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30311340
· 쪽수 : 266쪽
· 출판일 : 2021-01-10
책 소개
목차
CHAPTER 01 테마파크 업의 이해
① 비일상성 3
② 테마의 선정 4
③ 종합 엔터테인먼트 공간 6
이슈 01흥미로운 테마파크의 태동 이야기 8
이슈 02글로벌 체인 테마파크의 유치 12
이슈 03강력한 IP 콘텐츠와 구현 가능성 15
이슈 04테마파크와 IP 콘텐츠의 새로운 실험 19
CHAPTER 02 테마파크 개발 프로세스
테마파크는 어떤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지는가? 25
① 사업의 구상 25
이슈 01스토리 텔링 26
② 사업 부지의 확보 27
이슈 02해당 지방자치단체와의 사전 협의 27
이슈 03사업지 주민들과의 소통 28
③ 설계Design 프로세스 30
이슈 04테마파크 건축물 리스트 32
이슈 05고객 조사의 시행 33
이슈 06예비 사업 타당성 분석 35
이슈 07네이밍(naming) 35
이슈 08기타 준비사항들 36
이슈 09왜 우리나라는 창의적 설계(creative design)를 해외에 많이 의존하는가? 41
④ 인허가 절차 42
⑤ 공사 49
⑥ 운영 준비 51
⑦ 소프트 오픈 52
⑧ 그랜드 오픈 53
CHAPTER 03 테마파크 추진과 주요 쟁점들
① 기획-디자인-엔지니어링 분야의 인적 물적 투입의 단계 57
② 테마파크는 전문 기획자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 59
③ 테마파크의 주 고객은 반드시 “가족”이어야 한다. 62
④ 모든 공간과 시설은 주된 사용자 관점에서 구성되어야 한다. 63
⑤ 사업성 분석의 단계적 시행 69
CHAPTER 04 테마파크의 기획 및 설계 기준
① 설계 기준일park design day의 수립 75
② 첨두 파크 체류객 수PIP, peak in park의 산정 76
이슈 01설계 기준일은 항구적인 것이 아니다 77
③ 파크 조성에 필요한 면적은 어떻게 추정하는가 80
④ 테마파크의 세부 시설별 설계 기준 80
이슈 02동선 흐름의 쏠림 현상 극복 93
이슈 03Closing the Loop(서비스와 경험의 완결성) 94
이슈 04전이 구역(연결과 단절) 95
이슈 05보행자 피로도 개선을 위한 동선 설계 96
이슈 06공연장 등의 수용력 산정 기준 100
⑤ 편의시설의 설계 기준 102
CHAPTER 05 테마파크의 특수성
① 가공의 연출 기술Pretend Technology 적용 113
이슈 01테마파크 아트 워크(art work)의 종류 118
② 기타 ‘가공의 연출’ 방법들 119
③ ‘가공의 연출기법’ 적용 범위 120
어트랙션의 종류: 라이드, 공연, 극장 등 122
① 라이드 어트랙션ride attraction 122
② 워터 라이드water ride 127
③ 라이브 엔터테인먼트live entertainment 128
어트랙션의 도입 과정process 130
테마파크의 꽃, ‘어트랙션’ 검토 기준 134
① 어트랙션의 세부 구성 134
② 어트랙션 관련 핵심 개념 142
③ 어트랙션 운영 점검을 위한 측정 지표evaluation index 146
이슈 02라이드 어트랙션의 운영 효율성 평가 149
④ 최근의 어트랙션 개발 트렌드 153
⑤ 부가 매출 1, 식음 시설food and beverage, F&B 157
⑥ 부가 매출 2, 상품점merchandise shop, MD 160
⑦ 부가 매출 3, 스폰서십sponsorship 162
⑧ 테마파크와 사람들게스트, 캐스트 164
CHAPTER 06 테마파크와 투자 구조: 기본 개념과 사례
① 투자 구조: Players 171
② 계약의 단계: Documents 177
③ 테마파크 투자 구조 실제 사례: Cases 180
CHAPTER 07 세부 프로젝트와 생각할 점
① 동물원zoological garden 193
② 콘도미니엄, 리조트 201
③ 골프장Golf country club 202
④ 아웃도어 스포츠outdoor activities 시설 203
⑤ 기존 법인의 인수 206
⑥ 워터파크 208
⑦ 스키장 208
⑧ 테마파크 외곽 엔터테인먼트 상업시설 209
⑨ 소규모 상업적 테마 시설 211
⑩ 다이닝 쇼, 테마 레스토랑 212
⑪ 복합 리조트IR, Integrated Resort 214
이슈 01프로젝트 매니저가 챙겨야 할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의 점검 포인트 216
이슈 02코로나 등 전염병과 테마파크 사업 222
책을 마치며… 한국 관광산업에 대한 제언
따라쟁이가 되지 말고 새로운 곳에 과감히 도전하라 229
관광 소비의 거시 트렌드를 읽자 230
누가 관광을 소비해 왔고, 앞으로 누가 하게 되는가. 232
우리나라의 관광산업, 그 성장을 희망한다 234
부록 1. KPI(Key Performance Index) 236
부록 2. 테마파크 주요 용어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