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30814551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9-09-12
책 소개
목차
■ 책머리에
제1장 시인 이시영의 의미
1. 왜 이시영인가?
2. 이시영에 이르기까지의 시문학사적 검토
3. 이시영 시에 대한 기존의 평가와 문제제기
4. 어떻게 다가갈 것인가?
제2장 이시영의 삶과 그의 시 정신
1. 이시영의 전기적 사실
2. 초기:시적 토대로서의 원체험과 서정
3. 중기:현실인식의 시적 형상화
4. 후기:현실인식의 확대와 심화
제3장 시세계의 양상과 특징
1. 서정의 지향
1) 서정의 본질
2) 기억과 체험의 서정적 형상화
3) 사회인식의 신서정화
2. 현실인식의 심화
1) 현실인식의 표현 양상
2) 현실인식의 표면화
3) 현실인식의 내면화
3. 범우주적 초월의식
1) 생명에 대한 외경심
2) 범우주적 세계 지향
3) 자아 초월과 인간애
제4장 결론
■ 참고문헌
■ 이시영 연보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따라서 이시영의 시에서 ‘정치’의 의미는 현실정치의 범주를 훌쩍 넘어서 시적인 것으로 확장된다. 그의 시를 현실정치 차원에서만 보려 한다면 그의 시가 가지는 정치성의 근원적 함의는 왜소화되고, 그의 시가 가닿고자 하는 궁극적인 지평 역시 그 의미가 축소되고 만다. 그가 작품 속에서 끊임없이 발화해온 ‘정치’는 인간의 본질과 공동체의 조화로운 질서를 추구하는 구체적 삶의 실천이다. 따라서 우리는 그의 시에서 겉으로 드러나는 정치의 표면이 아닌, 참된 정치의 본질을 읽어내고 그것의 회복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생명의 절대적인 가치를 내면화한 이시영은 자연의 생명이 유린되는 폭력적 현실 앞에서 강한 내면의 힘으로써 맞서 왔다. 늘 깨어 있는 지성으로서 사회적 발언을 지속해온 것이 그 싸움의 방식이었다. 그 과정에서 그의 깊은 서정과 현실 인식은 그의 시선을 우리 사회의 그늘진 곳곳으로 향하게 했으며, 더 나아가 지구촌 각지의 생명과 평화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관심의 폭을 쉬지 않고 넓히게 했다. 그 각고의 노력은 마치 무거운 짐을 등에 지고 가는 ‘시인 나귀’의 모습이다. 이시영은 김남주가 등에 지고 가던 짐을 자기 등에 옮겨 묵묵히 지고 온 것이다. 이시영의 문학은 역사와 정치 그리고 근원적 생명의 현장을 갈망하는 서정이 합일하는 조화를 계속해서 유지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