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연출/연기/제작
· ISBN : 9791130406589
· 쪽수 : 158쪽
· 출판일 : 2014-06-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장 입체영화의 의미
2장 입체영화 제작 역사
인간과 입체영화
입체영화의 숙명
현재와 미래
3장 입체영화의 기술 배경
입체시의 정의
시각적 입체시
경험적 입체시
시차
프레즌스의 개념
프레즌스와 입체영화의 상관관계
입체영화에서 프레즌스의 적용
휴먼 팩터
4장 입체영화 제작 단계
사전제작 단계
내러티브
깊이 콘티
깊이 스크립트
제작 단계
미장센
촬영
조명
사운드
리허설
후반작업 단계
편집
상영
5장 영화 [아바타] 분석을 통한 연출 적용
사전제작(프리 프로덕션)
내러티브
깊이 예산
제작(프로덕션)
미장센과 숏 구성
촬영과 조명
리허설과 배우의 연기
후반작업
편집
상영
에필로그
미주
영화명 찾아보기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국내는 아직 입체영상이나 영화에 대한 제작 노하우가 없고, 이제 걸음마를 시작한 단계에 불과하다. 90년 이상의 입체영화 제작 역사를 가진 미국과 같은 나라와 국내 입체영화산업은 경쟁이 될 수가 없다. 그나마 기술 분야는 기존의 책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연출 분야는 아직 체계적으로 연구되지 않았고, 가르치는 교육기관도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 책은 현장에서 일하는 감독들의 증언을 통해 이론과 경험을 조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 입체영화 제작 과정을 통해 연출의 역할에 관해 알아보려고 한다.
_ [프롤로그] 중에서
입체영화는 기존 영화와 다른 문법을 가지고 있다. 오버 더 숄더 촬영을 할 경우엔 보는 사람의 모습이 프레임 안에 위치해야 한다. 패닝과 틸팅, 트래킹 숏을 할 때는 최소의 속도가 필요하다. 인물 전경과 중경과 후경을 반드시 분리해서 입체감을 살리는 미장센이 필요하다. 과도한 몽타주나 복잡한 숏은 관객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두 영상의 동조가 실패하여 잘못된 입체감을 주지 말아야 하며, 기존 영화보다 더 많은 조명을 필요로 한다.
_ [3장 입체영화의 기술 배경] 중에서
제임스 캐머런이 [아바타]에서 실시한 후반작업은 아날로그 영화 역사를 뒤집는 역사적인 계기를 마련했다. 일반적으로 영화 제작은 3단계 시스템 즉, 사전제작, 제작 그리고 후반작업이 정석이다. 하지만 [아바타]는 사전제작에 제작과 후반작업을 합친 두 단계로 건너뛰었다. 다시 설명하면 제작과 후반작업을 동시에 진행한 것이었다.
_ [5장 영화 아바타 분석을 통한 연출 적용]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