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유럽사 > 프랑스사
· ISBN : 9791130821726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4-09-27
책 소개
목차
■ 책머리에
제1부 프랑스 혁명 이전의 바래르
제1장 진보적 가문에서의 성장기
1. 교육에 대한 부모의 열정
2. 어머니의 사랑과 불운한 가정생활
제2장 인민의 변호사
1. 인문주의적 변호사
2. 연구하는 변호사
3. 자선변호사회의 결성과 활동
제2부 아카데미와 바래르
제1장 프랑스 아카데미의 간략한 역사
1. 계몽사상과 프랑스 아카데미
2. 이탈리아에서 재생한 그리스 아카데미아
3. 장 도라와 칠성파 시인들
4.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태동과 바이프 가문의 역할
5.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입회에 대한 논란
6.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역할
7. 지방 아카데미의 특성과 역할
제2장 바래르의 아카데미 콩쿠르 응모작
1. 아카데미에 미친 변호사
2. 바래르의 아카데미 현상논문에 대한 평가
- 루이 12세에 대한 찬사
- J.B. 퓌르골르에 대한 찬사
- 대법관 피에르 세기에에 대한 찬사
- 장 자크 르프랑 드 퐁피냥에 대한 찬사
- 루이 12세의 대신, 조르주 당부아즈에 대한 찬사
- 제네바 시민, 장 자크 루소에 대한 찬사
- 샤를 드 스공다, 바롱 드 라 브래드 에 드 몽테스키외에 대한 찬사
제3부 프랑스 혁명에서 바래르의 역할
제1장 삼신분의회에서의 활동
1. 봉건권 유산 처리 및 청원서 작성
2. 제헌국민의회에서의 활약
3. 『새벽신문』 발간과 의회의 소식 전달
제2장 혁명가로서의 활약
1. 내무장관 추천을 사양하고 아내와 결별
2. 미라보의 추모식과 전비 모금 활동
3. 왕의 바렌 탈출과 혁명 대열의 선택
4. 루이 16세의 고발
5. 루이 16세의 심문
6. 루이 16세의 처형 주관
제3장 공포정치와 테르미도르 반동
1. 기요틴의 아나크레온
2. 혁명군의 동원과 국가방위 활동
3. 테르미도르 반동
4. 로베스피에르의 처형 주관
5. 혼란스러운 혁명정국
6. 올레롱섬으로의 유배
제4장 통령정부의 감시 속에서
1. 나폴레옹과의 만남과 추방
2. 나폴레옹에 대한 두 가지 태도
제4부 프랑스 혁명과 바래르에 대한 역사적 평가
1. 인민의 변호사, 계몽주의적 문인 그리고 살롱맨의 혁명가
2. 자유와 평등사상의 헌법 구현자
3. 나폴레옹의 군사독재에 저항한 민주공화주의자
4. 『반영신문』 발간과 애국적 대외투쟁 활동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베르트랑 바래르(Bertrand Barere, 1755.9.10~1841.1.13)는 계몽주의 시대, 이른바 이성의 세기와 진보의 세기인 프랑스 18세기의 인물이자 프랑스 혁명에서 가장 장수한 혁명가이다. 계몽주의 시대는 인간이 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개선된 환경은 인간의 본성도 바꿀 수 있다는 무한한 가능성을 발견한 위대한 시대였다. 바래르 역시 계몽주의 사상의 영향으로 변화된 환경에서 자랐고,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을 신뢰하면서 사회, 정치, 경제 등 모든 분야에서 개선의 가능성을 두드렸으며 프랑스 혁명을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본 ‘고독한 파수꾼’이다.
바래르는 『새벽신문』에서 드라마의 형태로 입법부의 토론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고 그것을 기사화하였으며 프랑스의 낙후된 풍습과 봉건제도를 적나라하게 비판하였다. 이폴리트 카르노와 다비드 당제가 쓴 『바래르 약사』에 의하면, 『새벽신문』은 창간호에서부터 발행자가 6월 23일의 친림회의에 대하여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시하면서 용기 있는 행동을 하였다. 그는 바로 친림회의가 시민들이 보는 앞에서 왕권을 숨기는 짙은 안개였기 때문이라고 말하였다. 그리고 레오 게르쇼가 쓴 『프랑스 혁명의 중재자 베르트랑 바래르 드 비외작』에 의하면, 바래르가 기초하였고 이 시대의 전반에 걸쳐 이끌어야만 하였으며 프랑스에서 중세적 법률, 봉건적 실체, 그리고 입헌적 결함의 이상한 혼합을 유지한 행정상의 통일성에 대한 분산, 즉 지방 풍속의 다양성이 이윽고 종말을 고해야 할 것이라는 내용을, 당시 세론을 집중시키고 있는 『새벽신문』에 기고하면서 기뻐서 어찌할 줄을 몰라 하였다. 따라서 『새벽신문』은 프랑스 혁명이 앙시앵 레짐을 타파하고 공화정신을 고양하며 혁명이 혁명을 거듭하며 발전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프랑스에 사회적·정치적 동력을 제공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