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TV/라디오 > TV이론/TV비평
· ISBN : 9791130810706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7-01-2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장 마음을 사로잡는 캐릭터와 신화 원형
1. 매력적인 캐릭터 창조의 비밀
2. 성공적인 멜로드라마 캐릭터를 찾아서
제2장 멜로드라마 캐릭터와 신화 원형
1. 멜로드라마와 캐릭터
2. 신화와 원형
3. 신화의 캐릭터 원형
제3장 멜로드라마 여성 캐릭터의 신화 원형
1. 영원한 소녀 코레형 : [애인]의 윤여경
2. 모성 과잉 아내 데메테르형 : [애인]의 이명애
3. 팜 파탈 요부 아프로디테형 : [내 남자의 여자]의 이화영
4. 분노한 착한 여자 헤라형 : [내 남자의 여자]의 김지수
5. 전략적 여전사 아테나형 : [밀회]의 오혜원
제4장 멜로드라마 남성 캐릭터의 신화 원형
1. 영원한 소년 헤르메스형 : [애인]의 정운오
2. 남성 우월주의자 제우스형 : [애인]의 김우혁
3. 가부장의 아들 아폴론형 : [내 남자의 여자]의 홍준표
4. 여자의 남자 디오니소스형 : [밀회]의 이선재
5. 출세 지상주의자 아폴론형 : [밀회]의 강준형
제5장 멜로드라마 캐릭터 신화 원형의 변화
1. 전통적 여성 캐릭터의 주체화
2. 욕망 추구형 여성 캐릭터의 부상
3. 가부장적 남성 캐릭터의 퇴조
4. 양성(兩性)적 남성 캐릭터의 출현
제6장 현대인의 새로운 신화, 드라마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원형적 아버지의 이미지 중 하나가 바람(風)이다. <애인>의 여경(황신혜)에게 운오(유동근)는 ‘바람’의 존재이다. 아버지 원형의 ‘바람’, 유부녀인 여경의 ‘바람’피우기, 여경 자신을 결혼으로부터 해방시켜주는 ‘바람’은 의미가 모두 연결된다.
<내 남자의 여자>에서 화영(김희애)의 무의식이 자신의 열등한 인격인 천사표 지수(배종옥)의 가정을 파괴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아프로디테 여성인 화영의 그림자는 반대적 속성인 헤라와 데메테르 원형이다. 아프로디테는 일부일처제와 어머니 역할에 위협이 된다.
<밀회>의 선재(유아인)는 혜원(김희애)의 이름을 ‘WHO’로 입력한다. 이것은 깊은 의미가 있다. 혜원이 ‘나는 누구인가?’라는 자기 정체성을 찾아가는 인물일 것이라는 암시라고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