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농.식품경제원론

농.식품경제원론

김성훈, 권오상, 김승규, 김현석, 문한필, 유도일, 장재봉, 정원호 (지은이)
박영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9,600원 -10% 980원 16,660원 >

책 이미지

농.식품경제원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농.식품경제원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91130305158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8-02-09

책 소개

농업경제학, 식품경제학, 자원경제학을 전공하는 학부 학생들이 세부전공과목을 배우기 이전에 공부할 수 있는 종합적인 원론서다. 전통적인 농업부문은 물론 식품산업, 농산물 투입재 산업 등과 같은 농업관련 산업 전체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목차

PART I >> 농·식품경제학의 소개
제1장 농·식품경제학이란? 15
제1절 농·식품경제학의 중요성·16
제2절 농·식품경제학의 형성 및 발전과정·20
1 미국과 유럽 _ 20
2 아시아 _ 22
3 한국 _ 24
제3절 농·식품경제학의 주요 주제·25

제2장 농·식품산업의 현황 31
제1절 국민경제에서의 농·식품산업의 위치·32
제2절 농업생산주체·36
제3절 농업생산구조·39
제4절 식품 및 외식산업·43
제5절 농·식품 소비자·44
제6절 농·식품산업과 국민경제, 국제무역·48
제7절 농·식품산업 현황 요약·50

PART II >> 시장이론
제3장 소비 57
제1절 효용이론·58
제2절 무차별곡선·61
제3절 예산제약·64
제4절 소비자선택·67
제5절 선택의 변화·69
제6절 시장수요·74

제4장 생산 79
제1절 생산기술·80
1 단기의 생산기술 _ 81
2 장기의 생산기술 _ 83
제2절 생산비용·86
1 단기의 생산비 _ 86
2 장기의 생산비 _ 89
제3절 생산량의 결정·93
1 단기 _ 94
2 장기 _ 95
제4절 다수 산출물의 생산·97
제5절 생산자이자 소비자로서의 자급농·99

제5장 완전경쟁시장 105
제1절 시장의 범위·106
제2절 완전경쟁시장의 균형·107
제3절 소비자잉여, 생산자잉여와 완전경쟁시장균형의 효율성·109
제4절 농산물 시장개입의 후생효과·112
1 가격지지제도 _ 113
2 생산량 조정제도 _ 114
3 생산자와 소비자 간 후생의 재분배 _ 116
제5절 농산물 가격안정화의 후생효과·120

제6장 불완전경쟁시장 125
제1절 판매독점·126
1 독점시장의 균형 _ 126
2 독점력의 크기와 결정요인 _ 128
제2절 수요독점·131
제3절 독점기업의 가격설정전략·133
1 가격차별화 _ 134
2 2부가격제와 묶어팔기 _ 138
제4절 독점적 경쟁·140
제5절 과점시장·142

제7장 요소시장 147
제1절 농·식품 요소시장의 개념과 특징·148
1 파생수요로서의 요소수요 _ 148
2 농·식품 요소시장의 특징 _ 149
제2절 요소시장의 균형원리·150
1 요소수요 _ 151
2 요소공급과 요소시장균형 _ 153
제3절 경제지대·154
제4절 농업노동력 시장의 균형·156
제5절 농업정책과 농지가격·159
1 농지공급이 탄력적인 경우 _ 159
2 농지공급이 비탄력적인 경우 _ 161
제6절 농지가격의 결정요인·163
제7절 농산물이 투입요소로 사용되는 경우: 바이오에너지·166

PART III >> 농·식품경제의 확대와 고도화
제8장 농·식품 유통 175
제1절 유통과 가격·176
1 유통의 개념과 역할 _ 176
2 농산물 가격의 특성과 발견 _ 177
제2절 유통 경로 및 기능·179
1 유통경로 _ 179
2 유통마진 _ 182
3 유통단계별 기관과 기능 _ 183
제3절 마케팅 및 시장 분석·186
1 마케팅의 개념과 전략 _ 186
2 시장 분석의 개념과 주요 이론 _ 191

제9장 식품산업 197
제1절 식품산업의 개념과 실태·198
1 개념과 여건 _ 198
2 식품가공산업 _ 200
3 외식산업 _ 203
제2절 푸드 시스템과 가치사슬·207
1 푸드 시스템 _ 207
2 가치사슬 _ 209

