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37296473
· 쪽수 : 446쪽
· 출판일 : 2022-10-02
목차
■ 감사의 글
■ 목차 ■
□ 서문: 주체의 산종[dissemination] - 3
제1장 노예적 주체/ 종교적 주체 ? 예이츠
1.1 바빌론 노예의 노래 - 5
1.2 한국의 노예적 상황 - 18
1.3 유럽의 노예적 상황 - 20
1.4 허상의 구속 - 23
1.5 구조의 주체 - 27
1.6 언어의 노예 - 30
1.7 타자적 주체 - 36
1.8 나르시시즘의 거울 - 39
1.9 현실원리의 주체 - 43
1.10 노예적 주체, 그 해방구 - 47
제2장 휴머니즘적 주체 ? 존 단
2.1 휴머니즘과 휴머니티 - 50
2.2 휴머니스트의 독사[doxa] - 52
2.3 휴머니티의 회복 - 59
2.4 휴머니즘의 탈주 ? 64
제3장 초월적 주체/ 낭만적 주체 ? 워즈워스, 콜리지, 키츠
3.1 유물론적 초월주의[공산주의] - 72
3.2 물신론적 초월주의[자본주의] - 88
3.3 범신론적 초월주의[미국초월주의] - 96
3.4 낭만적 초월주의 - 101
제4장 자율적 주체 ? 블레이크
4.1 주체성의 정체? - 109
4.2 주체성의 형성 - 112
4.3 [코기토]의 주체성 - 117
4.4 원형의 주체성 - 121
4.5 나만의 주체성[one’s own subjectivity] - 129
제5장 실존적 주체 ? 프로스트
5.1 실존과 기호적 주체 - 137
5.2 존재와 본질? - 146
5.3 [부조리]의 주체 - 148
5.4 사실성의 주체 - 159
5.5 진정성의 주체 ? 166
5.6 환경과 실존 - 172
제6장 구조주의적 주체 ? 셰익스피어
6.1 구조와 탈-구조: 그 배리[背理]의 구조 - 179
6.2 구조주의와 구조적 주체 - 182
6.3 구조주의의 파급: 문화적 주체 - 189
6.4 자아의 해체: 동양의 선[禪] - 195
제7장 마르크스적 주체 ? 하디
7.1 물질과 신성 - 199
7.2 종교와 인간 - 202
7.3 마르크시즘의 안티노미[antinomy] - 210
7.4 마르크시즘과 욕망의 주체 - 216
7.5 마르크시즘의 공식: 욕망의 상충 - 222
7.6 거세담론의 마르크시즘 - 230
7.7 물질과 이념의 배리[背理] - 235
7.8 거대서사의 종말 - 242
제8장 탈-중심화된 주체 ? 엘리엇
8.1 중심과 탈-중심 - 249
8.2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 258
8.3 구조주의와 탈-구조주의 - 268
8.4 파놉티콘과 포스트-파놉티콘 - 282
8.5 리얼리티와 하이퍼-리얼리티 - 291
제9장 분열의 주체 ? 플라스
9.1 편집과 분열의 주체 - 295
9.2 프로이트의 주체분열 - 319
9.3 라캉의 주체분열 - 339
제10장 유목적 주체 ? 딜런 토머스
10.1 유목현상 ? 분열과 통합 - 361
10.2 노마디즘 ? 수목과 리좀 - 365
10.3 노마드 주체 ? 탈주와 결핍 ? 373
제11장 사이버 주체 ? W. 스티븐스
11.1 [AI]의 주체 - 영화 『그녀』[Her] - 387
11.2 포스트-파놉티콘 ? 벌거벗은 주체 ? 393
11.3 제3의 주체 - [실리콘 인간] - 405
11.4 복제된 주체 - 영화 『아일랜드』 - 409
□ 결론: 주체의 묵시록 - 414
■ 인용문헌과 전자문헌 - 423
■ 참고문헌 - 426
■ 찾아보기 - 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