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씨책]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역사

[큰글씨책]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역사

(기술·문화·사회)

폴 헤이어, 데이비드 크라울리 (엮은이), 김지운 (옮긴이)
커뮤니케이션북스
6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씨책]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역사 (기술·문화·사회)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91130406060
· 쪽수 : 780쪽
· 출판일 : 2014-06-30

책 소개

이니스, 옹, 매클루언, 아이젠스타인의 고전적 연구부터 멈포드, 포스트먼, 볼터와 그루신의 현대적 비평까지 최고의 석학 50명의 글을 묶었다. 시대와 분야를 뛰어넘는 폭넓은 논제들은 인류 역사와 커뮤니케이션의 상관관계를 보다 광범위하고 흥미진진하게 보여 준다. 5판에서는 TV, 디지털 기술, 인터넷, 사이버스페이스 등 주요 미디어의 발전상을 좀 더 충실히 다루었다.

목차

역자의 말
서문
편자의 말
감사의 말

1부 원시 문명의 미디어
01 빙하시대인의 예술과 상징 | 알렉산더 마샥
02 최초의 글쓰기 조짐 | 데니즈 슈만트-베세랏
03 고대 제국의 미디어 | 해럴드 이니스
04 글쓰기 없는 문명: 잉카제국과 결승문자 | 마샤 아셔·로버트 아셔
05 글쓰기의 기원 | 앤드루 로빈슨

2부 서양 사회의 문자 해독 전통
06 알파벳(문자)의 등장 | 조해나 드러커
07 그리스의 유산 | 에릭 해블록
08 글쓰기와 알파벳의 영향 | 로버트 K. 로건
09 구두언어, 문자 해독, 현대 매체 | 월터 옹
10 중세 시대의 커뮤니케이션과 신앙 | 제임스 버크·로버트 온스타인

3부 인쇄혁명
11 종이와 목판인쇄: 중국에서 유럽으로 | T. F. 카터
12 인쇄 기술의 발명 | 루이스 멈포드
13 글 읽는 대중의 등장 | 엘리자베스 아이젠슈타인
14 근대 초기의 문자 해독 상황 | 하비 J. 그라프
15 뉴스의 교류와 전파 | 존 B. 톰슨

4부 유선 전신의 세계
16 시각적 장거리 통신 | 대니얼 헤드릭
17 전기통신: 빅토리아 시대판 인터넷 | 톰 스탠디지
18 뉴 저널리즘 | 마이클 셔드슨
19 전화의 등장: 장거리 통신 | 클로드 S. 피셔
20 시간, 공간, 그리고 전신 | 제임스 W. 캐리

5부 이미지 테크놀로지와 대중사회 등장
21 초기의 포토저널리즘 | 울리히 켈러
22 소비의 꿈: 견물생심의 세계 | 로잘린드 윌리엄스
23 초기의 활동사진-영화 | 대니얼 치트롬
24 무성에서 유성영화로 | 스콧 에이먼
25 대중매체와 스타 시스템 | 집 파울즈
26 광고와 대중사회 | 잭슨 리어즈

6부 라디오 방송의 시대
27 무선통신의 세계 | 스티븐 컨
28 초기의 라디오 | 수전 더글러스
29 프로그램 편성의 황금시대 | 크리스토퍼 스털링·존 키트로스
30 말로 하는 라디오 광고 | 미셸 힘즈
31 TV 시대의 라디오 생존 | 피트 포너테일·조슈아 E. 밀즈
32 라디오 방송의 이해 | 마셜 매클루언

7부 텔레비전의 시대
33 텔레비전의 시작 | 윌리엄 바디
34 대중매체라는 새 ‘언어’: 각기 특유의 전달 효과 | 에드먼드 카펜터
35 TV가 차지할 자리 내주기 | 린 슈피겔
36 1960년대 TV의 반체제 문화 | 아니코 보드로코치
37 뉴스 보도에 변혁을 가져온 TV | 미첼 스티븐스
38 대립각의 두 문화-TV와 글/인쇄 | 닐 포스트먼·카밀 팔리아