제10장 농·식품 가격 및 파생상품 215
제1절 농·식품 가격·216
1 농산물 가격의 특성 _ 216
2 농산물 가격의 불안정성 _ 217
3 농산물 가격의 변동 _ 218
제2절 농산물 파생상품·225
1 선물시장 _ 225
2 옵션시장 _ 230

제11장 협동조합 237
제1절 협동조합의 원리·238
1 기본 개념 _ 238
2 이론적 검토 _ 239
제2절 농업협동조합과 소비자협동조합·246
1 농업협동조합 _ 246
2 소비자협동조합 _ 250
PART IV >> 농·식품경제와 국민경제
제12장 농업과 거시경제 259
제1절 경제순환모형·260
1 생산요소 시장 _ 261
2 생산물 시장 _ 261
3 정부의 역할 _ 261
4 공공부문(정부)을 포함한 경제순환모형 _ 262
제2절 국민계정·264
1 국내총생산(GDP)과 국민총소득(GNI) 간 차이 _ 264
2 국내총생산의 산출 _ 265
3 국민총소득과 처분가능소득 _ 267
4 명목 국내총생산과 실질 국내총생산 _ 269
제3절 국내총생산과 농·식품산업·272

제13장 거시정책과 농·식품산업 279
제1절 농업금융정책·280
1 융자 _ 280
2 보증 _ 282
3 투자 _ 283
4 기술금융 _ 284
5 농업금융정책 효과 _ 285
제2절 농업재정정책·287
1 소득지지 _ 288
2 경영안정 _ 290
3 다원적 기능 지원 _ 297
4 농업 기술개발(R&D) 지원 _ 298

PART V >> 자원·환경 및 농촌발전
제14장 자원·환경과 농·식품산업 305
제1절 자원·환경과 경제·306
1 자원·환경의 경제학설사(史)적 고찰 _ 306
2 자원·환경과 경제와의 관계 _ 308
제2절 시장실패와 자원·환경 문제·310
1 자원의 효율적 분배: 소유권과 시장메커니즘 _ 311
2 자원의 비효율적 분배: 시장실패 _ 311
제3절 자원·환경 문제의 해결·318
1 오염물질의 적정 관리 _ 319
2 시장실패의 해결방안 _ 322

제15장 천연자원의 합리적 이용 329
제1절 자원의 개념·330
1 자원의 경제학적 의미 _ 330
2 자원의 희소성과 경제문제 _ 331
제2절 자원의 분류·332
1 자원의 분류 방식 _ 333
2 비재생자원, 재활용자원, 재생자원 _ 334
제3절 동태효율성과 지속가능성·338
1 동태효율성 _ 338
2 지속가능성 _ 345

제16장 농촌발전 353
제1절 입지이론과 지역성장·354
1 입지이론 _ 354
2 지역성장이론 _ 357
? 지역성장의 경제분석 _ 362
제2절 농촌 현황과 발전 방향·368
1 농촌의 현황 _ 368
2 낙후지역으로서의 농촌 발전방향 _ 372

PART VI >> 무역과 발전
제17장 농·식품 무역 381
제1절 무역과 개방경제·382
1 무역의 원인과 결과 _ 382
2 개방경제와 세계경제 _ 385
제2절 무역이론의 전개·387
1 비교우위와 리카르디안 모형(The Ricardian Model) _ 388
2 요소부존도와 헥셔-오린 모형(Heckscher-Ohlin Model) _ 389
3 산업 간 요소이동과 무역의 소득분배 효과 _ 392
4 산업 내 무역(intra-industry)의 증가와 새로운 무역이론 _ 393
제3절 한국의 농·식품 무역·396
1 농식품 무역 현황 _ 396
2 비교우위와 산업 내 무역 _ 400

제18장 무역정책과 시장개방 409
제1절 무역정책·410
1 관세 _ 410
2 수입쿼터 _ 413
3 수출보조 _ 416
4 기타 비관세장벽 _ 418
제2절 한국의 농·식품 시장개방과 통상정책·421
1 UR 농업협상과 WTO 체제 하에서의 시장개방 _ 421
2 FTA 추진과 시장개방의 가속화 _ 427
3 수입개방에 대응한 농정대책 추진 _ 430

