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37235199
· 쪽수 : 96쪽
· 출판일 : 2021-02-02
목차
제1화 첫 번째 이야기.
“ 보육교사, 나를 돌아보다” -신념의 씨앗 심기-
1. 생각하는 교사, 생각하는 아이. 11p
# 우리는 일을 할 때 자꾸 스스로 생각해야 한다.
2. 교사의 뿌리 만들기 13p
# 튼튼한 뿌리 만들기.
3. 권위 있는 교사(교실) vs 권위적인 교사(교실) 15p
# 작고 미묘하지만 아주 큰 차이-!
4. 교사, 마음 분리하기 17p
# 눈물이 흐를 만큼 힘든 상항에서 마음을 식히고 교사로의 일상을
살아내기.
5. "생선 반찬이 비려요-!" 19p
# 어느 부분에서 기분이 나빠야 할까? 돌아봄.
6. 좋은 교사 21p
# 어떻게 하면 좋은 교사가 될 수 있을까? 좋은 교사는 어떤 교사일까?
7. 교사 : 매일의 일상을 낯설게 보기 23p
# 아이들은 밥 먹고 옷 입고 화장실 가는 일상적인 삶 안에서 더 성장 하고 배움의 기회를 경험한다.
8. 이 지표는 왜 생겼을까? 25p
# 이런 평가지표 혹은 절차는 왜 생겼는지 이유를 고민해보기-!
9. 교사가 멋져 보인 순간 27p
10. 선배교사의 멋진 뒷모습. 28p
# 우리 좀 문제 있지 않아?
11. 10년 전 교사 시절로 돌아간다면? 30p
# 소소하지만 현장에 있을 때 해볼걸.
12. 답정너-! 31p
# 답정너! 참 갑갑하다-! 조심하자 나도 닮는다!
13. 교사의 시각: 멀리, 깊이 33p
# 우리 반 일년 만 생각하기보단 이아이의 아동기를 상상하고 그려보자-!
14. 무엇을 받을까 vs 무엇을 먼저 해야 할까? 35p
# 순서의 문제
15 새롭게 보기. 36p
# 무료한 일상, 반복되는 하루 일들, 갑갑한 마음이 들 때.
16. 역지사지. 37p
# 생각하고 고민해볼 말, 그리고 실천해야 빛이 나는 말.
17. 쌓아가는 하루, 흘러가는 하루 39p
# 우리 반 아이들을 오롯이 책임지는 평교사가 하고 싶다. 너-무.
18. "비로소 보인다." 41p
# 빨리한다고 속도를 내다가 놓치는 것들...
19. 글을 쓰니.. 달리 보인다. 43p
20. 어린이집에서 공평이란? 44p
# 특히 어린이집 교실에선 아이마다 각자 다른 사정이 있다.
21. 교사의 말투, 태도, 표정이 흡수된다. 45p
22. 교사 각자가 가진 재능 47p
# 다른 교사의 재능을 따라가려고 하지 말고 나만의 재능을 찾아라.
23. 직장인이 아닌 직업인. 49p
# 세바시 강연을 듣다가 나에게 적용하기..
24. 교사의 신념. 50p
# 원장님께 치이고 학부모에게 치이고 동료에게 치이는 날.
25. 교사의 자율성 이전에 주체성이 먼저 53p
26. 씨앗이 없는 화분 vs 씨앗이 있는 화분 54p
# 보육교사의 신념은 씨앗이 심긴 화분이다.
27. 아이들 = 너무 예쁜 존재? 56p
# 나는 아이를 어떤 존재로 바라보고 있는가?
28. 부모상담은 있는데 유아 상담은? 58p
# 현장에서 실천해 보고 싶은 경험 나누기.
29. 아이랑 단 둘이 있을 때가 진짜. 60p
# 신뢰를 쌓는 절호의 기회
30. 사진의 양면성. 61p
# 사진을 찍기 위한 놀이 vs 놀이의 장면을 기록하기 위한 사진
31. 관찰 할 게 없어! 쓸게 없어 관찰일지에" 63p
# 의미 있는 관찰 기록은 무엇일까?..
32. 유아중심! 놀이중심!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65p
# 일단 점을 찍자, 망설이지 말고 시작하자-!
33. 어린이집 속 힘의 균형 67p
# 어린이집에는 아이들만 있을까?
34. 부모와 교사 사이_! 69p
# 어린이집 모든 관계의 본질은 "신뢰“
35. 머리로 아는 것 vs 경험으로 아는 것. 72p
# 꿈꾸는 어린이집
36. 객관적 중재기구의 필요성 75p
# 어린이집은 원장님 마음대로 집이 아니다.
37. 어린이집 행사. 77p
# 누구를 위한 행사인가-
제2화 두 번째 이야기.
“보육교사의 시선으로 바라본 아이들의 놀이” 76
1.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의미. 78p
# 스스로 선택하고 몰입하고 책임지기를 경험할 수 있는 주체적인 시간
2. 실행을 해봐야 안다. 79p
# 우리 반 보육과정을 이끌고 책임지는 건 원장님, 학부모도 아닌 교사다.
3. 무늬만 놀이중심, 아동 중심. 81p
# 서류에 대한 걱정을 미루고 일단 아이의 놀이를 따라가자-!
4. 아이의 진짜 놀이 83p
# 아이가 놀이하는 그대로 바라보며 놀이 흐름 따라가기
5. "심심"해 보이는 아이 84p
# 심심한 것에 대한 재해석, 교사에겐 심심한 아이를 기다려줄 수 있는 소신과 용기가 필요하다.
6. 상호작용 86p
# 상호작용 어려워-! 뭐라고 해야 해?
7. 참여하지 않을 권리. 88p
# 내 마음은 기울어진 시소인가?
8. 새로운 놀이를 제시할 때는 씨 뿌리는 마음으로 89p
# 그래서 아이들의 자발적 선택이 중요하구나 무엇을 어떻게 노는지 관찰 해야 하는 구나.
9. 감정은 머리로 배우기 전에 마음으로 충분히 느껴봐야 한다. 91p
# 긍정적, 부정적 감정도 아이가 주체적으로 느껴볼 수 있도록 도와주자
10. "이 놀이 했고 이 놀이 했고 이 놀이 남았다" 93p
# 누가 놀이해야 하는 걸까?
작가의 말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