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30304250
· 쪽수 : 492쪽
· 출판일 : 2017-03-10
목차
서 문 ⅲ
제1장 서 론 / 1
제1절 경호의 위해환경 1
1. 테러리즘 2
2. 범죄 7
제2절 경호학의 학문적 접근 8
1. 경호학의 의의 8
2. 경호학의 학문적 패러다임 9
제2장 경호의 의의와 기본이념 / 13
제1절 경호의 의의 13
1. 경호의 개념 13
2. 경호와 경비의 관계 30
3. 경호의 법적 근거 38
제2절 경호의 기본이념 47
1. 경호이념의 의의 47
2. 국가이념상의 경호이념 48
3. 경호조직운영상의 경호이념 55
4. 경호이념과 경호윤리 58
제3장 경호의 역사적 발전과정 / 63
제1절 경호역사의 인식방법 63
1. 자경주의로서의 경호 63
2. 국가의 등장과 경호의 공식화?제도화 64
3. 근대국가 성립이후 경호의 전문화?민주화 65
제2절 근대국가 이전의 경호제도 66
1. 삼국시대의 경호제도 66
2. 고려시대의 경호제도 68
3. 조선시대의 경호제도 74
제3절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경호제도 81
1.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대통령경호 81
2. 대통령경호실의 설치와 발전 83
제4장 경호조직의 구조 / 87
제1절 경호조직의 의의 87
1. 경호조직의 개념 87
2. 경호조직의 특징 88
3. 경호조직의 운영원칙 90
제2절 각국의 경호조직 93
1. 영국의 경호조직 94
2. 미국의 경호조직 97
3. 독일의 경호조직 100
4. 프랑스의 경호조직 102
5. 일본의 경호조직 103
제3절 한국의 경호조직 105
1. 대통령경호실장 105
2. 하부조직 106
3. 대통령경호안전대책위원회 107
4. 관계기관 113
제5장 경호인사관리 / 117
제1절 경호인사관리의 의의 117
1. 경호인사관리의 개념 117
2. 경호인사관리의 중요성 117
3. 경호인사관리의 법적 근거 118
4. 경호인사관리의 원리 119
제2절 경호인사제도 126
1. 경호공무원의 의의 126
2. 경호공무원의 권리와 의무 130
3. 경호인사기관 139
제3절 경호인사관리의 과정 143
1. 경호공무원의 모집 143
2. 경호공무원의 법적 관계의 발생 146
3. 경호공무원의 법적 관계의 변경 149
4. 경호공무원의 법적 관계의 소멸 154
5. 경호공무원의 퇴직관리 156
제6장 경호권한 / 159
제1절 경호권한의 의의 159
1. 경호권한의 개념 159
2. 경호권한의 특징 160
제2절 경호권한의 유형 161
1. 경호행정경찰권한 161
2. 경호사법경찰권한 176
3. 경호무기사용권한 178
제3절 경호권한의 재량행위와 조리상의 한계 180
1. 경호권한의 재량행위 180
2. 경호권한 행사의 조리상의 한계 183
제7장 경호현장운용의 기초이론 / 191
제1절 경호위기관리와 경호현장운용의 의의 191
1. 경호위기관리 191
2. 경호현장운용의 의의 195
제2절 경호현장운용의 기본체계와 원리 200
1. 경호현장운용의 기본체계: 3중경호이론 200
2. 경호현장운용의 기본원리와 기법 211
제3절 경호현장운용상의 경호원의 자세와 행동원칙 224
1. 경호원의 자세 224
2. 경호원의 행동원칙 227
제8장 경호준비단계 / 235
제1절 경호준비의 의의 235
1. 경호준비의 개념 235
2. 경호준비의 중요성 237
제2절 경호정보활동과 위해요소의 평가 238
1. 경호정보활동 238
2. 경호위해요소의 평가 248
제3절 경호계획의 수립 251
1. 경호계획의 의의 251
2. 경호계획서의 구성 251
3. 경호계획의 브리핑 253
제9장 경호대비단계: 선발경호 / 255
제1절 선발경호의 의의 255
1. 선발경호의 개념 255
2. 선발경호의 특징 257
제2절 경호작전체계의 확립 259
1. 경호작전체계의 의의 259
2. 경호구역의 설정 262
제3절 경호안전대책 270
1. 경호안전대책의 의의 270
2. 경호정보·보안대책 271
3. 경호통제대책 276
4. 경호안전검측과 안전유지대책 279
5. 경호비상·구급대책 284
제10장 경호대응단계: 근접경호 / 287
제1절 근접경호의 의의 287
1. 근접경호의 개념 287
2. 근접경호의 특성 288
제2절 근접경호의 방법 290
1. 도보이동 근접경호 290
2. 차량이용 기동경호 297
제3절 경호비상대응 308
1. 경호우발상황 308
2. 경호응급처치 315
제11장 경호복장·장비와 의전 / 337
제1절 경호복장과 장비 337
1. 경호복장 337
2. 경호장비 341
제2절 경호의전 351
1. 경호의전의 의의 351
2. 경호의전 서열 352
3. 경호예절 355
4. 국기에 대한 의전 359
제12장 경호와 대테러정책 / 367
제1절 테러리즘의 의의 367
1. 테러리즘의 개념 367
2. 테러리즘의 발생원인 373
3. 국제테러조직과 공격수단 378
4. 주요국가의 대테러 특수부대 389
제2절 한국 대테러조직과 대응체계 393
1. 테러방지대책의 근거와 책무 393
2. 테러대책 및 대응조직 394
3. 테러대응절차 401
4. 테러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대책 403
부록 407
찾아보기 463
참고문헌 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