제19장 농업발전과 국제협력 437
제1절 경제발전모형·438
1 로스토우의 성장단계설과 해로드-도마모형 _ 438
2 2부문모형 _ 439
3 내생적 경제성장론과 조정실패론 _ 443
제2절 농업경제의 발전·446
제3절 해외 농업협력 및 개발·450
1 국제농업개발협력 _ 450
2 해외농업개발 _ 455

연습문제 해답·460
찾아보기·467
INDEX·471

저자소개

김성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 졸업(학사) 동 대학원 농경제학과 졸업(석사) 미국 퍼듀대학교 농업경제학과 졸업(박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한국농업경제학회 감사 농림수산식품부 식품포럼 위원 농림수산식품부 외식산업포럼 위원 농림축산식품부 농산물유통포럼 위원 농림축산식품부 국민공감농정위원회 위원 농림축산식품부 농산물수급조절위원회 위원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진흥심의회 위원 농촌진흥청 강소농 경영혁신지원단 위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자문위원 서울시농수산물공사 자문위원 국무조정실 정부업무평가 위원 기획재정부 보조사업평가단 위원 기획재정부 기금운용평가단 위원 농어업 · 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전문연구위원 현) 농림축산식품부 규제심사위원회 위원 농협중앙회 경제사업 평가위원 국무조정실 식품안전정책위윈회 위원 한국농업경제학회 이사 한국농식품정책학회 이사 한국공정거래학회 이사 한국외식산업정책학회 이사 충남대학교 농업경제학과 교수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농산물자조금 연구센터장 [저서] 농 · 식품 경제원론(공저, 박영사, 2024) 한국식품연감 2018-2024(공저, HNCOM, 2018) 김치산업론(공저, 세계김치연구소, 2016) 한국 농업 경제학 50년의 회고와 전망(공저, 한국농업경제학회, 2008) 농식품유통론(공저, 박영사, 2016)
펼치기
권오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 졸업(경제학사)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 대학원 졸업(경제학 석사) University of Maryland at College Park 대학원 졸업(농업 및 자원경제학 박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근무(책임연구원) 현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자원경제학전공 교수 전공분야: 자원·환경경제학, 생산경제학, 기후변화의 경제학
펼치기
김승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졸업(경제학사)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대학원 졸업(농업자원경제학 석사)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대학원 졸업(자연자원경제학 박사) USDA, Economic Research Service 근무(Research Economist) 현 경북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 전공분야: 자원·환경경제학, 공간경제분석, 농업정책
펼치기
김현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무역학과 졸업(경영학사)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 대학원 졸업(경제학 석사) Oklahoma State University 대학원 졸업(농업경제학 박사) 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농산업 및 응용경제학과 연구교수 에너지경제연구원 근무(부연구위원) 현 경북대학교 농경제학과 조교수 전공분야: 상품선물 및 옵션시장, 농산물가격이론, 에너지경제학
펼치기
문한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 졸업(경제학사)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 대학원 졸업(경제학 석사) Oregon State University 대학원 졸업(응용경제학 박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근무(연구위원) 현 전남대학교 농업경제학과 부교수 전공분야: 농산물 무역, 농업통상 및 국제협력
펼치기
유도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졸업(경제학사)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대학원 졸업(경제학 석사)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대학원 졸업(농업 및 응용경제학 박사) 삼성경제연구소 근무(수석연구원) 충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근무(조교수 및 부교수) 현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자원경제학전공 부교수 전공분야: 농업 및 응용경제학, 자원·환경경제학, 기술경제학(ICT, BT, 디지털 농식품경제학)
펼치기
장재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농업경제학과 졸업(경제학사)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대학원졸업(경제학 석사) Oklahoma State University 대학원졸업(농업경제학 박사) Oklahoma State University 근무(Post-doctoral Research Associate)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근무(부연구위원) 영남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근무(교수) 현 건국대학교 식품유통공학과 교수 전공분야: 농식품경제학, 식품소비, 실험경제학
펼치기
정원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농업경제학과 졸업(경제학사) University of Minnesota 대학원졸업(농업경제학 석사) University of Minnesota 대학원졸업(응용경제학 박사) 한국산업은행 근무(파생상품딜러, 과장) 미국 US Bank 근무(신용위험분석가, Vice President)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근무(부연구위원) 현 부산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 전공분야: 농업정책, 농업금융, 농업경영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60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