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41947293
· 쪽수 : 559쪽
· 출판일 : 2025-05-20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동양과 서양 / 15
제1절 동양과 서양의 개념 / 15
제2절 동양과 서양의 세계관 / 16
제3절 서양의 동양관과 동양에 대한 그 비판 / 46
제4절 동양 지식인의 동양 비판 / 56
제5절 서양문화에 대한 동양문화의 영향 / 75
제2장 중국철학 1: 중국유학(1) 선진유학 / 89
제1절 역사적 배경 / 89
제2절 공자 / 95
제3절 맹자 / 113
제4절 순자 / 124
1. 천론 / 125
2. 인성론 / 127
3. 정치론 / 132
4. 법치 사상 / 134
제3장 중국철학 2: 중국유학(2) 송명 신유학 / 141
제1절 주희 / 142
1. 리기론 / 136
2. 인성론 / 148
제2절 왕양명 / 151
1. 심즉리 / 151
2. 양지와 치양지 / 153
3. 지행합일 / 158
제4장 중국철학 3: 중국 현대 신유학 / 163
제1절 중국 전통철학과 서구 문명의 근대(성) / 163
1. 자유주의 / 164
2. 마르크스주의 / 169
3. 현대 신유학 / 171
제2절 서양문명에 대한 현대 신유학의 반응 / 178
제3절 현대 신유학에 대한 평가 / 181
제5장 중국철학 4: 중국도학(1) 노장철학 / 191
제1절. 노자 / 191
1. 도 / 192
2. 덕 / 194
3. 무위정치 / 195
4. 소국과민 / 197
제2절 장자 / 198
1. 인간의 자유 / 198
2. 초월 자유 / 201
3. 내재 자유 / 206
4. 초월과 내재의 통일 / 209
제6장 중국철학 5: 중국도학(2) 도교 / 213
제1절 개념 / 217
제2절 구분 / 220
1. 상층도교 / 222
2. 민간도교 / 226
제3절 내용 / 232
1. 교학 / 234
2. 방술 / 238
3. 의술 / 239
4. 윤리 / 240
제4절 도교 문헌의 백과전서 『도장』 / 244
제7장 중국철학 5: 중국불교 / 247
제1절 중국 불교의 성립 과정 / 248
1. 의탁불교 시대 / 250
2. 격의불교 시대 / 251
3. 본의불교 시대 / 253
4. 중국불교 시대 / 255
제2절 중국불교의 특징 / 256
제3절 중국불교의 중요 종파 / 258
제8장 한국철학 1: 한국유학(1) 주자학적 전통 / 265
제1절 퇴계 이황 / 265
1. 양명학 비판 / 266
2. 리기론 / 269
3. 심성론 / 283
4. 수양론 / 285
제2절 율곡 이이 / 286
1. 태극음양론 / 287
2. 리기론 / 289
3. 인심도심론 / 295
4. 사단칠정론 / 297
제3절 종합적 평가 / 298
제9장 한국철학 2: 한국유학(2) 반주자학적 전통 / 307
제1절 하곡 정제두 / 309
1. 심학 / 314
2. 치양지설 / 318
3. 지행합일론 / 322
제2절 서계 박세당 / 325
1. 천론 / 328
2. 인성론 / 334
3. 노장철학에 대한 해석 / 340
4. 실천철학 / 342
제3절 종합적 평가 / 344
제10장 한국철학 3 한국유학(3): 실학 / 351
제1절 다산 정약용 / 353
1. 상제천 / 355
2. 인성론 / 362
3. 실학 / 371
4. 다산과 서학의 관계 / 390
제2절 혜강 최한기 / 401
1. 기학 / 403
2. 자연관 / 409
3. 과학적 인식 / 413
4. 사실과 가치 / 420
5. 혜강과 서학의 관계 / 424
제3절 종합적 평가 / 426
제11장 한국철학 4: 한국불교 / 437
제1절 원효 / 437
1. 일심이문 / 438
2. 무이중도 / 445
3. 일미관행 / 450
4. 화쟁사상 / 452
제2절 지눌 / 459
1. 진심 / 460
2. 정혜쌍수 / 463
3. 돈오점수 / 467
4. 자리이타의 실천 / 474
제3절 종합적 평가 / 475
제12장 인도철학 / 481
제1절 불교 이전의 인도-육사외도를 중심으로 / 481
제2절 초기 불교 / 483
1. 사성제 / 483
2. 중도 / 485
3. 무아 / 486
4. 연기설 / 486
제3절 부파 불교 / 488
1. 상좌부 / 489
2. 대중부 / 490
제4절 대승 불교 / 491
1. 중관학파 / 491
2. 유식학파 / 494
제13장 일본철학 / 501
제1절 전통사상 / 502
1. 신도사상 / 502
2. 근대국가와 신화 / 504
제2절 유학 / 506
1. 주자학 / 506
2. 고학 / 509
3. 양명학 / 514
4. 국학 / 517
제3절 불교 / 519
1. 정토사상 / 519
2. 조동종 / 526
|맺는말|
[참고문헌]