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모든 국민의 안정된 삶을 위한 미래인재전략

모든 국민의 안정된 삶을 위한 미래인재전략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류장수, 정재호 (지은이)
박영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600원
19,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모든 국민의 안정된 삶을 위한 미래인재전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모든 국민의 안정된 삶을 위한 미래인재전략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30314983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1-12-30

책 소개

미래인재전략은 생애 전반에 걸쳐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 필요한 역량을 손쉽게 개발하는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환으로 야기될 고용불안으로 국민들이 고통을 받지 않고 보다 안정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 가자는 것이다.

목차

CHAPTER 01
새로운 인재전략이 필요하다


제1절 환경변화와 인재전략 3
제2절 각 장의 구성 및 주요 내용 8
제3절 모든 국민의 안정된 삶을 위하여 14

CHAPTER 02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고등교육과 평생교육의 혁신


제1절 문제의 제기 19
제2절 현황 및 문제점 21
제3절 정책 과제 47
제4절 결론 80

CHAPTER 03
유연하고 안정적인 노동시장과 직업능력정책


제1절 문제의 제기 85
제2절 직업능력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 89
제3절 노동시장 이중구조화와 포용적 노동시장 101
제4절 디지털 전환과 자동화 위험에 대처하는 직업능력정책 110
제5절 정책 과제 120
제6절 결론 126

CHAPTER 04
일-학습-삶이 연계된 평생직업교육


제1절 문제의 제기 131
제2절 현황 및 문제점 133
제3절 정책 과제 142
제4절 결론 172

CHAPTER 05
모든 국민의 평생진로개발 체제 구축


제1절 문제의 제기 177
제2절 현황 및 문제점 180
제3절 정책 과제 206
제4절 결론 223

CHAPTER 06
탄소중립 이행과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고용·직업능력정책


제1절 문제의 제기 229
제2절 현황 및 문제점 234
제3절 정책 과제 256
제4절 결론 277

참고문헌 279

표 차례

<표 2-1> 고등교육 성장 유형에 따른 대학의 기능 변화 22
<표 2-2> 미국의 연합대학 사례 23
<표 2-3> 대학 유형별 학과당 전임교원 수 24
<표 2-4> 서울대학교와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생명과학부 비교 25
<표 2-5> 일반대학의 전문대학 관련 전공 설치 현황 27
<표 2-6> 학생 1인당 공교육비 30
<표 2-7> 수도권·지방대학 신입생 충원율 예상 추계 35
<표 2-8> 온라인 동영상 강의 비중 상위 7개 대학(2019년) 46
<표 2-9> 코로나19 시기 국내 대학의 비대면 수업 운영현황(2020년 2학기) 46
<표 2-10> 대학 재정지원사업 현황(2017) 52
<표 2-11> 부실 유경력 대학 주요 교육지표별 현황 57
<표 3-1> 사회 환경 변화와 정부 대응 방안 87
<표 3-2> 직업능력개발훈련 유형별 참여인원 및 집행액(2020년) 95
<표 3-3> 스킬 수준과 불평등에 따른 국가 유형화 113

<표 4-1> 임금근로자 학력별 총근로 일수, 총근로 시간, 월 임금액 현황 135
<표 4-2> ‘직업교육기본법(안)’ 제정안 주요 골자 148
<표 4-3> 생애주기 단계별 지역의 학교-기업 연계 직업교육지원 155
<표 5-1> 청소년 진로개발 정책 182
<표 5-2> 초·중·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 배치 현황(2020. 04. 기준) 183
<표 5-3> 초등학교의 진로전담교사 배치 여부 183
<표 5-4> 공공고용서비스 기관 및 주요 업무 185
<표 5-5> 진로개발 관련 법 및 교육제도 187
<표 5-6> 성인 진로교육 관련 법령의 주요 내용 188
<표 5-7> 진로 및 취·창업 지원 조직(센터)을 알고 있지만 이용하지 않은 이유 192
<표 5-8> 학교 진로활동별 향후 참여 희망(중·고등학생) 195
<표 5-9> 진로 준비에 필요한 대학과 정부 지원 내용 195
<표 5-10> 중·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진로교육 자료 습득 경로 201
<표 5-11> 진로교육 관련 사이트를 활용하지 않는 이유(중·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 202
<표 5-12> 진로 재설계를 위한 준비 204
<표 5-13> 공공 교육시설의 성인 진로 서비스 이용 경험과 만족도 205
<표 5-14> 호주 진로개발 가이드라인 209
<표 6-1>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최종안 총괄표 237
<표 6-2>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한 공정한 노동전환 지원 방안 253

