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30617251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18-05-2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장 학생부의 두 얼굴
01 학생부의 두께가 말하는 것
02 학생부의 빛과 그림자
03 관리 받는 학생부, 만들어지는 진로
04 학생부를 둘러싼 어두운 커넥션
2장 복잡성의 함정
01 공부의 신도 어렵다는 학생부 전형
02 학생부라는 미로
03 디테일의 함정
04 한국 학생부를 보는 외국의 시선
3장 엄마들의 대리전쟁
01 과거에서 지금까지, 엄마들도 달린다
02 대한민국 교육특구
03 부모의 질과 아이들의 입시
04 성공한 엄마, 실패한 엄마
4장 교육 불평등 연대기
01 대학 입시 제도의 과거와 현재
02 통계 이면의 불편한 진실
03 학력 격차가 심화되는 이유
04 절망에서 희망으로
5장 진짜 인재, 가짜 인재
01 병들어가는 아이들
02 진짜도 가짜도 쓰러진다
03 진짜 인재의 조건
04 미래의 인재들
6장 대학 입시, 불편한 진실을 넘어서
01 대학 입시 제도의 현주소
02 일반 고등학교의 현실
03 대학 입시의 격차, 어떻게 극복할까?
04 학생부의 실체
05 더 나은 사회가 되어야 하는 이유
에필로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학교생활기록부. 자신의 학생부에 대해 기억하고 있다면 떠올려 보자. 예전의 학생부와 지금의 학생부는 다르다. 지금의 학생부에는 적 사항부터 학적 사항, 수상 경력, 자격증, 봉사 활동 등 많은 것들이 기록된다. 이 학생부의 두께가 대학의 당락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라면 어떤가? 내신 등급에 따라 학생부의 분량과 내용이 달라진다. 학교에서는 명문대에 한 명이라도 더 보내기 위해 소수의 학생들만 관리한다. 관리를 받지 못한 학생들은 자신들을 버려진 카드라고 이야기한다. 100명에게 가야 할 관심이 오직 1명에게만 향한다.
-1장「학생부의 두 얼굴」중
우리나라 대학 입시 전형은 유달리 복잡하다. 전형마다 기본적인 원리는 존재하지만 정보를 주는 조력자가 없다면 이 현실을 뚫고 나가기는 어렵다. 교사들 또한 복잡한 입시 전형을 모두 이해하고, 학생들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맞는 진학 지도를 하는 일은 어렵다. 이런 이유로 아이들은 학부모의 정보력에 의해 만들어지기도 한다. 정보력이 있는 학부모, 정보력이 없는 학부모에 따라 아이들이 받는 영향은 다르다. 계층별로 정보 격차가 생기는 것이다.
-2장「 복잡성의 함정」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