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인공지능 시대의 포스트휴먼 수업](/img_thumb2/9791128882135.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28882135
· 쪽수 : 286쪽
· 출판일 : 2020-0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이 책을 활용하는 방법
포스트휴먼 역량
01 생명 연장의 꿈
1. 교사를 위한 안내
2. 수업의 구성
3. 평가 안내
4. 수업을 위한 자료
5. 활동
기본 활동 : 죽음 앞의 인간
심화 활동 : 현실이 된 호모 헌드레드
탐구 활동 : 생명 연장을 위한 노력의 빛과 그림자
적용 활동 : 죽음을 거부하는 미래의 인류
02 자연을 정복하는 인간, 자연과 소통하는 인간
1. 교사를 위한 안내
2. 수업의 구성
3. 평가 안내
4. 수업을 위한 자료
5. 활동
기본 활동 : 인간, 지구의 정복자
심화 활동 : 과거부터 현재까지 자연과 인간의 관계
탐구 활동 : 미래의 지구 환경, 그리고 지속 가능한 미래
적용 활동 : 함께 살아가는 자연과 인간
03 인공 생명
1. 교사를 위한 안내
2. 수업의 구성
3. 평가 안내
4. 수업을 위한 자료
5. 활동
기본 활동 : 생명을 정의하기
심화 활동 : 인간의 생명 창조는 타당한가
탐구 활동 : 오늘날의 생명과학
적용 활동 : 디자이너 베이비
04 인간과 노동, 그리고 포스트휴먼
1. 교사를 위한 안내
2. 수업의 구성
3. 평가 안내
4. 수업을 위한 자료
5. 활동
기본 활동 : 노동이란 무엇인가
심화 활동 : 미래의 노동 전망하기
탐구 활동 : 첨단 기술과 우리의 삶
적용 활동 : 인류와 로봇이 함께 만들어 갈 노동의 미래
05 로봇과 인간의 윤리
1. 교사를 위한 안내
2. 수업의 구성
3. 평가 안내
4. 수업을 위한 자료
5. 활동
기본 활동 : 로봇 윤리란 무엇인가
심화 활동 : 자율 주행 차량과 윤리
심화 활동 : 로봇에 의해 인간이 피해를 입는다면
심화 활동 : 우리는 로봇을 배려해야 할까
탐구 활동 : 로봇 윤리의 역사
적용 활동 : 인간을 닮아 가는 로봇
06 초연결 사회, 소통과 단절
1. 교사를 위한 안내
2. 수업의 구성
3. 평가 안내
4. 수업을 위한 자료
5. 활동
기본 활동 : 서로 연결된 나와 너, 온라인과 오프라인
심화 활동 : SNS와 우리 사회의 변화
탐구 활동 : 새로운 차원의 연결, 초연결 사회의 삶
적용 활동 : 초연결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
07 가상현실 속의 나
1. 교사를 위한 안내
2. 수업의 구성
3. 평가 안내
4. 수업을 위한 자료
5. 활동
기본 활동 : 현실세계와 가상세계
심화 활동 : 내가 만들고 싶은 가상세계
탐구 활동 : 현실과 가상현실
적용 활동 : 가상세계의 새로운 정체성
08 빅데이터의 두 얼굴, 편리성과 감시
1. 교사를 위한 안내
2. 수업의 구성
3. 평가 안내
4. 수업을 위한 자료
5. 활동
기본 활동 : 빅데이터의 두 얼굴, 편리성과 감시
심화 활동 :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감시 권력
탐구 활동 : 감시에 의해 통제되는 우리들
적용 활동 : 우리는 감시한다, 우리를 감시하는 자들을
09 새로운 관계성
1. 교사를 위한 안내
2. 수업의 구성
3. 평가 안내
4. 수업을 위한 자료
5. 활동
기본 활동 : 다양한 포스트휴먼 만나기
심화 활동 : 포스트휴먼 역할 놀이 및 미션 수행하기
탐구 활동 : 포스트휴먼 시대의 마음 나누기
적용 활동 : 포스트휴먼 시대의 다양한 주체들과 평화롭게 공존하기
참고 자료
저자소개
책속에서
포스트휴먼(posthuman)은 ‘인간 이후의 인간’, ‘인간 아닌 것’들까지 포함하는 새로운 인간의 등장과 전통적 개념인 생물학적 인간의 종말이라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 개념입니다. 무엇보다도 포스트휴먼은 인간 존재에 대한 기존의 관점들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멀지 않은 미래에 인간의 삶뿐 아니라 인간성에 대해서도 새로운 정의가 내려지고 인간의 범주 또한 새롭게 정해질 것입니다. (중략) 포스트휴머니즘이란 근대 이후 세계를 구성한 세계관의 재정립, 즉 인간중심주의의 극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동시에 이는 단순히 인공지능이나 생명과학, 인간 존재의 개선에 대한 논의를 넘어 서구 사회가 타자로 규정해 왔던 여성, 동물, 퀴어, 사물 등으로 주체의 범위를 넓히는 작업이기도 합니다. 인간, 즉 휴먼을 다시 정의하는 시점에서 글로벌 시민성의 내용, 공동체의 범위, 구성원 간의 연대에 대해서도 우리는 다시 생각해야 합니다. 확실한 것은 인간 중심적 사고 위에서 구축한 모든 것, 제도·법·윤리·노동·문화 등에 대해 근본적으로 다시 사유하고 다시 정립할 시간이 다가왔다는 것입니다.
- 머리말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