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37229983
· 쪽수 : 150쪽
· 출판일 : 2020-12-29
목차
목 차
『새롭게 알고, 새롭게 보이는 주문도의 역사』 발간을 축하하며 6쪽
(서도 초‧중‧고 교장 문경애)
생각보다 역사는 우리 가까이에 있다. 8쪽
(서도 중‧고 역사 교사 박웅)
제1부 서도 초‧중‧고 학생들이 소개하는 주문도의 역사 유적 11쪽
1. 주문도의 랜드 마크, 서도 중앙 교회 12쪽
(서도고 2학년 ***)
2. 6‧25 전쟁의 영웅들을 기념하는 향토 수호 전적비 14쪽
(서도고 2학년 ***)
3. 주문진, 서해를 수호하다! 16쪽
(서도중 3학년 ***)
4. 대몽 항전을 펼친 삼별초의 전설이 깃든 봉구산 봉화 17쪽
(서도중 3학년 ***)
5. 주문도에 목장이 있었다고? 18쪽
(서도중 3학년 ***)
6. 조선 시대 때 주문도 관련 기록 19쪽
(서도중 3학년 ***)
7. 주문도의 신석기 유적에서 발견된 빗살무늬 토기 20쪽
(서도중 2학년 ***)
8. 산뜻하게 정리한 주문도의 유래 21쪽
(서도중 1학년 ***)
9. 새롭게 알고, 새롭게 보이게 된 자랑스런 주문도의 역사 23쪽
(서도초 5학년 ***)
제2부 새롭게 알고, 새롭게 보이는 주문도의 역사 25쪽
1. 주문도에는 언제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을까? 26쪽
(신석기 시대의 주문도 / 서도 중‧고 역사 교사 박웅)
2. 봉구산은 왜 ‘봉구산’으로 불리게 된 것일까? 35쪽
(고려・조선 시대의 주문도 / 서도 중‧고 역사 교사 박웅)
3. 주문도의 드넓은 간척지 – 갯벌이 논밭으로 바뀌다. 40쪽
(고려・조선 시대의 주문도 / 서도 중‧고 역사 교사 박웅)
※ ‘대빈창’에서 정말 중국 사신을 영접했을까? 47쪽
(고려・조선 시대의 주문도 / 서도 중‧고 역사 교사 박웅)
4. 조선시대 사람들은 주문도를 어떻게 생각했을까? 50쪽
(조선 시대의 주문도 / 서도 중‧고 역사 교사 박웅)
5. 주문도는 왜 ‘주문도’라고 불리게 된 것일까? 61쪽
(조선 시대의 주문도 / 서도 중‧고 역사 교사 박웅)
6. 주문도에 왜 목장을 설치했을까? 69쪽
(조선 시대의 주문도 / 서도 중‧고 역사 교사 박웅)
7. 옛 서도 초등학교 터에는 □□□이 있었다. 77쪽
(조선 시대의 주문도 / 서도 중‧고 역사 교사 박웅)
8. 서도면사무소 앞 두 비석은 ‘영세불망비’이다. 87쪽
(조선 시대의 주문도 / 서도 중‧고 역사 교사 박웅)
9. 서도면 교육의 요람, 서도 초‧중‧고의 중흥을 바라며 95쪽
(근‧현대의 주문도 / 서도 중‧고 역사 교사 박웅)
10. 영생 학교 교사 최공섭, 강화 3‧1 운동에 뛰어들다! 103쪽
(일제 시대의 주문도 / 서도 중‧고 역사 교사 박웅)
11. 웅구지, 쓸쓸하고도 처연한 기억과 망각의 항 115쪽
(일제 시대‧현대의 주문도 / 서도 중‧고 역사 교사 박웅)
12. 향토 수호 전적비가 증언하는 주문도의 6‧25 전쟁 122쪽
(현대의 주문도 / 서도 중‧고 역사 교사 박웅)
제3부 주문도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129쪽
1. 서도 중앙 교회의 역사를 찾아서 130쪽
(서도 중앙 교회 담임 목사 박형복)
2. 꿈과 사랑이 가득한 섬, 주문도를 돌아보며 137쪽
(인천 숭덕여고 교장 박상익)
3. 주문도의 추억 146쪽
(서도 초‧중‧고 교무 행정 실무사 이상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