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86356128
· 쪽수 : 303쪽
· 출판일 : 2015-02-28
책 소개
목차
| 시작하며
제1부 근대 경찰의 탄생
제1장 갑오개혁 이후 경찰제도
제1절 제1차 갑오개혁
1. 「행정경찰장정行政警察章程」의 제정
(1)경찰의 목적
(2)총순總巡의 근무 방법
(3)순검巡檢의 근무 방법
(4)위경죄 즉결 요령
(5)순검의 채용
2. 경무청警務廳의 창설
제2절 제2차 갑오개혁
제3절 을미개혁 이후
제2장 대한제국 경찰
제1절 초기의 경찰
1. 경무청
2. 지방경찰
(1)「지방경찰장정地方警察章程」의 제정
(2)지방경찰제도의 변화
제2절 경찰기관의 독립
1. 경부警部 신설
2. 경위원警衛院 신설
제3절 전국을 관할하는경무청으로 전환
제4절 러일전쟁 이후의 경찰
1. 제1차 한일협약 체결에 따른 경찰제도
(1)경무국警務局 개설
(2)경무청의 수도首都 관할
(3)지방경찰의 획기적인 변화
(4)‘경무학교警務學校’의 설립
2. 을사늑약 체결에 따른 경찰제도
(1)을사늑약 체결 전후의 정치상황
(2)통감부統監府 경찰
(3)일본식 경찰제도로 변화
3. 일본헌병대의 주둔과 활동
4. 경찰권의 상실
제2부 일제강점기 경찰
제1장 헌병경찰기
제1절 경찰조직
1. 중앙조직
2. 지방조직
제2절 헌병의 경찰활동 강화
제3절 경찰 관련 법규의 제정
1. 「범죄즉결례犯罪卽決例」
2. 「경찰범 처벌규칙警察犯 處罰規則」
3. 「조선형사령朝鮮刑事令」
4. 「조선태형령朝鮮笞刑令」
제4절 경찰교육
제5절 경찰활동
1. 행정경찰
(1)고등경찰
(2)보안경찰
(3)교통경찰
(4)풍속경찰
(5)영업경찰
(6)산업경찰
(7)위생경찰
2. 사법경찰
제2장 보통경찰기
제1절 경찰조직의 재편
1. 경찰기관의 변화
2. 계급제도의 변경
3. 경찰인력의 대폭적인 충원
4. 현장 경찰력의 강화
5. 「치안유지법」과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의 시행
제2절 경찰교육
제3장 전시경찰기
제1절 외사·국경·방공 활동의 강화
제2절 적극적인 경제경찰 활동
제3절 일반 경찰활동의 변화
제3부/ 현대 경찰
제1장 미군정 경찰
제1절 해방직후 경찰권의 혼란
1. 미군 진주 이전의 치안 활동
(1)건국치안대 조직
(2)경찰기관의 움직임
2. 경찰에 대한 보복
제2절 군정경찰의 시작
1. 미군 진주와 충돌
2. 경찰관 모집
3. 경찰행정의 시작
제3절 국립경찰의 창설
1. 경무국기
(1)경찰기관의 변화
(2)경찰업무의 이관
(3)새로운 교육 실시
2. 경무부기
(1)직제 개편
(2)경찰활동의 정비
(3)경찰업무의 지속적 이관
(4)38선의 경비 활동
(5)수사권의 변화
(6)교육의 발전
(7)경찰기관지 『민주경찰民主警察』의 발간
제2장 대한민국 경찰
제1절 치안국기
1. 한국전쟁 이전
(1)경찰기관의 변화
(2)수사경찰의 정비
(3)경비경찰의 활동
(4)경찰통신시설의 정비
2. 한국전쟁기 경찰활동
(1)전투경찰 활동
(2)전시 경찰행정
(3)전시 수사업무
(4)전시 경찰교육
3. 한국전쟁 후 경찰활동
(1)치안국의 직제개편
(2)직속 기구의 변화
(3)경찰관 감원
(4)경찰관련 법령의 제정
4. 4월 혁명과 경찰중립화의 시도
(1)4월 혁명
(2)경찰숙정
(3)경찰중립화 시도의 좌절
5. 5·16군사정변 이후 경찰의 변화
(1)5·16군사정변
(2)경찰의 변화
(3)형사소송법의 개정
제2절 치안본부기
1. 기구 개편
2. 경찰행정의 변화
3. 경찰중립화 시도와 선언
제3절 경찰청기
1. 「경찰법」 제정과 기구의 개편
2. 현장경찰의 변화
3. 자치경찰제 시행
4. 해양경찰청 소속 경찰관의 인수
5. 경찰교육의 발전
| 맺으며
참고문헌
사진 목록
표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