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30306384
· 쪽수 : 500쪽
· 출판일 : 2018-08-30
목차
제1부 행정과 행정학 이해의 기초
제1장 행정국가와 현대정부
제1절 국가관의 변천과 행정국가의 특성 3
1. 행정국가의 등장 3
2. 행정국가의 특징 4
3. 시장실패와 정부실패 6
제2절 현대행정의 기능과 행정관료의 역할 7
1. 현대행정의 기능 7
2. 현대행정의 특징 8
3. 행정관료의 역할 9
제3절 행정의 과정 10
제4절 행정과 환경 12
1. 일차적 환경: 정치적 환경 12
2. 이차적 환경 14
제5절 우리나라 정부의 구성 16
제6절 정보사회와 행정 18
1. 정보사회의 의의 18
2. 정보사회의 정부모형 19
제2장 행정의 개념과 가치
제1절 행정개념의 다양성 21
제2절 공행정과 사행정의 비교 22
제3절 공공행정의 기본적 속성 24
1. 공익성 24
2. 합리성 27
3. 조직성 29
제4절 행정의 추구가치: 행정이념 31
1. 행정이념의 의의 31
2. 행정이념의 내용 32
3. 행정이념 간의 우선순위 36
제3장 행정학의 발달과 접근방법
제1절 행정학의 이론적 특성과 체계 39
1. 행정학의 이론적 특성 39
2.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40
3. 행정학의 체계 43
4. 행정학과 인접학문과의 관계 45
제2절 행정학의 발달과정 46
1. 독일의 관방학과 슈타인의 행정학 46
2. 미국행정학의 발달배경 47
3. 미국행정학의 발달과정 48
4. 비교행정론 53
5. 발전행정론 55
6. 신행정론 57
7. 신공공관리론과 뉴거버넌스 및 신공공서비스론 58
제3절 행정학의 접근방법 65
1. 제도론적 접근방법 65
2. 역사적 접근방법 65
3. 행태론적 접근방법 66
4. 생태론적 접근방법 67
5. 체제론적 접근방법 69
6. 현상학적 접근방법 71
7. 공공선택론적 접근방법 73
8. 신제도론적 접근방법 75
제4장 행정수요의 관리
제1절 행정수요의 관리 77
1. 행정수요의 의의 77
2. 행정수요의 관리방안 78
3. 행정수요측정과 사회지표 79
제2절 행정서비스의 민영화 80
1. 민영화의 의의 80
2. 민영화의 방법 81
제5장 현대관료제와 행정문화
제1절 관료제의 의의 83
1. 관료제의 개념 83
2. 관료제의 구조?기능적 측면 84
3. 관료제의 성립요건 85
제2절 이념형 관료제 86
1. 베버의 이념형 관료제이론 86
2. 관료제의 특징 87
제3절 베버이론의 수정 88
1. 사회학자들에 의한 수정 88
2. 발전론자들에 의한 수정 89
제4절 관료제의 병리와 쇄신 91
1. 관료제병리의 연구 91
2. 관료제의 병리현상 92
3. 관료제와 민주주의의 관계 94
제5절 행정문화와 관료행태 97
1. 행정문화의 의의 97
2. 행정문화의 내용 97
3. 행정문화의 쇄신 100
제2부 공공정책과 정책과정
제1장 정책학과 정책의 본질
제1절 정책학의 등장과 정책연구 105
1. 정책학의 등장 105
2. 정책연구의 특징 106
제2절 정책의 의의와 정책과정 107
1. 정책의 개념과 구성요소 107
2. 정책과정과 참여자 109
3. 정책순환과 정치체제 111
제3절 정책유형 112
제4절 정책환경 114
1. 정책환경의 의의 114
2. 정책과 정책환경의 관계 115
제5절 정책분석 117
1. 정책분석의 의의 117
2. 정책대안의 현실성 119
제2장 정책의제설정
제1절 정책의제 121
1. 정책의제의 의의 121
2. 정책의제의 유형 122
제2절 정책의제설정모형 123
1. 외부주도모형 125
2. 동원모형 125
3. 내부접근모형 125
