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가족 다양성과 미디어](/img_thumb2/9791128864728.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64728
· 쪽수 : 102쪽
· 출판일 : 2022-10-14
책 소개
목차
가족의 재발견
01 청년 1인 가구의 명암
02 결혼 안팎의 중년 1인 가구
03 노년 1인 가구의 자유와 고독
04 한부모 가족의 솔로 육아
05 돌아온 가족, 재혼 가족
06 무자녀 가족의 동상이몽
07 자발적 비혼모 가족의 등장
08 청소년 부모 가족의 역습
09 이웃집 다문화 가족의 조건
10 이방인의 이산가족
저자소개
책속에서
<돌싱포맨>, <미운 우리 새끼>에 출연하는 이혼남들은 무해하다. 이들은 자신의 결혼 지위와 상관없이 적극적으로 사교 모임에 참여하거나 동질 집단을 형성하여 사회적으로 완전한 고립 상태를 피한다. 특히 혼인 기간 동안 부부관계를 통해 육체적, 정서적 안정감을 경험한 이들은, 심리적으로 위축되거나 관계 단절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친밀성을 확보한다.
_ “02 결혼 안팎의 중년 1인 가구” 중에서
그간 혼자 아이를 양육하는 부모를 편모, 편부 가정으로 일종의 결손가정으로 정의해왔다. 하지만 비혼부·비혼모 혹은 이혼 후 부모 중 한 명의 양육자와 함께 가족을 구성하는 형태가 증가하며 이들을 향한 차별과 편견의 시선을 거두어가고 있다. 한부모 가족이라는 용어로 전환한 만큼, 싱글맘과 싱글 대디가 꾸린 가족에 대한 돌봄이 필요한 때다.
_ “04 한부모 가족의 솔로 육아” 중에서
부부가 다양한 사회적, 생물학적 원인으로 난임이라는 현실적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지쳐가는 몸과 마음을 다스려야 하는 것은 오롯이 여성의 몫이다. 실질적인 체외수정 시술이 시작되면 여성의 몸은 잉태와 그것을 지켜내기 위한 호르몬 투여를 묵묵히 받아내야 한다.
_ “06 무자녀 가족의 동상이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