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28897344
· 쪽수 : 112쪽
· 출판일 : 2023-07-01
책 소개
목차
지역 대학교수의 교육 혁신을 위한 고민
01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실험과 실패, 그리고 효과
02 관학 협력을 통한 교육 혁신
03 테마 변동형 수업
04 강의 개선을 위한 노력
05 학습자 주도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
06 연구 기반 강의, 강의 기반 연구
07 학습자 중심의 비교과 독서 모임
08 교수자의 한계를 보완하는 비교과 멘토링
09 강의실 밖에서 진행되는 교육
10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전제
저자소개
책속에서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와의 관학 협력 수업, 미디어리터러시의 이해는 대학 학습자들의 미디어리터러시 역량 제고라는 의도된 효과 외에 학습자들의 전공 역량 제고 및 진로 개발,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프로그램 이용 활성화라는 의도치 않는 효과를 이끌어낼 수도 있다. 그러나 관학 협력 수업의 활성화는 협력 기관 담당자와 담당 교수의 의지, 양 기관에 도움이 될 수 있을 때 활성화될 수 있다.
02_“관학 협력을 통한 교육 혁신” 중에서
학습자들이 어려워하여 회피하던 교과목인 <미디어리서치>는 버전을 거듭한 플립러닝의 적용으로 해마다 수업 평가 점수가 향상됐다. 미디어리서치 수업의 성과는 강의 개선을 위한 교수의 노력이 학습자들의 강의 만족도와 강의 선호도, 그리고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장에서는 폐지 위기에 놓여 있던 미디어리서치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학생들의 사랑을 받는 교과목으로 거듭나게 되었는지에 대해 설명했다.
04_“강의 개선을 위한 노력” 중에서
2022년에도 앞서 소개한 사례와 유사한 방식으로 교육과 연구를 진행했다. 예컨대 필자는 2022년 1학기에 개설된 전공과목인 <미디어리서치>라는 수업 진행에 앞서 평소에 관심이 있던 우수 지역 방송의 효과에 대한 연구 설계를 했다. 그리고 이 연구 설계를 미디어리서치 수업에 접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동시에 논문을 완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06_“연구 기반 강의, 강의 기반 연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