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정치제도와 개헌

한국 정치제도와 개헌

(어떻게 작동하며 무엇을 바꾸어야 하는가?)

문우진 (지은이)
박영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870원
28,130원 >
29,000원 -0% 0원
0원
2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정치제도와 개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정치제도와 개헌 (어떻게 작동하며 무엇을 바꾸어야 하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학
· ISBN : 9791130323800
· 쪽수 : 492쪽
· 출판일 : 2025-07-31

책 소개

<한국 민주주의의 작동 원리>의 후속편으로 기획된 책이다. 저자는 <한국 민주주의의 작동 원리>에서 진단한 한국 정치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정치제도 개혁 방안을 제시한다. 사회과학도를 위한 전문 서적으로 집필되었다.

목차

목차

1장 들어가는 말 1
1.1. 문제 제기 1
1.2. 대의민주주의의 구조적 문제 2
1.3. 대의민주주의의 구조적 문제와 정치제도 9
1.4. 이 책의 개요 16

Ⅰ부 단순다수제는 누구의 입장을 대표하는가

2장 단순다수제는 누구의 입장을 대표하는가? 중위투표자 이론과 정치거래 이론 31
2.1. 서론 31
2.2. 다운스의 중위투표자 이론 32
2.3. 정치소비자 모형 대 정치투자자 모형 36
2.4. 현실 세계에서의 선거 전략 38
2.5. 정치거래 이론 42
2.6. 정치의 시장거래화와 민주주의의 위기 48
2.7. 결론 55

3장 국민과 의회의 이념적 조응성: 이론적 논의와 한국 사례 분석 58
3.1. 서론 58
3.2. 비례제에서 시민사회와 의회의 조응성 60
3.3. 단순다수제에서 시민사회와 의회의 조응성 63
3.4. 한국의 두 주요 정당 이념 69
3.5. 결론 76

4장 한국 선거제도의 기계적 · 행태적 효과: 양당 체제와 유인 가치 중심의 선거 경쟁 78
4.1. 서론 78
4.2. 이론적 논의: 선거제도의 구성 요소와 효과 79
4.3. 한국 선거제도의 기계적 효과: 양당 지배 체제 산출 95
4.4. 한국 선거제도의 행태적 효과: 유인 가치 선거 경쟁과 정치 개인화 102
4.5. 결론 110

Ⅱ부 정부형태와 입법제도가 다수와 소수의 이익 균형에 미치는 영향

5장 한국 정부형태와 삼권분립: 입법부-행정부 관계와 사법부 독립성 115
5.1. 서론 115
5.2. 정부형태와 입법부-행정부 관계: 이론적 논의 116
5.3. 한국 대통령의 입법적 · 비입법적 권한 121
5.4. 한국 대통령의 행정명령 권한과 정치적 권한 125
5.5. 민주화 이후 정부 유형의 변화 129
5.6. 사법부 독립성 138
5.7. 제왕적 대통령 권력 분산 168
5.8. 결론 174

6장 입법제도와 입법 생산: 다수 지배 원리와 소수 보호 원리의 균형 177
6.1. 서론 177
6.2. 한국에서의 입법 메커니즘 179
6.3. 경험 분석 190
6.4. 결론 198

7장 한국 대통령제에서의 입법 메커니즘: 거부권 행사자 모형 분석 200
7.1. 서론 200
7.2. 대통령제에서의 입법 생산성과 입법 결과 분석 202
7.3. 정당 체제와 입법 규칙이 국회의 입법 생산성과 입법 결과에 미치는 영향 219
7.4. 행정부 의제 설정 권한과 행정부 입법 생산성 228
7.5. 경험 분석 231
7.6. 결론 242

Ⅲ부 한국에서의 입법적 충원과 대리인 문제

8장 정당 모형과 한국 정당의 특성: 낮은 제도화 수준의 파벌 정당 247
8.1. 서론 247
8.2. 캐츠와 메이어의 진화론적 정당론 249
8.3. 크라우웰의 정당론 251
8.4. 정치의 개인화와 라핫의 개인화된 정당 모형 258
8.5. 정당 정치의 제도화와 통합 모형. 260
8.6. 정당 모형의 조작화와 정당 모형 비교분석 265
8.7. 결론 275

9장 한국에서의 대리인 문제: 사전적 선발과 사후적 통제 278
9.1. 서론 278
9.2. 사전적 선발: 국회의원 후보와 당선자의 개인 배경 기술적 분석 279
9.3. 사후적 평가 283
9.4. 결론 298

10장 입법 활동과 대리인 문제: 지역구 의원의 정치 성향, 유인 가치와 입법 성과 301
10.1. 서론 301
10.2. 당선자의 정치 성향과 유인 가치가 득표에 미치는 영향 302
10.3. 당선자의 정치 성향과 정치 자본이 입법 성과에 미치는 영향 307
10.4. 결론과 함의 320

Ⅳ부 당간 차원 대표성과 당내 차원 대표성 증진을 위한 정치제도 개혁 방안

11장 한국 정치제도와 정치제도 설계 방향: 당간 차원 대표성과 당내 차원 대표성 325
11.1. 서론 325
11.2. 권력 분산과 민주주의의 질 327
11.3. 한국 정치제도의 종합적 평가 330
11.4. 당간 차원 대표성과 정치제도 333
11.5. 당내 차원 대표성과 정치제도 설계 방향 340
11.6. 결론 342

12장 혼합형 선거제도: 일거양득 제도인가 일거양실 제도인가? 344
12.1. 서론 344
12.2. 혼합형 선거제도의 장단점과 정치적 효과 346
12.3. 서로 다른 혼합형 제도의 특징과 위성정당 창당 가능성 350
12.4. 연동형 선거제도와 준연동형 선거제도 의석 배분 방식 365
12.5. 위성정당 방지 방안의 실효성 379
12.6. 결론 381

13장 국회의원과 대통령 선거제도 개혁 방안:
부분 개방 명부 권역별 비례제와 순위 투표제 385
13.1. 서론 385
13.2. 선거제도의 규범적 가치와 선거제도 장단점 비교분석 386
13.3. 선거제도 개혁 논의 393
13.4. 국회의원 선거제도 설계: 부분 개방 명부 권역별 비례제 415
13.5. 대통령 선거제도 개혁 방안 427
13.6. 결론 435

14장 지방 선거제도 개혁 방안: 개방 명부 중층 비례제 440
14.1. 서론 440
14.2. 이론적 논의 441
14.3. 지방선거 개혁 방안 448
14.4. 개방 명부 중층 비례제와 다른 선거제도 의석 배분 비교 시뮬레이션 456
14.5. 중층 비례제와 다른 대안과의 비교 461
14.6. 결론 463

15장 맺는말 469

저자소개

문우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2002년에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UCLA)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했고, 2004년부터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20년에 민주주의 학술연구원으로부터 민주주의 학술상을 수상하였고, 2024년에 한국정당학회로부터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2018년에 발간한 『한국 민주주의의 작동원리』는 2019년에 대한민국학술원이 선정한 교육부 우수 학술 도서로 선정되었다. British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2004, 2006), Electoral Studies (2015), Party Politics (2005),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2022), Public Choice (2025)에 논문을 게재하였고, 『한국정치학회보』와 그 밖의 국내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관심 분야는 민주주의, 선거 경쟁 및 입법과정, 정치제도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