그림 차례

[그림 2-1]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학생 수 추이 26
[그림 2-2] 연도별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입학자 수 28
[그림 2-3] 20~24세 고등교육 졸업(혹은 재학) 이상 인구의 언어능력 점수와 향상 정도 31
[그림 2-4] 20~24세 고등교육 졸업(혹은 재학) 이상 인구의 수리능력 점수와 향상 정도 32
[그림 2-5] 대학 입학정원과 입학인원(추계) 33
[그림 2-6] 2021학년도 지역별 대학 입학정원 충족률 전망 결과 34
[그림 2-7] OECD 주요국의 국공립 전문대학과 정부의존형 사립 전문대학 비중(학생 수 기준) 36
[그림 2-8] 전문대학 전임교원 추이 37
[그림 2-9] 2019년 전문대학 시간제 학생 비중 38
[그림 2-10] 전문대 입학생의 연령별 비중 39
[그림 2-11] 평생학습 참여율 국제 비교 40
[그림 2-12] 임금근로자 연령별 평생학습 참여율 국제 비교(25~44세 대비 비율) 41
[그림 2-13] 임금근로자 속성별 평생학습 참여율 격차 42
[그림 2-14] 기업 규모별 원격근무 시행 현황 44
[그림 2-15] 업종별 유연근무제 경험 비율 45
[그림 2-16] 고등교육 체제의 재구조화 49
[그림 2-17] 전공 영역별 특성화 전략 51
[그림 2-18] 지방정부 산학협력 허브기관 개념도 53
[그림 2-19] 학과당 평균 전임교원 수 59
[그림 2-20] ‘전 국민 평생장학금’의 구조 64
[그림 2-21] 전 국민 평생장학금 소요 재원 추정 65
[그림 2-22] 평생교육 불참 요인(복수 응답) 67
[그림 2-23] 일학습순환제 개념도 69
[그림 3-1]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에서 직접 일자리 창출 지출 비율 91
[그림 3-2] 훈련의 고용률 순효과 추정 결과: 고용보험 가입 일자리 vs. 모든 일자리 93
[그림 3-3] 인지역량 - 연령 곡선(Skill Proficiency-Age Profile) 100
[그림 3-4] 전체 고용에서 숙련 수준별 일자리 규모 변동 추이: 1995~2015년 102
[그림 3-5]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별 평균 근속기간-취업시간-월평균 임금 추이: 2013~2020년 103
[그림 3-6] 코로나19 이후 노동시장 지위에 따른 일자리 상실 비율 106
[그림 3-7] OECD 주요 국가의 평균 근속 연수(2016/2020년) 108
[그림 3-8] 실업 기간에 따른 실업 급여의 순소득 대체율 109
[그림 3-9] OECD 스킬 전략 상황판: 스킬 성과 지표의 요약 114
[그림 3-10] OECD 국가 일자리의 자동화 위험 분포: PIAAC 개인 자료 추정 116
[그림 3-11] 자동화 위험과 지난 1년간 훈련 참여 비율 118
[그림 3-12] 국가별 일자리 자동화 위험(평균)과 연령집단별 분포 119
[그림 4-1] 미래 환경 변화에 따른 평생직업교육 진단과 혁신 과제 132
[그림 4-2] 생애 단계별 평생직업교육 참여 기회 불균형의 10가지 유형 134
[그림 4-3] 25~26세 임금근로자 중 사업주 지원 비정규 교육 및 직업훈련 참여자 비율(2016) 137
[그림 4-4] 한국의 기업 규모별 교육훈련 방법별 참여 현황 138
[그림 4-5] 국가역량체계 개요도 145
[그림 4-6] 지역인재 육성을 위한 지역공동체 성장 기반 마련 151
[그림 5-1] 중앙과 지역의 진로교육 협력체계 181
[그림 5-2] 중학생의 학교 진로활동별 참여율 변화(2015~2020년) 190
[그림 5-3] 진로 및 취·창업 지원 조직 이용 경험 191
[그림 5-4] 공공 교육시설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진로목표 체계 영역별 만족도 193
[그림 5-5] 진로교육정보망 통합회원 수(2019~2021) 197
[그림 5-6] 진로교육정보망 통합회원 신규 가입자 수(2019~2021) 197
[그림 5-7] 커리어넷 페이지 뷰(2019~2021) 198
[그림 5-8] 커리어넷 온라인 진로상담 건수(2019~2021) 199
[그림 5-9] 대학 진로 및 취·창업 교육 강화에 대한 인식(대학생) 203
[그림 5-10] 진로 및 취·창업 준비를 위해 필요한 사항(대학생) 203
[그림 5-11] 모든 국민의 진로개발 지원체제(안) 207
[그림 5-12] 진로교육정보망 챗봇시스템 구축 로드맵 221
[그림 6-1] 주요 제조업·에너지 다소비 업종 비중(2019) 235
[그림 6-2] 정의로운 전환에 대한 네 가지 접근과 기구별 포지셔닝 249
[그림 6-3]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고용·직업능력개발 정책 과제 257
[그림 6-4] 상생형지역일자리 모델과 이해관계자 역할 259
[그림 6-5] 고용위기에 대응한 노동자 지원 유형 263

저자소개

류장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에서 경제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정책 연구에 관심이 많아 지난 20년 이상 정부의 정책 개발에 참여해왔다. 대표적으로 교육부총리 정책보좌관으로 교육 정책 전반에 직접 참여했다. 대통령자문기구인 교육인적자원정책위원회 전문위원과 노사관계개혁위원회 전문위원을 지냈으며,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 청년재단 이사장, 교육부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 위원장, 교육부 지방대학?전문대학발전위원회 위원장,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고등교육연구 한국 책임자 등 여러 정부의 교육과 일자리 영역에서 다양한 역할을 맡기도 했다. 2018년 9월까지 2년간 부경대학교 기획처장, 전국 지역중심 국공립대 기획처장협의회 회장으로 일했다. 현재 부경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문재인 정부에서 교육부 대학구조개혁위원장과 최저임금위원장을 맡고 있다. 최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제9대 원장에 선임되었다. 주요 저서로는 문재인 대통령의 독서 목록 중 하나로 보도됐던 『한국의 청년 고용』 1, 2권(공저)이 있으며, 이외에 대학과 청년 일자리에 관한 다수의 저서와 논문들이 있다.
펼치기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정재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