제3절 정책의제설정자 126
1. 정책환경으로서의 정책의제설정자 126
2. 정책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28
3. 정책의 수용장치 128
제3장 정책결정
제1절 정책결정의 의의 131
1. 정책결정의 개념 131
2. 정책결정자 131
3. 정책결정과정 133
제2절 정책결정모형 134
1. 합리모형 134
2. 만족모형 135
3. 점증주의모형 136
4. 혼합관조모형 137
5. 최적모형 138
6. 쓰레기통모형 140
7. 공공선택이론 145
제4장 정책집행
제1절 정책집행의 의의와 유형 147
1. 정책집행의 개념과 특징 147
2. 정책집행자 148
3. 정책집행의 유형 149
제2절 정책집행의 순응과 불응 151
1. 순응의 개념 151
2. 순응의 원인 151
3. 불응의 원인 152
4. 순응확보의 전략 153
제5장 정책평가
제1절 정책평가의 의의와 과정 155
1. 정책평가의 개념과 목적 155
2. 정책평가의 과정 156
제2절 정책평가의 기법 157
1. 과정평가 157
2. 영향평가 158
제6장 정책변동
제1절 정책변동의 의의와 유형 161
1. 정책변동의 의의 161
2. 정책변동의 유형 161
제2절 정책승계의 의의와 유형 163
1. 정책승계의 의의 163
2. 정책승계의 유형 164
제3절 정책종결의 의의와 유형 165
1. 정책종결의 의의 165
2. 정책종결의 유형 166
제4절 정책변동의 원인과 한계 166
1. 정책변동의 원인 166
2. 정책변동의 한계 168
제3부 조직이론과 조직관리
제1장 조직과 조직이론
제1절 조직의 의의 173
제2절 조직의 유형 175
1. 파슨스의 분류 175
2. 블라우와 스코트의 분류 175
3. 에치오니의 분류 176
제3절 조직이론의 변천 177
1. 고전적 조직이론 177
2. 신고전적 조직이론 178
3. 현대조직이론 180
제4절 조직목표와 조직효과성 181
1. 조직목표의 의의와 유형 181
2. 목표와 조직효과성 평가 183
3. 조직목표의 변동 187
4. MBO 189
제2장 조직의 구조와 설계
제1절 조직구조의 의의 193
1. 조직구조의 기본변수 194
제2절 조직설계에 대한 상황적 접근 202
1. 보편적 접근법과 상황적 접근 202
2. 조직구조의 객관적 상황변수 203
3. 조직구조의 주관적 상황변수 207
제3절 조직구조의 유형 209
1. 기계적 조직구조와 유기적 조직구조 209
2. 계선조직과 참모조직 210
3. 일반적 조직형태 211
4. 현대적 조직형태 216
5. 정보사회에서의 새로운 조직형태 220
제3장 조직관리의 의의와 과정
제1절 조직관리의 개념과 과정 225
1. 조직관리의 개념 225
2. 조직관리의 과정 226
제2절 조직의 관리계층 226
1. 최고관리층 226
2. 중간관리층 227
3. 하위관리층 227
제3절 관리의 새로운 동향 227
1. 품질관리 227
2. 전략관리 229
3. 지식관리 231
제4절 기획 233
1. 기획의 의의와 유형 233
2. 기획과정과 효과적 기획의 원칙 234
3. 기획의 제약 237
제5절 조정 238
1. 조정의 개념과 기능 238
2. 조정의 과정 239
3. 조정의 방법 240
제4장 동기부여와 집단역학
제1절 동기부여 245
1. 동기부여의 내용이론 245
2. 동기부여의 과정이론 247
3. 직무재설계와 동기부여 249
제2절 집단과 집단역학 254
1. 집단의 의의와 유형 254
2. 집단역학 257
제5장 리더십과 의사결정 및 의사전달
제1절 리더십 259
1. 리더십의 개념 259
2. 리더십 이론의 변천 259
3. 리더십의 차원분류 261
4. 리더십의 상황이론 263
5. 리더십 이론의 새로운 경향 265
