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64803
· 쪽수 : 86쪽
· 출판일 : 2022-10-14
책 소개
목차
뉴스룸은 어떤 혁신이 필요한가?
01 시민들의 대표기구로서 뉴스룸
02 대표성과 다양성
03 뉴스룸 다양성 적용 범주
04 뉴스룸 다양성 판단 기준
05 뉴스룸 다양성과 저널리즘 품질
06 뉴스룸 다양성 증진 조건
07 한국의 뉴스룸 다양성
08 공영방송과 뉴스룸 다양성
저자소개
책속에서
뉴스룸이 시민을 대표한다면, 어떤 의미에서 대표하는 것일까? 대표성은 공식적 관점, 묘사적 관점, 상징적 관점, 실체적 관점에서 각기 다르게 조명된다. 이 중 뉴스룸 대표성을 구성하는 근간은 실체적 관점이지만 실체적 관점은 묘사적 관점에 의해 보완될 필요가 있다. 묘사적 관점의 대표성은 뉴스룸 다양성을 통해 구현된다.
_ “02 대표성과 다양성” 중에서
뉴스룸 다양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객관적 기준과 주관적 기준이 있다. 객관적 기준은 전체 인구나 고용인구를 기준으로 삼지만 유연성이 부족하다. 언론인들이 뉴스룸이 다양하다고 주관적으로 인식하기 시작하는 임계점은 30%다. 한편, 이 기준은 전체 언론인 비율인가 개별 뉴스룸에서 비율인가, 그리고 개별 뉴스룸의 규모가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달라진다.
_ “04 뉴스룸 다양성 판단 기준” 중에서
뉴스룸 다양성은 고용, 승진 및 처우, 조직문화 차원에서 각각 다양성, 공정성, 포용성(DEI) 개념으로 접근할 수 있다. 뉴스룸 DEI는 경영진을 비롯해 조직구성원 전체적으로 핵심 목표로 설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다양성 보고서 발간을 통해 그 목표에 대해 서약할 수 있어야 한다. 디지털 플랫폼 기업은 뉴스룸 다양성을 뉴스 추천 알고리즘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_ “06 뉴스룸 다양성 증진 조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