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유럽사 > 프랑스사
· ISBN : 9788956409092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2-05-07
책 소개
목차
■ 책을 내면서
제1장 절대주의의 의미와 출현배경은 무엇인가?
1. 절대주의에 대한 정의
2. 절대군주의 출현배경과 특징
제2장 절대왕정의 사상적 기반이 있었는가?
1. 장 보댕의 『공화국론: 국가론』
2. 르 브레의 『국왕주권론』
3. 뒤퓌의 갈리카니즘
4. 자크 보쉬에의 『세계사론』과 『성서에서 발취한 정치학』
제3장 왕권 강화와 중앙집권체제는 확립되었나?
1. 앙리 4세와 쉴리의 왕권 강화와 중앙집권
2. 루이 13세 시대 마리 드 메디치와 리슐리외의 왕권 강화
3. 프롱드 난의 평정과 루이 14세의 왕권 강화
4. 루이 14세의 친정과 절대권력의 이면
제4장 국왕은 입법권·행정권·사법권을 직접 장악했는가?
1. 입법을 통한 절대권 행사
2. 행정을 통한 절대권 행사
3. 사법부에 대한 절대권 행사
제5장 국방력 강화와 영토 확장은 왕권 강화에 도움이 되었나?
1. 루부아와 보방의 국방력 강화
2. 영토 확장을 통한 국가권력 강화
3. 해외식민 개척을 통한 국력 신장
제6장 절대왕정의 재정은 충분했나?
1. 중상·중산·중농 정책에 의한 재정 확보
2. 조세와 관직매매에 의한 재정의 충당
3. 위그노의 탄압에 의한 경제 침체
제7장 가톨릭교로의 통일은 성공했나?
1. 가톨릭 왕국에 개신교의 성장
2. 앙리 4세의 낭트 칙령에 의한 ‘화의 정책’
3. 루이 13세의 알레스 칙령과 위그노의 탄압
4. 루이 14세의 퐁텐블로 칙령과 ‘하나의 종교’
5. 카미자르 난의 평정
제8장 새 교육사상과 교육기관은 얼마나 육성했나?
1. 대학·콜레주, 아카데미의 설립과 진흥책
2. 개신교 교육기관의 설립과 탄압
3. 친 가톨릭 종파 학교들의 수난
제9장 어떤 새로운 문화와 의식의 탄생이 있었는가?
1. 바로크 문화와 베르사유의 의식
2. 부르주아의 성장과 사회적 역할의 확대
3. 새로운 지적 영역의 형성과 사회변화의 동력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프랑스 절대왕정시대는 중세를 해체하고, 근대 자본주의 시대로 이행되는 과도기이며, 우리에게 ‘위대한 시대, 위대한 왕, 부제한의 권력을 가진 군주정의 시대’로 각인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대는 프랑스혁명에 의해 역사 속에서 영원히 사라진 시대였고, 절대권력을 가진 왕이 통치한 시대였으므로 인민주권이나 민주주의와는 거리가 먼 절대군주정의 시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