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채권총론

채권총론 (곽윤직)

(제7판)

곽윤직, 김재형 (지은이)
박영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840원
27,1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8,000원 -10% 1400원 23,800원 >

책 이미지

채권총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채권총론 (곽윤직) (제7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민법
· ISBN : 9791130345291
· 쪽수 : 394쪽
· 출판일 : 2023-09-20

책 소개

제7판에서는 민법총칙.물권법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기존 체제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학설과 판례의 변화를 반영하여 현재 적용되고 있는 민법 채권총칙편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표현을 간결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한자는 모두 한글로 바꾸었다.

목차

제1장 서  론
[1] Ⅰ. 채권법의 의의 1
[2] Ⅱ. 채권법의 내용과 법원(法源) 4
[3] Ⅲ. 채권법의 특질 8

제2장 채권의 본질
[4] Ⅰ. 채권의 의의와 특질 10
[5] Ⅱ. 채권의 사회적 작용 20

제3장 채권의 목적
[6] Ⅰ. 총설 22
[7] Ⅱ. 특정물채권(특정물의 인도를 목적으로 하는 채권) 28
[8] Ⅲ. 종류채권(불특정물의 인도를 목적으로 하는 채권) 31
[9] Ⅳ. 금전채권 36
[10] Ⅴ. 이자채권 42
[11] Ⅵ. 이자의 제한 46
[12] Ⅶ. 선택채권 54
[13] Ⅷ. 임의채권 58

제4장 채권의 효력
제1절 총  설
[14] Ⅰ. 채권의 효력 개관 60
[15] Ⅱ. 자연채무 62
[16] Ⅲ. 채무와 책임 67
[17] Ⅳ. 채권의 대외적 효력(제3자에 의한 채권침해) 72

제2절 채무불이행과 채권자지체
제1관 서  설
[18] 서  설 80
제2관 이행지체
[19] Ⅰ. 이행지체의 요건 86
[20] Ⅱ. 이행지체의 효과 96
[21] Ⅲ. 이행지체의 종료 98
제3관 이행불능
[22] Ⅰ. 이행불능의 요건 98
[23] Ⅱ. 이행불능의 효과 101
제4관 불완전이행
[24] Ⅰ. 불완전이행의 의의 104
[25] Ⅱ. 불완전이행의 요건 108
[26] Ⅲ. 불완전이행의 효과 112
제5관 이행거절
[27] Ⅰ. 이행거절의 의의와 요건 113
[28] Ⅱ. 이행거절의 효과 115
제6관 채권자지체
[29] Ⅰ. 채권자지체의 의의와 성질 115
[30] Ⅱ. 채권자지체의 요건 118
[31] Ⅲ. 채권자지체의 효과 119
[32] Ⅳ. 채권자지체의 종료 120

제3절 채무불이행에 대한 구제
제1관 서  설
[33] 서  설 120
제2관 강제이행(현실적 이행의 강제)
[34] Ⅰ. 강제이행의 의의와 방법 121
[35] Ⅱ. 직접강제 123
[36] Ⅲ. 대체집행 124
[37] Ⅳ. 간접강제 125
[38] Ⅴ. 법률행위(의사표시)를 목적으로 하는 채무의 강제이행 126
[39] Ⅵ. 부작위채무의 강제이행 127
[40] Ⅶ. 강제이행의 청구와 손해배상의 청구 127
제3관 손해배상
[41] Ⅰ. 손해배상의 의의 128
[42] Ⅱ. 손해배상의 방법 131
[43] Ⅲ. 손해배상의 범위 133
[44] Ⅳ. 손해배상의 범위에 관한 특수문제 145
[45] Ⅴ. 손해배상액의 예정과 위약벌 150
[46] Ⅵ. 손해배상자의 대위 155

제4절 책임재산의 보전
제1관 서  설
[47] 책임재산 보전제도 156
제2관 채권자대위권
[48] Ⅰ. 채권자대위권의 의의와 성질 157
[49] Ⅱ. 채권자대위권의 요건 159
[50] Ⅲ. 채권자대위권의 객체 165
[51] Ⅳ. 채권자대위권의 행사 167
[52] Ⅴ. 채권자대위권 행사의 효과 170
제3관 채권자취소권
[53] Ⅰ. 채권자취소권의 의의와 성질 172
[54] Ⅱ. 채권자취소권의 요건 175
[55] Ⅲ. 채권자취소권의 행사 184
[56] Ⅳ. 채권자취소권 행사의 효과 187
[57] Ⅴ. 채권자취소권의 소멸 188

제5장 수인의 채권자와 채무자(다수당사자의 채권관계)
제1절 총  설
[58] Ⅰ. 의의와 기능 189
[59] Ⅱ. 채권․채무의 공동귀속 191

제2절 분할채권관계
[60] Ⅰ. 분할채권관계의 의의 194
[61] Ⅱ. 분할채권관계의 효력 195

제3절 불가분채권관계
[62] Ⅰ. 불가분채권관계의 의의 197
[63] Ⅱ. 불가분채권 198
[64] Ⅲ. 불가분채무 199

제4절 연대채무
[65] Ⅰ. 연대채무의 의의와 성질 200
[66] Ⅱ. 연대채무의 성립 202
[67] Ⅲ. 연대채무의 대외적 효력(채권자의 권리) 203
[68] Ⅳ. 연대채무자의 1인에 관하여 생긴 사유의 효력 205
[69] Ⅴ. 연대채무의 대내적 효력(구상관계) 210
[70] Ⅵ. 부진정 연대채무 217
[71] Ⅶ. 연대채권 219

