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91159770104
· 쪽수 : 631쪽
· 출판일 : 2017-02-15
책 소개
목차
발간사 3
추천사 5
제1부 들어가며
청년에게 좋은 일자리, 많은 일자리 제공을 지향하며 - 시즌 2 류장수
Ⅰ. 1년 전 '한국의 청년 고용' 발간 이후 22
Ⅱ. 책의 구성 23
Ⅲ. 최악의 청년 고용 상황,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25
통합과 연계로 청년일자리사업 효율화하자 주무현
Ⅰ. 문제제기 30
Ⅱ. 적극적 노동시장정책과 청년 일자리사업 현황 31
Ⅲ. 직업훈련사업 33
Ⅳ. 인턴사업 39
Ⅴ. 직접일자리사업 46
Ⅵ. 정책과제 52
제2부 일자리창출 전략과 과제
청년창업 생태계 더 혁신하자 고혜원
Ⅰ. 청년창업의 특성과 청년창업에 대한 인식 60
Ⅱ. 정부의 청년창업 지원정책 67
Ⅲ. 정부의 청년창업 지원정책의 문제점과 향후 개선방향 83
서울시 청년뉴딜일자리사업은 발전해야 한다 박용철
Ⅰ. 서론 88
Ⅱ. 서울시 뉴딜 일자리사업 추진 현황 89
Ⅲ. 서울시 뉴딜 일자리사업 성과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99
Ⅳ. 결론 및 시사점 105
대학이 변해야 청년일자리가 만들어진다 백정하
Ⅰ. 서론 108
Ⅱ. 정책 방안 111
Ⅲ. 제언 121
양질의 해외일자리, 민간시장 육성이 답이다 윤동열
Ⅰ. 서론 124
Ⅱ. 해외취업알선업 현황 126
Ⅲ. 민간 해외취업알선업체 실태조사 144
Ⅳ. 민간 해외취업알선업 지원을 위한 제도 및 정책제언 169
국내 청년실업 문제를 해외진출 프로그램을 통하여 해소하자 윤찬영
Ⅰ. 청년 해외진출 프로그램(교육부) 180
Ⅱ. 청년 해외진출 프로그램(고용노동부) 194
14 한국의 청년 고용 Ⅱ
제3부 청년 취업역량 강화
청년실업해소를 위한 고학력자대상 직업훈련 확대가 필요하다 김태우
Ⅰ. 서론 208
Ⅱ. 고급과정 훈련과정 모델 제안 212
Ⅲ. 제언 225
청년의 일 경험, 해외국가 사례를 벤치마킹하자 이영민
Ⅰ. 일 경험 사업 현황 및 평가 228
Ⅱ. 주요국의 일 경험 사업과 시사점 230
일학습병행을 통해 청년들의 경력개발을 지원하자 전승환
Ⅰ. 들어가며 248
Ⅱ. 일학습병행제 운영 개요 250
Ⅲ. 정책방안 257
Ⅳ. 제언 268
전문대학의 고등직업교육에서 청년고용의 답을 찾자 김태우
Ⅰ. 문제제기 272
Ⅱ. 전문대학의 현황 및 과제 274
Ⅲ. 청년 고용을 위한 고등직업교육 발전방안 281
Ⅳ. 요약 및 결론 293
일학습병행제의 장?단기적 성과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강경종
Ⅰ. 들어가는 말 296
Ⅱ. 일학습병행제의 참여 현황 298
Ⅲ. 일학습병행제 성과관리 모형 305
Ⅳ. 일학습병행제 성과관리 영역 및 항목별 성과지표 310
Ⅴ. 일학습병행제의 장/단기적 성과관리 방안 313
NCS 활용을 통한 직업교육 활성화가 필요하다 배창옥
Ⅰ. 청년 취업의 현 주소 318
Ⅱ.직업교육 영역의 NCS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 322
Ⅲ. 제언 330
청년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지원 플랫폼을 구축하자 김정우
Ⅰ. 서론 334
Ⅱ. 청년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현황 분석 335
Ⅲ. 청년 직업능력개발 플랫폼 구상 344
제4부 전달체계 혁신 방안
잦은 입직과 이직, 청년들의 갈등해소 방법은 없나 이석열
Ⅰ. 서론 350
Ⅱ. 청년층의 첫 직장의 진입과정과 이직실태 분석 354
Ⅲ. 청년층의 입직 후 이직 원인 분석 366
Ⅳ. 청년층의 이직률 해소 방안 370
고용서비스 혁신, 해외사례에서 찾다 정동열
Ⅰ. 서론 382
Ⅱ. 우리나라 청년층의 취업 현실과 정부지원정책 383
Ⅲ. 주요국의 청년층 대상 고용서비스 384
Ⅳ. 국외사례를 통한 청년층 대상 고용서비스 발전 방향 399
일자리 네트워크브로커 통합교육으로 혁신하자 조세형
Ⅰ. 청년일자리 사업 담당자 육성 현황 406
Ⅱ. 청년일자리 사업 담당자의 역량모델링 415
Ⅲ.청년일자리 사업 담당자의 통합교육 체계 개발 424
16 한국의 청년 고용 Ⅱ
빅데이터 기반 청년 개인별 맞춤형 고용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노현국
Ⅰ. 연구배경 및 목적 432
Ⅱ. 고용분야 빅데이터 현황 및 해외 활용사례 434
Ⅲ. 청년 맞춤형 빅데이터 활용 기반 마련 445
Ⅳ. 결론 및 시사점 454
제5부 고용촉진 생태계 조성
청년 고용정책, 부처간 협업과 특성화가 필요하다 변정현
Ⅰ. 서론 460
Ⅱ. 청년 고용정책 방향과 정부 일자리사업 462
Ⅲ. 부처별 청년 고용지원 정책사업의 현황과 특징 464
Ⅳ. 범부처 청년고용정책 일자리사업의 발전 방향 475
통합과 소통으로 청년정책을 혁신한다 박철우
Ⅰ. 문제제기 484
Ⅱ. 청년정책진단 485
Ⅲ. 정책방향 490
Ⅳ. 청년 고용지표 493
Ⅴ. 기타 제언 496
청년 고용촉진을 위해서 전문직 자격제도의 역할을 강화하자 조정윤, 임정연
Ⅰ. 들어가며 498
Ⅱ.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 변화 500
Ⅲ. 전문직의 수요 증가와 새로운 전문직 일자리의 등장 507
Ⅳ. 전문직 자격, 청년 고용을 어떻게 리드할 수 있을 것인가? 520
일과 학습의 생활화로 청년고용문제 해소하자 최영렬
Ⅰ. 서론 532
Ⅱ. 청년 고용을 위한 국가역량체계 535
Ⅲ. 결론 554
특성화고 지역착근환경 조성하자 류장수, 조장식
Ⅰ. 서론 558
Ⅱ. 특성화고 현황과 졸업자의 주요 특성 562
Ⅲ. 특성화고 졸업자의 지역 이동경로 567
Ⅳ. 특성화고 졸업자의 고교소재지별 직장 특성 570
Ⅴ. 결론 573
일자리 정책은 청년의 직업의식에 기반하여 추진되어야 한다 박천수
Ⅰ. 서론 578
Ⅱ. 가치관과 직업윤리 580
Ⅲ. 직업관련 현황과 과제 591
Ⅳ. 요약과 정책 시사점 598
맺음말 601
참고문헌 607
찾아보기 625
필자 약력 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