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직업교육/사회교육
· ISBN : 9791130421117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4-06-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책을 내며
01 사례연구의 이해
교육개혁으로서 사례연구
사례연구의 확산
기업교육용 사례 개발과 활용
02 사례 계획
사례의 선정
자료 수집
사례명세서 작성
03 사례 작성
사례의 구조
사례의 스타일
교안 개발
04 사례연구 강의
사례연구 준비
진행과 촉진 활동
사례연구의 발전 과제
책을 마치며
부록 1. 지는 사업에서 뜨는 사업으로: HY가스의 모바일 카페 사업 타당성 검토 사례
2. 사람을 위한 자리인가? 자리를 위한 사람인가?: 진급 후보자 선정 사례
3. 누구든 교육받을 권리가 있나요?: 교육 제공에 대한 윤리적 의사결정 사례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기업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사례연구는 경영대학원의 사례연구와 다르다. 사례를 개발하는 사람, 사례를 활용하는 교육, 사례연구에 참여하는 교육참가자, 사례의 개발과 활용을 지원하는 상황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를 반영하여 기업교육에 적합한 사례 개발과 그것의 활용 방안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사례와 예시(example)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예시는 강의 중에 설명한 것을 더 잘 이해시키기 위해 활용한다. 예를 들어줌으로써 이론이 적용되는 모습을 생생하게 이해하고, 기억하고, 일반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시와 달리 사례연구의 사례는 강의를 보완하는 게 아니라 대체한다. 강의가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교육참가자들은 사례를 통해 상황에 몰입하고, 문제해결 과정에서 개념과 이론을 탐색한다. 또 기존에 알고 있던 것과 새롭게 알게 된 것을 통합하고, 토론의 과정에서 다른 의견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평가한다. 사례는 예시보다 길다. 실제 세계를 가능하면 현실감 있게 반영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사례연구가 특정 상황의 사례에 대한 문제해결 과정을 담고 있다 하더라도 특정 교과목의 학습 주제를 전달해야 하는 목적이 있을 수 있다. 즉, 사례연구는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학습을 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그보다는 콘텐츠인 학습 내용을 교육하는 것이 목적인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핵심 질문 외에 핵심 이론, 핵심 개념 혹은 핵심 아이디어라는 이름으로 학습 주제에 관한 내용을 준비하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