제5절 보증채무
[72] Ⅰ. 보증채무의 의의와 성질 220
[73] Ⅱ. 보증채무의 성립(보증계약) 223
[74] Ⅲ. 보증채무의 성립에 관한 요건 225
[75] Ⅳ. 보증채무의 내용 228
[76] Ⅴ. 보증채무의 대외적 효력 232
[77] Ⅵ. 주채무자 또는 보증인에 관하여 생긴 사유의 효력 237
[78] Ⅶ. 보증채무의 대내적 효력(구상관계) 238
[79] Ⅷ. 연대보증 242
[80] Ⅸ. 공동보증 243
[81] Ⅹ. 신원보증 245
[82] ⅩⅠ. 손해담보계약 250

제6장 채권양도와 채무인수
제1절 채권의 양도
제1관 총  설
[83] Ⅰ. 채권양도의 의의 251
[84] Ⅱ. 채권양도의 법적 성질 252
[85] Ⅲ. 채권양도의 모습 255
제2관 지명채권의 양도
[86] Ⅰ. 지명채권의 양도성 257
[87] Ⅱ. 지명채권양도의 대항요건 262
제3관 증권적 채권의 양도
[88] Ⅰ. 증권적 채권의 양도성 272
[89] Ⅱ. 지시채권의 양도 273
[90] Ⅲ. 무기명채권의 양도 277
[91] Ⅳ. 지명소지인출급채권의 양도 277

제2절 채무의 인수
[92] Ⅰ. 채무인수의 의의 278
[93] Ⅱ. 채무인수의 요건 280
[94] Ⅲ. 채무인수의 효과 282
[95] Ⅳ. 채무인수와 비슷한 제도 283

제7장 채권의 소멸
제1절 총  설
[96] 채권의 소멸과 그 원인 288

제2절 변  제
[97] Ⅰ. 변제의 의의와 성질 289
[98] Ⅱ. 변 제 자 293
[99] Ⅲ. 변제수령자 295
[100] Ⅳ. 변제의 목적물 299
[101] Ⅴ. 변제의 장소 300
[102] Ⅵ. 변제의 시기 301
[103] Ⅶ. 변제비용의 부담 302
[104] Ⅷ. 변제의 증거 302
[105] Ⅸ. 변제의 충당 303
[106] Ⅹ. 변제의 제공 306
[107] ⅩⅠ. 변제자대위 312

제3절 대물변제
[108] Ⅰ. 대물변제의 의의와 작용 320
[109] Ⅱ. 대물변제의 요건 323
[110] Ⅲ. 대물변제의 효과 327

제4절 공  탁
[111] Ⅰ. 공탁의 의의와 성질 328
[112] Ⅱ. 공탁의 요건 329
[113] Ⅲ. 공탁의 효과 332
[114] Ⅳ. 공탁물의 회수 335

제5절 상  계
[115] Ⅰ. 상계의 의의 336
[116] Ⅱ. 상계의 요건 338
[117] Ⅲ. 상계의 금지와 상계권 남용 341
[118] Ⅳ. 상계의 방법 345
[119] Ⅴ. 상계의 효과 345

제6절 경  개
[120] Ⅰ. 경개의 의의 346
[121] Ⅱ. 경개의 요건 346
[122] Ⅲ. 경개의 효과 348

제7절 면  제
[123] Ⅰ. 면제의 의의 349
[124] Ⅱ. 면제의 요건 349
[125] Ⅲ. 면제의 효과 350

제8절 혼  동
[126] 혼동의 의의와 효과 350

조문색인 351
판례색인 357
사항색인 364

저자소개

곽윤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법학박사(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1991년 정년퇴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주요 저서 독일민법개설(신구문화사) 대륙법(박영사) 민법총칙〔민법강의 Ⅰ〕(제9판)(공저)(박영사) 채권총론〔민법강의 Ⅲ〕(제7판)(전면개정)(공저) (박영사) 채권각론〔민법강의 Ⅳ〕(제6판)(박영사) 상속법〔민법강의 Ⅵ〕(개정판)(박영사) 민법개설(개정수정판)(박영사) 부동산등기법(신정수정판)(박영사) 부동산물권변동의 연구(박영사) 후암 민법논집(박영사) 판례교재 물권법(법문사) 韓國の契約法 ― 日本法との比較(アジア經濟硏究所, 日本 東京) Credit and Security in Korea 〔The Legal Pro‐ blems of Development Finance〕(University of Queensland Press St. Lucia: Crane, Russak & Company Inc., New York)
펼치기
김재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법학박사(서울대학교) 서울지방법원 판사 등 역임 대법관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위원장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주요 저서․역서 근저당권연구(2000) 민법론 Ⅰ․Ⅱ(2004)․Ⅲ(2007)․Ⅳ(2011)․Ⅴ(2015) 언론과 인격권(제2판)(2023) 민법판례분석(2015) 계약법[민법Ⅰ](제4판 2024)(공저) 민법총칙〔민법강의Ⅰ〕(제9판 2013)(공저) 물권법〔민법강의Ⅱ〕(제9판 2024)(공저) 채권총론〔민법강의Ⅲ〕(제7판 전면개정 2023)(공저) 민법주해(ⅩⅥ )(1997)(분담집필) 주석민법 물권(4)(제4판 2011)(분담집필) 주석민법 채권각칙(6)(제4판 2016)(분담집필) 기업회생을 위한 제도개선방향(2001) 채무불이행과 부당이득의 최근 동향(2013)(공편) 금융거래법강의 Ⅱ(2001)(공편) 도산법강의(2005)(공편) 통합도산법(2006)(공편) 한국법과 세계화(2006)(공편) 민법개정안연구(2019)(공편) 판례 소법전(1993․2008․2012)(공편) 기사 속 윤리, 언론이 놓친 것(2024)(편집대표) Lando․Beale 편, 유럽계약법원칙 제1․2부(2013)(번역)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81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