제2절 의사결정 269
1. 의사결정의 의의와 과정 269
2. 의사결정의 유형 270
3. 의사결정 이론모형 271
4. 집단의사결정의 기법 272
제3절 의사전달 273
1. 의사전달의 개념과 과정 273
2. 조직에서의 의사전달의 유형과 방법 275
제6장 권력과 갈등관리
제1절 권력과 권위 279
1. 권력의 의의 279
2. 권력의 유형 280
3. 권위의 개념과 기능 및 유형 281
4. 권위의 수용 282
제2절 갈등관리와 협상 283
1. 갈등의 의의 283
2. 갈등의 기능과 유형 284
3. 갈등상황과 갈등유발요인 287
4. 갈등의 관리방안 289
5. 협상 292
제7장 조직문화와 조직변화
제1절 조직문화 295
1. 조직문화의 개념과 기능 295
2. 조직문화의 개발과 관리 296
제2절 조직변화 296
1. 조직변화의 개념 296
2. 조직변화의 단계와 담당자 297
3. 조직변화의 저항과 극복 298
제4부 인사행정: 정부인적자원의 관리
제1장 인사행정의 의의와 정부인사제도
제1절 인사행정의 의의 303
제2절 인사행정제도의 발달 304
1. 정실주의와 엽관주의 304
2. 실적주의 305
3. 대표관료제 309
제3절 중앙인사기관 311
1. 중앙인사기관의 설치이유 311
2. 중앙인사기관의 성격 312
3. 중앙인사기관의 기능 313
4. 한국의 중앙인사기관 314
제4절 공직분류와 공무원제도 317
1. 분류의 의의 317
2. 공직의 유형 317
3.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318
4. 직업공무원제 323
5. 폐쇄형 공무원제와 개방형 공무원제 326
6. 고위공무원단제도 327
제2장 정부인적자원의 확보와 관리
제1절 모집 329
1. 모집의 의의와 적극적 모집 329
2. 지원자격요건 330
제2절 시험 330
1. 시험의 의의와 종류 330
2. 시험의 효용성 제고 331
제3절 임명 332
1. 임용후보자명부 332
2. 추천 332
3. 시보임용 332
제4절 교육훈련 333
1. 교육훈련의 의의와 목적?효용 333
2. 교육훈련의 내용에 따른 종류 333
3. 교육훈련방법 334
4. 교육훈련에 대한 저항과 대책 336
제5절 공무원평정 337
1. 근무성적평정 337
2. 경력평정 338
3. 가점평정 338
제6절 인사이동 339
1. 상이한 계급 또는 직급 간의 인사이동: 승진과 강임 339
2. 동일한 계급 또는 직급 간의 인사이동: 전직과 전보 340
3. 승급 341
제3장 보상과 사기관리
제1절 보수 343
1. 보수의 의의와 보수체계 343
2. 우리나라 공무원의 보수체계 343
제2절 공무원연금 344
1. 공무원연금제도의 의의 344
2. 공무원연금의 재정 운용 345
제3절 사기와 인간관계관리 346
1. 사기관리 346
2. 인사상담 347
3. 고충처리 347
4. 제안제도 348
제4장 공무원의 행동규범과 통제
제1절 공직윤리와 행동규범 349
1. 공직윤리 349
2. 행동규범?의무 350
3. 공무원의 충성 350
제2절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351
1. 정치적 중립의 개념과 필요성 351
2. 정치적 중립의 확보 351
제3절 공무원의 단체활동: 공무원노조 352
1. 의의 352
2. 공무원단체의 활동 353
제4절 신분보장과 징계 및 소청 353
1. 신분보장 353
2. 징계 354
3. 소청 354
제5부 재무행정: 예산과 재정의 관리
제1장 재무행정과 예산 이해의 기초
제1절 재무행정의 의의와 법적 기초 357
1. 재무행정의 영역 357
2. 재무행정의 연구대상 357
3. 한국의 재무행정 담당조직 358
