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91128867170
· 쪽수 : 290쪽
· 출판일 : 2023-05-30
책 소개
목차
초판 서문
머리말
시장이론
공황론 - 기존 이론에 대한 비판
부록 1. 자본과 시장- S. 불가코프의 저작 《자본주의 생산 아래에서의 시장》과 관련하여
부록 2. 《현대 영국의 산업공황》 러시아어 3판 제2부의 구성 및 2부 4장 발췌번역
찾아보기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리뷰
책속에서
이 모든 것들을 이해하고 나면, 자본주의 경제에서 공황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원인을 이해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자본의 증가, 자본의 축적은 끊임없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생산 확장과 공업 시설에 대한 자본 투자는 축적된 자본이 극복해야 하는 끊임없는 저항에 직면한다. 크고 작은 잉여 자본, 자유로운 자본이 형성되고 이는 시장에서 투자처를 찾아 헤매지만 앞서 말한 생산 확대의 곤란함에 의해 투자처를 발견하지 못한다. 조금씩 자유로운 자본은 쌓여 간다. 투자되지 않은 자본은 소유자에게 어떠한 소득도 낳아 주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잉여 자본이 많으면 많을수록 소유자가 그것을 투자할 기회를 더 집요하게 찾아 나설 것이라는 점은 명백하다. 한편 산업은 새로운 자본의 수용을 거부하고, 다른 한편으로 자본은 끝없이 성장하는 힘을 통해 이[저항]를 압박한다. 결국 자유 자본이 충분히 쌓이고 그 결과, 산업의 저항은 극복되어 자유 자본은 산업 속으로 파고 들어가 투자처를 찾는다. 산업의 활황기가 도래하는 것이다.
위대한 사람들이 그러한 것처럼, 위대한 체계는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사회경제적·이데올로기적 관계들을 기초로 하여 유기적으로 성장한다. 마르크스의 독창성은 다른 사람에게서 그가 차용한 모든 것들을, 그의 고유한 체계의 관점으로 재구축하여 우연한 부산물이 아닌 유기적인 구성 부분으로 도입한 점에 있다. 자본의 재생산 분석에 관한 마르크스의 기본적인 사상은 상품의 전반적인 과잉생산의 불가능성에 관한 고전학파의 교의와 완전히 동일하다. 그러나 리카도나 밀은 (세와 같은 어중이떠중이들과는 차원이 다르지만) 이 교의를 자본주의의 전체 상품유통의 총체에 관한 분석과 연관시킬 능력은 없었다. 마르크스가 이를 해낸 것인데 … 여기에 그의 위대한 업적이 놓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