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30302751
· 쪽수 : 429쪽
· 출판일 : 2016-02-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_iii
머리말_vii
CHAPTER 01 도입 및 개관 1
1.1 이 책의 목표_4
1.2 두 가지 사고유형_5
1.3 편향 다루기_6
1.4 구조화 분석기법의 역할_7
1.5 팀 분석의 가치_9
1.6 구조화 분석기법의 역사_10
1.7 이 책에서 선정한 기법_13
1.8 각 장의 개관_15
CHAPTER 02 시스템2 분류체계 구축 21
2.1 시스템2 방법의 분류체계_ 27
2.2 구조화 분석기법의 분류체계_30
CHAPTER 03 적절한 분석기법 선택 33
3.1 핵심기법_37
3.2 구조화 분석기법 습관화_40
3.3 하나의 프로젝트와 복수의 분석기법_44
3.4 분석기법 선택의 일반적 실수_45
3.5 구조화 분석기법 선택 가이드_47
CHAPTER 04 분해와 시각화(Decomposition and Visualization) 51
4.1 시작 체크리스트(Getting Started Checklist)_58
4.2 AIMS(Audience, Issue, Message, Storyline)_61
4.3 고객 체크리스트(Customer Checklist)_64
4.4 이슈 재정의(Issue Redefinition)_67
4.5 연대표(Chronologies)와 타임라인(Timelines)_70
4.6 분류(Sorting)_74
4.7 순위부여, 점수부여, 우선순위 결정(Ranking, Scoring, Prioritizing)_77
4.8 매트릭스(Matrices)_84
4.9 벤 분석(Venn Analysis)_88
4.10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_95
4.11 마인드 맵(Mind Maps)과 개념도(Concept Maps)_105
4.12 프로세스 맵(Process Maps)과 간트 도표(Gantt Charts)_ 112
CHAPTER 05 아이디어 창출(Idea Generation) 119
5.1 구조화 브레인스토밍(Structured Brainstorming)_125
5.2 온라인 브레인스토밍(Virtual Brainstorming)_132
5.3 명목집단기법(Nominal Group Technique: NGT)_135
5.4 스타버스팅(Starbusting)_139
5.5 교차영향력 매트릭스(Cross-Impact Matrix)_141
5.6 형태적 분석(Morphological Analysis)_145
5.7 사분면 분할(Quadrant CrunchingTM)_149
CHAPTER 06 시나리오와 지표(Scenarios and Indicators) 159
6.1 시나리오 분석(Scenarios Analysis)_165
6.2 지표(Indicators)_182
6.3 지표 타당성 검증도구(Indicators ValidatorTM)_191
CHAPTER 07 가설 수립과 검증(Hypothesis Generation and Testing) 197
7.1 가설수립(Hypothesis Generation)_203
7.2 진단적 추론(Diagnostic Reasoning)_ 213
7.3 경쟁가설분석(Analysis of Competing Hypotheses: ACH)_217
7.4 논점 도표화(Argument Mapping)_232
7.5 기만 탐지(Deception Detection)_236
CHAPTER 08 인과관계의 평가(Assessment of Cause and Effect) 243
8.1 핵심가정 점검(Key Assumptions Check)_249
8.2 구조화 유추(Structured Analogies)_257
8.3 역할연기(Role Playing)_262
8.4 레드 햇 분석(Red Hat Analysis)_267
8.5 외생변수통합 사고(Outside-In Thinking)_273
CHAPTER 09 도전분석(Challenge Analysis) 277
9.1 사전 실패가정 분석(Premortem Analysis)_288
9.2 구조화 자기비판(Structured Self-Critique)_294
9.3 발생가정 분석(What If? Analysis)_301
9.4 고충격?저확률 분석(High Impact?Low Probability Analysis)_307
9.5 악마의 변론(Devil’s Advocacy)_312
9.6 레드 팀 분석(Red Team Analysis)_316
9.7 델파이 기법(Delphi Method)_318
CHAPTER 10 갈등관리(Conflict Management) 327
10.1 적대적 공동작업(Adversarial Collaboration)_333
10.2 구조화 토론(Structured Debate)_340
CHAPTER 11 의사결정 지원(Decision Support) 345
11.1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s)_352
11.2 의사결정 매트릭스(Decision Matrix)_355
11.3 찬성?반대?결점?보완(Pros-Cons-Faults-Fixes)_359
11.4 영향력 요소 분석(Force Field Analysis)_364
11.5 SWOT 분석(SWOT Analysis)_367
11.6 영향력 매트릭스(Impact Matrix)_370
11.7 복잡성 관리자(Complexity Manager)_374
CHAPTER 12 공동작업을 위한 가이드 383
12.1 사회적 네트워크와 분석 팀_386
12.2 업무분담_391
12.3 소규모 그룹과 관련된 일반적 위험성_394
12.4 다양성에서 기인하는 이점_396
12.5 옹호와 객관적 질문_398
12.6 리더십과 훈련_400
CHAPTER 13 구조화 분석기법의 검증 403
13.1 실증적 분석의 한계_405
13.2 표면적 타당성 확립_407
13.3 실증적 검증 프로그램_410
13.4 추천 연구 프로그램_417
CHAPTER 14 구조화 분석기법의 미래 419
14.1 자료의 구조화_422
14.2 핵심 추동요인_424
14.3 2020년 미래의 모습_426
찾아보기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