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우리 교육은 불평등하다](/img_thumb2/9791128891274.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빈곤/불평등문제
· ISBN : 9791128891274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2-04-29
책 소개
목차
1부 제도교육 출발점부터 확인되는 학습 기회 불평등 구조
01 ‘최소 비용 최고 효율’의 수업과 학습 기회 불평등
학교 수업을 봐야 하는 이유
연구 방법
수업을 둘러싼 사회적 맥락
최소 비용, 최고 효율의 수업
수업이 낳는 학습 기회 불평등
02 수업 내 학생 분류·통제와 학습 기회 불평등
학생 분류하기
학생 통제하기
수업을 통해 누적되는 학습 기회 불평등
03 학부모의 자녀 학습 지원과 학습 기회 불평등
학부모에 대한 교사의 기대
학부모의 자녀 학습 지원 방식
부익부 빈익빈의 학습 기회 구조
2부 학습 기회 불평등 구조에 균열을 내려면
04 교육에 대한 빈곤 영향 들여다보기
왜 빈곤에 관심을 기울이는가
빈곤, 빈곤층이란
빈곤과 교육에 대한 연구들
연구 방법
빈곤한 아이들의 삶
교육에 대한 빈곤 영향의 중층성
빈곤 자체에 대응하기, 학교 역할 성찰하기
05 교육복지와 학교 역할: 함께하는 시간으로 관계 맺기
교육복지 정책 확대의 맥락
연구 방법
연구 참여 학교의 특성
학교 역할에 대해 갈등하는 두 관점
교육복지: 함께하는 시간을 통한 관계 맺기, 그리고 총체적 지원
06 표준화된 시험 밖의 성취 바라보기: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통해 얻는 성취 특성이 주는 가르침 배경
학교 교육 효과로서 시험 성적에 대한 논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분석 연구들과 이 글의 질문
연구 방법
지역과 학교 현황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통한 성취 특성
촉진 요인
성취의 인격성과 총체성: 학교 교육 및 학교 효과 연구 프레임 변화 요구
3부 균열 너머 근본적 변화를 위한 시도
07 ‘계층 사다리’ 넘어서기
대학은 왜 가는가
대학을 나와도 걸맞은 직업이 보장되지 않는다
그래도 대학은 나와야 한다: 대학 진학에 대한 사회적 압력
기본 자녀 양육비가 늘었다: 사회적 생존을 위한 기초 경비 확대
‘계층 사다리’ 프레임을 버리고 선택지가 다양한 사회로
08 사회적 삶의 공간으로 학교 다시 세우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여기서 두 차원의 학습 기회 불평등 문제가 발생한다. 하나는 ‘교과서 해설식 수업’과 ‘과제 부과식 수업’이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하지만 교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준비된 학생만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발생하는 학습 기회 불평등 문제다. 다른 하나는 중요한 교과를 중심으로 하는 ‘교과서 해설식 수업’이 학생들의 지식에의 접근 기회를 교과서 맥락에 가둔다는 점에서 발생하는 문제다. 교실 수업이 교과서 맥락에 갇힌 지식을 강조함으로써 교과서를 넘어선 보다 확장된 지적 경험은 가정에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불평등 문제가 그것이다.
수업 내 학생들이 갖는 서로 다른 위치로 인하여 ‘공부를 하려는 아이’와 ‘공부를 하지 않으려는 아이’가 만들어지는 것은 교사가 개별 학생들의 능력에 따라 기대를 달리한 결과가 아니다. 그것은 교과 내용을 다루고 수업 진행을 위해 학생을 통제하는 교사 활동이 갖는 특성에 의해 만들어지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중략) 이러한 학생들 사이의 공부에 대한 태도 차이는 그들이 전체 삶을 통하여 얻게 될 학습 기회의 차이로 연결될 수 있다.
어떠한 조건에 있든 모든 아이는 교육받을 권리가 있다는 유엔 아동 권리 헌장을 굳이 내세우지 않더라도 ‘모든 아이들을 위한 교육’이라는 기본 전제를 충족시키기 위해 애써야 하는 것이 학교 교육의 핵심 역할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