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한국 전통음악
· ISBN : 9791137291447
· 쪽수 : 311쪽
· 출판일 : 2022-08-15
목차
저자의 말
제1부 장단과 박자
1장 장단과 박자와 리듬
-장단연구의 문제점
-한국음악 박자론의 출발
-박자는 실제로 없는 심리적 표상
-리듬이란 무엇인가
-왜 없는 박자를 만들지
-동조 현상과 거울 뉴런
2장 음악적 시간의 계층구조
-뇌의 정보처리방식과 박의 층위
-박에서 층위는 왜 따져
-인간은 어디까지 리듬으로 인식할까
-가장 편안한 시간단위 0.5~0.7초
-아무 박에서나 손뼉 치는 건 아니다
제2부 장단과 단위
1장 불균등박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연구
-박이 어떻게 길이가 다를 수 있지
-인지심리학적으로 박은 불균등할 수 있다
-강세에 따라 변화하는 불균등구조
-분박 층위는 왜 중요할까
-12분박으로 펼치는 시간놀이
2장 불균등박자와 오리엔탈리즘
-이제는 정말 조성음악체계에서 벗어나자
-언어에도 율격이라는 박자가 있다
-리듬론에 드리워진 오리엔탈리즘의 그림자
-집합론과 셀프 오리엔탈리즘
-그루핑의 보편적 의미
제3부 장단과 형식
1장 장단에서 형식으로
-언어학에 기반한 장단 이론
-장단의 심층구조와 표면구조
-변형생성이론의 심층구조
-장단은 악구인가
-장단은 형식인가
2장 장단의 의미
-시간적 이탈의 긴장과 묘미
-음악적 오버뷰 이펙트
-장단의 분류와 범주화
-장단의 매력은 소리 자체에 있다
-장단의 문화적 역할과 인지심리학적 의미
제4부 장단과 시간
1장 음악과 시간에 대한 탐구
-결국, 시간
-시간의 상대성과 자기조직화
-변화와 연기, 꽃이 피니 봄이다
-규범적 표준시간과 질적 축제의 시간
-신체화된 마음과 은유적 사고
-시공간 은유체계의 시대적 변화
2장 한국음악과 시간
-신들림의 시간
-얼어붙은 시간
-수와 음악과 상징
-순환하는 시간의 비밀
후기
[부록] 한국음악의 장단 예시
1. 민요·산조(판소리) 장단
2. 풍류음악 장단
3. 경기삼현육각 장단
4. 경기도당굿 장단
5. 웃다리풍물 장단
6. 호남우도풍물 장단
7. 영남풍물 장단
8. 진도씻김굿 장단
9. 동해안별신굿 장단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