8부 정보화 시대의 뉴미디어와 올드미디어
39 통제/관리 방법의 혁명 | 제임스 베니거
40 전자공학이 가져온 사회 양상 | 루스 슈바르츠 코원
41 미디어는 어떻게 새로워지는가 | 레브 매노비치
42 인터넷의 대중화 | 자넷 어베이트
43 월드와이드웹 | 데이비드 볼터·리처드 그루신

추천 도서
도판 저작권

저자소개

폴 헤이어 (엮은이)    정보 더보기
캐나다 윌프리드로리에대학교의 명예교수다. 주로 영화, 라디오, 텔레비전과 같은 대중매체의 역사와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고 가르쳤다. 저서로 <해럴드 이니스의 커뮤니케이션 매체사(Harold Innis’s History of Communications)>(2015), <타이태닉의 세기: 매체, 신화, 그리고 캐나다인의 아이콘 만들기(Titanic Century: Media, Myth, and the Making of a Canadian Icon)>(2012), <매체와 마술사: 오손 웰스와 라디오시대(The Medium and the Magician: Orson Welles, the Radio Years)>(2005), <해럴드 이니스(Harold Innis)>(2003), <커뮤니케이션 매체와 역사(Communications and History)>(1988) 등이 있다.
펼치기
데이비드 크라울리 (엮은이)    정보 더보기
캐나다 맥길대학교 교수를 지내며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역사를 가르쳤다. 또한 언론인, 편집인, 비디오다큐작가로도 활동했으며, 캐나다 북부의 에스키모인 이누이트족의 커뮤니티 미디어의 개발과 정착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현재 새로운 정보 환경과 지식 및 교육 연구에 참여하고 있고, 오타와의 인터넷컨설팅그룹(InterNet Consulting Group)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저서로는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웹의 의미화(Understanding communication : the signifying web)>(1982), <최신 커뮤니케이션 이론(Communication Theory Today)>(1994)이 있다. 그는 캐나다 출신 커뮤니케이션 역사학자 해럴드 이니스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해 왔다.
펼치기
김지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미국 미주리?컬럼비아 대학교 저널리즘대학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학회 발행 ≪커뮤니케이션이론≫ 편집위원장(2013), 한국지역언론학회장(2012)을 역임했다. 저서로 <문화시대의 디지털 아카이브>(공저, 2006), <문화 오딧세이>(공저, 2003) 등이 있다. 역서로 <비언어 커뮤니케이션>(공역, 2017), <미디어 비즈니스>(공역, 2003), <동아시아 민주주의와 인권>(공역, 2003)이 있다. 주요 논문은 "Between Conformity and transformation: Political Maternity in the Post-Gwangju May Uprising Movement"(공저, 2016), "2012여수세계박람회에 대한 해외 언론의 보도 추이 분석"(공저, 2014), "인권도시 광주, 주요 관계자의 인권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공저, 2013), "지역문화 공간의 생성과 저항, 그리고 미디어"(공저, 2011), "문화도시 만들기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공저, 2007), "언론의 한류에 대한 인식틀 분석"(2007), "The Gwangju People's Uprising and the construction of collective identity: a study of the Fighter's Bulletin"(공저, 2006), "모바일 미디어의 속성평가와 커뮤니케이션 양식차이에 관한 연구"(공저, 2005), "웹(Web)의 횡단적 특성과 일상적 실천에 관한 연구" (2004), "사회운동과 언론의 환경문제 구성하기"(2003)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과 인간 사상이나 경험의 폭넓은 양식 사이의 상관관계가 그렇게나 강하다면, 커뮤니케이션 역사는 학문적 역사학 자체가 지금까지 인정해 온 것보다 훨씬 더 인류 역사의 중심이 된다.
_ 서문 중에서

우리는 인류 역사에서 미디어의 역할이 제기한 문제들은 매우 광범위하여, 한 명의 필자가 쓴 저서에서 망라하기에는 너무나도 폭넓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처음부터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직접 연관이 있거나, 아니면 서로 보완하는 연구 결과들을 내놓은 뛰어난 기고자들의 논문이나 저서를 한데 모은 선집을 꾸미는 것이라고 느꼈다.
_ 편자의 말 중에서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