지 적응력과 근면성을 갖춘 화교들을 중간관리자 등으로 채용하거나, 그들에게 많은 사업 아이템을 제공하였고, 화교들은 서양인들과 깊은 유대관계를 통해 부를 축적할 수 있었다.
_ “02 화교의 등장” 중에서
인도네시아 화교는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토톡이고, 다른 하나는 페라나칸이다. 토톡은 중국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중국 문화를 잘 유지하고 있고 인도네시아 외의 화교와 관계를 잘 유지하고 있는 화교다. 어떻게 보면 순수 혈통 화교들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페라나칸은 조기 이민자 후손으로 인도네시아인과 결혼하였고 현재는 중국어를 사용하지 않는 화교다.
_ “04 인도네시아의 화교” 중에서
말레이시아에는 총인구의 약 25% 정도가 화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들은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의 약 60%를 소유하고 있으며, 행정 및 경영 부문 전문 인력 엘리트 가운데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화교 가운데 영어 교육을 잘 받은 화교들은 사업 성공 속도가 굉장히 빠른 편이고, 그와 반대로 중국어를 교육받은 화교들은 최근 부쩍 늘어나고 있는 중국 자본의 유입으로 인해서 전에 없는 주목을 받는 상황이다.
_ “06 말레이시아의 화교”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