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30311630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1-02-25
목차
P·A·R·T Ⅰ 서론: 연구사 검토와 문제 제기
01 한국경찰사라는 개념의 정의
02 공간사로서의 『한국경찰사』
03 『한국경찰사』에 기술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경찰활동에 관한 문제점
P·A·R·T Ⅱ 한국경찰사 총론
01 근대이전 경찰
02 근현대 경찰
P·A·R·T Ⅲ 사료 해석과 실습
01 한국 근대경찰사의 재조명 - ‘총순 구종명 영세불망비’를 사례로
02 발굴 경찰잡지 『새벽종』의 경찰사적 가치
03 해방 후 경찰잡지 개관 - 대표적 경찰잡지 『민주경찰』을 중심으로
04 한국전쟁 초기 전북지역 빨치산의 형성과 경찰 작전
05 한국전쟁기 경찰의 주민 감시와 계몽 - 전라북도 김제군을 사례로
06 ‘고마운 순경’과 ‘민주경찰행진곡’의 발굴과 그 함의
07 금산경찰서 한 경찰관의 『교양수부』와 『교양자료집』(1955∼56년)을 통해 본 사찰 활동
08 김창열의 1950년대 발굴 작품과 세계 - 『警察新潮』의 표지화를 사례로
09 경찰교육사를 통해 본 경찰교과서의 변천 - 해방부터 1970년대까지
10 실습
P·A·R·T Ⅳ 결론: ‘한국사 속의 경찰사’를 지향하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본서는 저자가 경찰대학에서 ‘한국경찰사 연구’를 강의하면서 가장 효과적으로 이들에게 이해시킬 수 있는 내용이 무엇인가에 대한 깊은 고민 끝에 교재로 만든 것이다.
저자가 진행하는 강의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기 초반 학생들에게 ‘역사와 한국사, 경찰사의 개념과 가치’, ‘사학 연구방법론’ 등을 이해시킨 후 ‘한국경찰사’를 통사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다음, ‘한국경찰사’를 제도사, 지역사, 인물사, 문화사, 전사(戰史) 등으로 세분하고, 사학적 연구방식에 따라 그 이해를 심도 있게 한다.
그리고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 성과에 대한 비판과 성찰을 통해 ‘한국경찰사’를 새로이 해석하여, 미래의 바른 ‘한국경찰사’ 주역으로 서게 한다.
이를 위해 본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서론에서는 연구사 검토와 함께 기존 『한국경찰사』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경찰 활동에 관한 내용이 소홀이 다루어졌던 문제점을 살펴봤다.
제2장에서는 ‘한국경찰사’를 제도사적 관점에서 간략하게 고찰하였다. 너무 요약한 감이 있지만 본서가 ‘한국경찰사’를 상세히 알기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부족한 내용은 이미 출간된 『한국경찰사』를 참조하면 될 것이다.
제3장에서는 ‘한국경찰사 연구’라는 과목명에 맞게 학계에 발표한 연구 성과와 사료 해석을 위한 사례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재해석과 비판은 물론, 직접 실습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통해 ‘한국사 속의 경찰사’라는 함의를 고찰하여, 학생들이 ‘한국경찰사’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오늘날 우리가 보는 역사는 정답이 아니라 사료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해답이다. 앞으로 더 많은 사료가 발굴되고, 정확한 해석과 철저한 검증을 통해 한국경찰사가 새로이 써지는 파천황(破天荒)의 날이 오길 기대한다.
아울러 이 책을 출판하는데 큰 도움을 준 박영사의 안종만 사장님, 오치웅 대리님, 한두희 선생님께 감사드린다. 또한 본서를 자세하게 교정한 사랑하는 셋째 다정에게 한결같은 사랑과 깊은 감사를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