4. 재무행정의 법적 기초 359
제2절 정부예산의 의의 361
1. 정부예산의 개념 361
2. 정부예산의 특성 361
3. 예산의 기능 362
제3절 정부예산의 종류 364
1. 정부의 총지출 구성 재원 364
2. 본예산?수정예산?추가경정예산 366
3. 잠정예산?가예산?준예산 367
4. 총계예산?순계예산 368
5. 균형예산?긴축예산 369
6. 흑자예산?적자예산 369
제4절 세입세출의 분류 369
1. 의의 369
2. 세입세출 분류의 유형 370
제2장 예산과정
제1절 예산과정의 의의와 특징 375
제2절 예산편성 376
1. 의의 376
2. 예산편성 과정 376
제3절 예산심의 379
1. 의의 379
2. 예산심의 과정 379
제4절 예산집행 382
1. 의의 382
2. 예산집행 과정 383
3. 예산집행의 신축성 385
제5절 결산 및 회계검사 388
1. 의의 388
2. 결산과정 388
3. 회계검사 390
제3장 예산제도개혁
제1절 성과주의예산제도 393
1. 의의 393
2. 성과주의예산제도의 장?단점 393
제2절 계획예산제도 395
1. 의의 395
2. PPBS의 기본원칙 395
3. PPBS의 효용 396
4. PPBS의 한계 397
제3절 영기준예산제도 398
1. 의의 398
2. ZBB의 특징 398
3. ZBB의 효용과 문제점 399
제4절 일몰예산과 감축관리 400
1. 일몰예산 400
2. 감축관리 401
제5절 자본예산제도 402
1. 의의 402
2. 자본예산의 장점 402
3. 자본예산의 문제점 403
제6부 지방자치와 정부혁신
제1장 지방자치와 주민참여
제1절 지방자치 407
1. 지방자치의 의의 407
2. 지방자치권 408
3. 우리나라 지방자치기관 410
제2절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419
1.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의의 419
2.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장?단점 420
3. 신중앙집권화와 중앙통제 421
4. 광역행정 423
제3절 주민참여 424
1. 주민참여의 개념 424
2. 주민참여의 유형 428
3. 한국의 주민참여제도 유형 430
4. 주민참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435
5. 주민참여와 정보공개제도 437
제2장 행정책임과 행정통제
제1절 행정책임에 관한 이론적 논쟁 441
1. 프리드리히의 이론 441
2. 파이너의 이론 442
3. 양 이론의 종합적 고찰 443
제2절 행정책임의 본질 443
1. 봉사자로서의 책임 443
2. 책임과 통제 444
제3절 행정통제: 행정책임의 확보 445
1. 행정통제의 의의 445
2. 행정통제의 중요성 445
3. 행정통제의 방법 446
4. 우리나라 행정통제의 방향 451
제3장 행정개혁과 정부혁신
제1절 행정개혁의 의의 453
1. 행정개혁의 개념 453
2. 행정개혁의 기본요소 453
3. 행정개혁의 필요성 454
제2절 행정개혁의 접근방법 455
1. 구조적?기술적 접근방법 455
2. 인간관계적 접근방법 456
3. 종합적 접근방법 456
제3절 행정개혁의 과정 457
1. 제1단계: 개혁의 필요성 인식 457
2. 제2단계: 개혁안의 작성 및 결정 457
3. 제3단계: 개혁의 실행 458
4. 제4단계: 개혁의 평가 458
제4절 행정개혁과 저항 459
1. 저항의 원인 459
2. 저항에 대한 대책 460
참고문헌 463
색인 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