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개정판] 노장철학연구](/img_thumb2/9791141079253.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도가철학/노장철학 > 노자철학
· ISBN : 9791141079253
· 쪽수 : 671쪽
· 출판일 : 2024-04-10
목차
∥목차∥
|개정판 서문|
|책머리에|
| 제1부 노자 철학: 무위자연 |
제1장 노자철학의 시대적 배경 …………… 21
제1절 주대 예악제도의 붕괴 …………… 24
1. 강력한 제후국의 등장 …………… 32
2. 전국 칠웅의 다툼 …………… 37
제2절 신분질서의 변화 …………… 38
제3절 경제적 변화 …………… 46
1. 토지제도의 변화 …………… 46
2. 조세제도의 변화 …………… 50
3. 상?공업의 발달 …………… 53
제2장 노자의 생애 …………… 59
제1절 노자라고 말하는 세 사람-노담(老聃)·노래자(老萊子)·태사담(太史?): 『사기』
「노자열전」을 중심으로 … 60
제2절 기타 문헌의 검토 …………… 88
제3절 『노자』 문헌을 통한 검토 …………… 91
제4절 이전 학자들의 관점 검토 …………… 94
제5절 불확실한 인물 노자 …………… 96
제3장 『노자』의 고증 및 판본 문제-초간본·백서본·통행본 ………… 103
제1절 초간본 『노자』 …………… 108
제2절 백서본 『노자』 …………… 118
제3절 통행본 『노자』 …………… 123
제4절 노자와 『노자』를 인용한 중요 문헌 목록 …………… 129
제4장 도론: 도의 형이상학 …………… 137
제1절 도의 세 가지 함의 …………… 141
제2절 존재론적 해석 …………… 144
제3절 (우주) 생성론적 해석 …………… 150
1. 생성 …………… 151
2. 복귀 …………… 157
제4절 인식론적 해석 …………… 164
제5장 체도론: 도와 인식 …………… 181
제1절 도와 인식 …………… 181
1. 도와 인간의 경험 그리고 관념 …………… 182
2. 도와 언어 …………… 190
제2절 체도 방법론 …………… 205
1. 위학 …………… 207
2. 위도 …………… 211
제6장 덕론: 만물의 참된 본성
- 상덕과 하덕 그리고 사회규범의 한계 …………… 227
제1절 상덕 …………… 231
1. 만물의 본성 …………… 231
2. 천지 만물의 생명을 중시함 …………… 233
제2절 하덕 …………… 234
1. 인 …………… 237
2. 의 …………… 243
3. 예 …………… 247
제3절 사회규범과 그 한계 …………… 259
1. 사회규범의 의미 …………… 260
2. 사회규범의 한계 …………… 262
제7장 노자의 정치철학 …………… 273
제1절 노자의 눈에 비친 춘추 말 당시 현실의 모습 …………… 274
제2절 통치자는 도를 본받아야 함 …………… 278
1. 무위 …………… 279
2. 무욕 …………… 285
3. 부쟁 …………… 295
제8장 노자의 사회철학 …………… 317
제1절 소박함 …………… 322
제2절 겸허함 …………… 326
제3절 사욕을 적게 함 …………… 329
제9장 소국과민: 이상적 국가의 모습 …………… 337
제1절 노자의 이상 국가론: 소국과민 …………… 337
제2절 백성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삼음 …………… 343
제3절 천하로 천하를 살핌 …………… 345
제4절 최상의 통치는 백성들이 그것이 있는지도 알지 못함 …………… 348
| 제2부 장자 철학: 소요제물 |
제1장 인간이 처한 실존적 곤경 …………… 365
제2장 장자 철학의 시대적 배경 …………… 373
제1절 전쟁: “적을 잡아 참수하는 것을 장려하다” …………… 374
제2절 형벌: “지금시대는 형벌이나 면할 따름이다” …………… 378
제3절 기아: “아버지인가! 어머니인가! 하늘인가! 사람인가!” …… 380
제3장 장주의 생애 …………… 387
제1절 생졸 연대 고증 …………… 387
제2절 사적 …………… 393
1. 몰락한 송나라 사람 …………… 393
2. 『장자』에 보이는 장자의 삶 …………… 396
3. 장자의 삶: 『장자』를 중심으로 …………… 399
제4장 『장자』의 성립 문제 …………… 411
제1절 고증의 측면 …………… 412
1. 『장자』의 성립 문제 …………… 408
2. 『장자』의 저자 문제 …………… 419
제2절 철학사상의 측면 …………… 425
1. 「내편」 …………… 425
2. 「외편」과 「잡편」 …………… 429
제5장 전국시대 제자백가의 학술 활동과 『장자』 철학의 연원 …… 435
제1절 전국시대 제자백가의 학술 활동 …………… 436
1. 도가학파 …………… 437
2. 유가학파 …………… 439
3. 묵가학파 …………… 443
제2절 『장자』 철학의 연원 …………… 446
1. 『장자』와 도가 …………… 447
2. 『장자』와 유가 …………… 451
3. 『장자』와 혜시 …………… 455
제6장 인간의 실존: “개체적 존재”와 “사회적 존재” …………… 461
제1절 개체적 존재로서 인간의 실존 …………… 468
1. 생사의 존재 …………… 469
2. 생존의 맹목성 …………… 474
제2절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의 실존 …………… 479
1. 부도덕한 통치자의 폭력 …………… 481
2. 지식인 계급 집단 ‘유사’ …………… 488
제7장 초월적 자유의 추구 …………… 497
제1절 도론 …………… 499
1. 본체론과 우주론적 의미의 도 …………… 504
2. 경지론적 의미의 도 …………… 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